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 자료 강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 자료 강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왕 아닌 왕이다.
이러하듯이 바꾸어 되심이 이루 헤아리지 못하겠더라
기구
명현겁(현겁이란 이름의 대겁)이 열릴 때에, 후의 일을 보이려고 일천 청련꽃이 모이어 피어있더니
사선천이 보고 지난일로~~
*현겁 : 세계는 이루어져 그 상태로 머물러 있다가 무너져서 텅비어 있는 네가지 유전을 되풀이 하 는데, 이 한주기를 ‘대겁’이라 하며, 지난대겁을 ‘장엄겁’, 지금의 대겁을 ‘현겁’, 미래의 대겁을 ‘성숙겁’이라 한다.
*사선천 : 네가지 선정을 닦는 사람이 태어나는 색계(色界)의 네 하늘. 초선천, 이선천, 삼선천, 사선천이 있다.
1)이러트시 ; 이러-+--+-듯-+-이 : 이러하듯이
‘’ 의 ‘ㅎ’ 과 ‘듯’의 ‘ㄷ’으로 인해 ‘ㅌ‘이 됨(거센소리되기)
ex)ㅎ+ㅂ→ㅍ
ㅎ+ㅈ→ㅊ
ㅎ+ㄱ→ㅋ
2)고텨 ; 고티-+-어 : 바꾸어
‘고텨-’의 여러 가지 뜻 : 고치다, 바꾸다, 낫게하다, 거듭하다.
3)외샤미 ; 외-+-시-(→샤)+-옴-+-이 : 되심이
4)니라 : 이루
‘이루’의 뜻 : (주로 뒤의 부정어와 함께쓰여) 여간해서는 도저히
5)혜리러라 ; 혜-+-리-+-러-+-라 : 헤아리다, 생각하다
-리- : 추정법 안맺음씨끝 -더- : 회상법 안맺음씨끝
때매김 씨끝들은 겹쳐지는 일이 있는데, 이 두 씨끝이 겹쳐지면, 그 본래의 뜻을 다 가지게 된다.
즉 이 어형은 지난 어떤 때의 상황(경험)으로서는 아직 미정적이고, 추정적인(그 때로서는 현실적이 나, 확정적이 아닌)사실에 지나지 않았던 일을 표현하는 데, 쓰인다 (옛말 p920)
ex) 功德이 이러 다 부톄 외리러라 (석보 19:34)
그 數 l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0.17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6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