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3월 12일)
2. 시기별 모스끄바의 대공(연대순)
■ 모스끄바 공국의 독자적 노선 전개과정
① 수즈달 공국의 영지에 속한 작은 마을
② 최초의 실질적 통치자: 다니엘 ☞ 알렉산드르 네프스끼의 막내아들
⇒ 랴잔의 공후로부터 모스끄바 강 부근의 지역 획득 & 유산으로 영토 획득
③ 유리(혹은 게오르기, 1303년 등극): 다니엘의 아들
a. 모스크바 강 유역 전체에 대한 지배권 확립
b. 뜨베리와 모스크바의 대립·경쟁관계 시작
c. 1317년(혹은 1318년), 汗의 동생과 결혼 ⇒ 대공 칭호를 받음(1319년 재승인)
※ 모스크바 공후를 대공으로 임명한 이후, 뜨베리와 전쟁이 일어나 모스크바는 뜨베르에 참패하고 신부가 포로로 잡혀 죽자, 모스크바의 공후 유리는 그녀가 독살되었다는 음모를 퍼뜨려, 뜨베르 공후는 몽골 한(汗)의 조정에 나와 재판을 받고 유죄선고를 받아 처형되었다.
④ 1322년 汗은 유리의 장남인 드미뜨리를 대공으로 인정함
⇒ 1325년 유리는 죽고, 드미뜨리도 몽골에게 죽음을 당함
⑤ 이후 드미뜨리의 동생인 뜨베리의 공후 알렉산드르가 대공의 지위 획득
a. 1327년 모스크바와 몽골의 연합군이 뜨베리를 점령 ⇒ 알렉산드르 피신
b. 1337년 뜨베리의 군주로 다시 허락, but 몽골의 조정에서 처형당함
⑥ 뜨베리가 황폐해지고, 공후가 도주한 이후 이반 깔리따가 대공의 지위 획득
■ 이후 모스끄바 대공의 이름(연대순)
(1) 이반 1세(1325년--1341년, 혹은 1328년, 1332년)
① 이반 깔리따, (Калита = 돈주머니)
② 재정과 관리 부문에 탁월한 재능을 지님 & 몽골의 汗과 친밀한 관계
③ 몽골 한으로부터 다른 러시아 군주에 대한 조세징수의 권한을 받음
④ 토지를 사들이며 자신의 영토를 확장
⑤ 교회중심 블라지미르로 이동(1300년) & 모스끄바로 교회중심 이동(1326년)
☞ 당시 수좌대주교 뾰뜨르가 1326년 모스끄바에서 사망 ⇒ 후임자 페오그노스트,
모스크바에 계속해서 거주 ⇒ 이반 1세의 노력
▶ 이후 드미뜨리 돈스꼬이 이전까지의 모스크바의 대공
① 1341년 이반 1세 사망 ⇒ 시메온(Simeon, 1341년--1353년) 모스크바의 대공 획득
⇒ 별명: \'오만한 사람\' & 페스트로 죽음
② 이반 2세: 온순한 이반(Ivan the Meek, 1353년--1359년)
⇒ 수좌대주교 알렉세이가 국정을 담당
⇒ 이 시기, 즉 1357년부터 몽골의 권력투쟁 난립 (20년간 지속, 20명의 교체)
③ 이반 2세의 사후 수즈달의 드미뜨리 공후와 이반의 아들, 드미뜨리(당시 9세) 대립
⇒ \'삼촌과 조카\'의 오랜 권력투쟁 재연 조짐 (※) 몽골은 양자 모두 승인
⇒ 모스크바의 드미뜨리 승리
(2) 드미뜨리 돈스꼬이(1359년--1389년): Дмитрий Донской
① 이반 2세의 아들: 9세에 등극 39세에 사망
② 꿀리꼬보 전투 승리(1380년): 돈江 상류지역 ★ 몽골의 마마이 부대 격파
③ 재차 몽골의 압력 ⇒ 1382년 몽골의 모스크바 점령 ⇒ 드미뜨리 굴복
⇒ but, 러시아의 독립요구와 모스끄바 대공(大公)의 권리주장 ⇒ 대공으로 인정
④ 크레믈린의 석조성벽 완성(1367년)
(3) 바실리 1세(1389년--1425년, ВасилийI)
① 드미뜨리 돈스꼬이의 장남
② 영토확장과 복지정책에 관심: 리투아니아와 대립
⇒ 1408년 리투아니아와 협정: 이후 많은 지역 공후의 지지를 받음
③ 리투아니아와 뜨베리와 갈등·대립 & 몽골의 汗과는 우호관계 유지
④ 그의 사후 왕위계승전쟁 발발
※ 삼촌(유리 공후)과 조카의 권력투쟁(당시 바실리 2세는 10살)
