인도의 첫불가촉천민 출신 국회의장 탄생으로 살펴본 인도 카스트제도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도의 첫불가촉천민 출신 국회의장 탄생으로 살펴본 인도 카스트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Ⅱ. 힌두교의 카스트제도
1. 카스트제도의 발생과 의미
2. 힌두교와 카스트의 제 관계
1) 카스트의 변동성
2) 카스트제도의 특성과 사회적 기능
3. 카스트 체계와 불가촉천민
1) 힌두교와 카스트 체계
2) 카스트 위계와 불가촉천민

Ⅲ. 카스트제도에 대한 평가
1. 카스트 제도 속에서 현대 인도사회의 변화와 갈등
1) 카스트이동과 정치세력화
2) 서구화와 인도인들의 인식의 변화
2. 인도의 정치․사회적 변화와 미래의 함의

Ⅳ. 결 론

본문내용

것이 되고 있다. 출생에 의해 카스트가 정해지더라도 사회적 신분이 사회적, 경제적 지위에 의해 언제나 가변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이효준, 2005)
Ⅳ. 결 론
18개의 공용어와 무려 800개가 넘는 언어, 복잡한 인종, 수많은 종교와 토속신앙, 지역에 따라 판이한 풍토조건, 극심한 빈부격차와 높은 문맹률의 인도는 그야 말로 다양성과 복합성을 껴안고 있는 나라다. 10억이 넘는 인도 사회를 규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힌두교와 카스트 제도다.
인도의 카스트는 그 구조가 형성될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항상 변화하여 왔고 지금도 그 전통은 지켜지고 있다. 그러나 전근대 사회에서는 사회 구조의 틀은 변화하지 않은 채 유동성을 이어 왔고 반면에 근대 사회에서는 점차 그 틀이 깨져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전개되게 된 것은 자본주의와 근대 문명의 도입에 의해서였다. 근대 이후 실시되어 온 보통선거제의 도입은 카스트가 인도 정치에 깊숙이 관여하도록 하는 계기를 가져다주었다. 촌락 및 카스트 빤짜야뜨의 기능이 약화되고 그 자리를 근대 법체계가 중요하게 차지하면서, 결국 사회의 근대화를 통해 개인의 주체성(loyalty)의 근원과 서열 분류의 기준이 ‘카스트-합동 가족-촌락 공동체’에서 ‘정치-경제-법’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이는 연방제를 근간으로 하는 인도정치 구조에서 연방정부와 주정부간의 정치적 역동성과 상호성을 불러일으키는데 결정적인 역할로 나타나고 있다. 더불어 그들은 카스트 체계 내에서의 낮은 지위와 피핍박성을 강조하고 그것을 공동의 토대로 삼아 정치적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그들의 공동이익을 공식적 정치행위인 선거에 반영시키고 있다. 이 과정은 개별 카스트의 성격을 약화시키고 민족 블록(ethnic block)을 이루는 과정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그 결과 인도 정치는 카스트에 크게 의존하게 되며, 카스트의 성격은 사회 단위로서의 원래적 성격은 크게 약화되고 그 대신 정치 단위로서의 의미가 커지고 있다. 즉 인도 사회에서의 의례적인 카스트 위계에 따른 음식 관계 및 혼인 관계의 지평은 비록 완전치 않은 정도일지라도 점차 넓어지고 있으며, 단일 카스트 내의 하위 카스트들이 의례적인 위계에 따른 여러 장벽을 허물고 있다.
카스트는 인도의 전체사회를 위계적계층적기능적으로 통합하고 있기 때문에 힌두사회의 현실 속에서 나름대로 위계질서를 갖추고 있으며, 그 내부에서는 개개인마다 각자의 역할을 지키고 그것에 의해 생활이 보장되는 면도 있다. 또한 동일 카스트 안에서는 서로 조화를 이루는 공동체적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가족생활을 올바로 유지하고 동일 카스트에 속하는 구성원끼리 상호부조의 힘을 발휘하게 한다는 점도 무시 할 수는 없다.(장경호, 1999)
그러나 과연 비인간적이고 비민주적인 카스트 제도와 같은 한 나라의 관습을 상대적인 문화로 보아야 할 것인가 아니면 범세계적인 측면의 인간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로 볼 것인가? 현재 인도에서는 법적으로 카스트 제도가 존재하지 않지만, 현실적으로 볼 때 이것은 분명 환상이다. 법과 현실의 차이는 인도인들이 서로에게 느끼는 심적 거리감에서 잘 드러나는데, 그것은 그들의 의식 속에 남아 있는 카스트 제도의 뿌리에서 기인한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경학, “인도 카스트 체계의 성격과 오리엔탈리즘의 영향”, 남아시아연구 제 3호, pp 23-29, 1998.
김경학, “카스트제도의 희생자 불가촉천민”, 뉴스한국 이슈&포커스, 2007. 8. 30.
박정석, “마을 제의(祭儀)에 나타난 힌두신의 위계와 카스트불평등”, 한국인도학회 인도연구 9권 1호, 2004.
장경호, “인도의 카스트가 선교사역에 미치는 영향”, 성결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99, pp 20-21.
이광수, “고대 인도에서의 신화와 권력의 정당화”, 부산사학 제 30집, 1996, pp 205-226.
이광수 김경학 백좌흠, “인도의 근대 사회 변화와 카스트 성격의 전환”, 교육부 지역연구, 1996.
이지은, “인도 카스트제도에서의 적극적 차별조치에 관한 고찰”, 외국어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1996
이효준, “인도의 카스트제도 연구를 통한 선교전략에 대한 고찰”, 합동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라렌드라 자다브(강수정 역), “신도 버린 사람들”, 김영사, 2007.
에드워드 루스(최준석 역), “떠오르는 인도”, 베리타스북스, 2008.
시사매거진(www.sisamagazine.co.kr), 2008. 7. 9일자.
Bayly. S, l984, “Hindu Kingship and the Origin of Community, Religion, State, Society in Kerala” in Modern Asian Studies vol. 18.
Dirks. N, l987, The Hollow Crown, Cambridge : Cambridge Univ. Press.
Dumont & Pocock, 1959, “Pure and Impure : On the Different Aspects or Levels in Hinduism ; Possession and Priesthood”, Contributions to Indian Sociology 3: 9-74.
Fuller. C, 1977, “British India or Traditional India? : An Anthropological Problem” in Ethnos vol. 3-4.
Madan,T.N.,1989, Caste and the Ordering of Hindu Society,entry in F.Robinson(ed.) in Encyclopedia of India. pp 364-365
Washbrook, D. A. ,1988, "Progress and Problems: South Asian Economic & Social History" in Modern Asian Studies. Vol. 22, No. 1
외교통상부, http://www.mofat.go.kr/main/index.jsp
주한 인도대사관, http://www.indembassy.or.kr/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1.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8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