⇒ 유리 공후는 1434년 사망: 연장자인 자신의 권리를 주장
⇒ 그의 아들 ⇒ 사팔뜨기 바실리(Vasilii the Squint-Eyed) & 드미뜨리 세먀까
⇒ 1448년 사팔뜨기 사망 & 1450년 세마까의 반란 진압
(4) 바실리 2세(1425년--1462년, Vasilii the Blind)
① 통치시간 중에 권력투쟁의 과정을 경험 ⇒ 이 와중에 장님이 됨
② 몽골 영토해체 & 모스크바 지배를 받는 몽골국가 등장(1452년)⇒ 까시모프공국
③ 플로렌스 종교회의 &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와 단절(1448년)
※ 별도정리 필요
④ 1453년 오스만투르크에 의한 東로마제국의 멸망
▶ 이반 3세와 바실리 3세의 치세기간: 엄청난 영토의 확장
참고문헌: 고재남, {구소련지역 민족분쟁의 해부} (마산: 경남대출판부, 1996) 참조.
(5) 이반 3세(1462년--1505년)
① 이반大帝: 22살에 등극
② \'짜리\'(Царь )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 ⇒ 공식적으로는 이반 4세의 대관식 (1547년)
③ 영토확장: 로스토프 점령(1474년), 노브고로드 점령(1478년)-- 베체의 종
a. 1472년 형제인 유리로부터 드미뜨로프 市를 상속받음
b. 1489년 뱌뜨까를 점령 (노브고로드의 세력권)
c. 노브고로드와 뜨베리의 점령 ⇒ 가장 중요한 사실
d. 1503년 리투아니아와 협정: 스몰렌스끄, 뽈로쯔끄, 체르니고프 지역 점령
e. 1503년 쁘스꼬프 방어 (리보니아 기사단)
④ 콘스탄티노플 황녀와 결혼(1472년): 소피아 팔레올로그(Sophia Paleologue)
a. 비잔티움의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의 조카딸
b. 모스크바의 지원아래 투르크족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의도로 \'바티칸\'이 주선
⇒ but, 전혀 다른 의도로 전개됨 ⇒ 모스크바 공후의 지위 상승
c. 쌍두(雙頭)독수리 사용: 東·西 기독교 국가의 종주국 자처
⑤ 1493년 \'大公\'이 아닌 \'군주\'의 개념을 사용 ⇒ (*) 고스다르(Государ)
⑥ 몽골의 지배로부터 벗어남(1480년)
⑦ 이반 3세의 법전 완성(Судебник)
⑧ 사도 안드레이의 전설 정리 ⇒ 러시아의 기독교化에 중요
(6) 바실리 3세(1505년--1533년)
① 이반 3세의 아들 & 아버지의 정책을 유지
② 쁘스꼬프점령(1510년), 라잔한국 정복(1520년), 스몰렌스끄 점령(1522년)
③ 대외관계 중시 ⇒ 교황과 술탄(Sultan), 그리고 인도제국과도 교류
④ 러시아에 독일인 거주지 등장
2. 시기별 모스끄바의 대공(연대순)
■ 모스끄바 공국의 독자적 노선 전개과정
① 수즈달 공국의 영지에 속한 작은 마을
② 최초의 실질적 통치자: 다니엘 ☞ 알렉산드르 네프스끼의 막내아들
⇒ 랴잔의 공후로부터 모스끄바 강 부근의 지역 획득 & 유산으로 영토 획득
③ 유리(혹은 게오르기, 1303년 등극): 다니엘의 아들
a. 모스크바 강 유역 전체에 대한 지배권 확립
b. 뜨베리와 모스크바의 대립·경쟁관계 시작
c. 1317년(혹은 1318년), 汗의 동생과 결혼 ⇒ 대공 칭호를 받음(1319년 재승인)
※ 모스크바 공후를 대공으로 임명한 이후, 뜨베리와 전쟁이 일어나 모스크바는 뜨베르에 참패하고 신부가 포로로 잡혀 죽자, 모스크바의 공후 유리는 그녀가 독살되었다는 음모를 퍼뜨려, 뜨베르 공후는 몽골 한(汗)의 조정에 나와 재판을 받고 유죄선고를 받아 처형되었다.
④ 1322년 汗은 유리의 장남인 드미뜨리를 대공으로 인정함
⇒ 1325년 유리는 죽고, 드미뜨리도 몽골에게 죽음을 당함
⑤ 이후 드미뜨리의 동생인 뜨베리의 공후 알렉산드르가 대공의 지위 획득
a. 1327년 모스크바와 몽골의 연합군이 뜨베리를 점령 ⇒ 알렉산드르 피신
b. 1337년 뜨베리의 군주로 다시 허락, but 몽골의 조정에서 처형당함
⑥ 뜨베리가 황폐해지고, 공후가 도주한 이후 이반 깔리따가 대공의 지위 획득
■ 이후 모스끄바 대공의 이름(연대순)
(1) 이반 1세(1325년--1341년, 혹은 1328년, 1332년)
① 이반 깔리따, (Калита = 돈주머니)
② 재정과 관리 부문에 탁월한 재능을 지님 & 몽골의 汗과 친밀한 관계
③ 몽골 한으로부터 다른 러시아 군주에 대한 조세징수의 권한을 받음
④ 토지를 사들이며 자신의 영토를 확장
⑤ 교회중심 블라지미르로 이동(1300년) & 모스끄바로 교회중심 이동(1326년)
☞ 당시 수좌대주교 뾰뜨르가 1326년 모스끄바에서 사망 ⇒ 후임자 페오그노스트,
모스크바에 계속해서 거주 ⇒ 이반 1세의 노력
▶ 이후 드미뜨리 돈스꼬이 이전까지의 모스크바의 대공
① 1341년 이반 1세 사망 ⇒ 시메온(Simeon, 1341년--1353년) 모스크바의 대공 획득
⇒ 별명: \'오만한 사람\' & 페스트로 죽음
② 이반 2세: 온순한 이반(Ivan the Meek, 1353년--1359년)
⇒ 수좌대주교 알렉세이가 국정을 담당
⇒ 이 시기, 즉 1357년부터 몽골의 권력투쟁 난립 (20년간 지속, 20명의 교체)
③ 이반 2세의 사후 수즈달의 드미뜨리 공후와 이반의 아들, 드미뜨리(당시 9세) 대립
⇒ \'삼촌과 조카\'의 오랜 권력투쟁 재연 조짐 (※) 몽골은 양자 모두 승인
⇒ 모스크바의 드미뜨리 승리
(2) 드미뜨리 돈스꼬이(1359년--1389년): Дмитрий Донской
① 이반 2세의 아들: 9세에 등극 39세에 사망
② 꿀리꼬보 전투 승리(1380년): 돈江 상류지역 ★ 몽골의 마마이 부대 격파
③ 재차 몽골의 압력 ⇒ 1382년 몽골의 모스크바 점령 ⇒ 드미뜨리 굴복
⇒ but, 러시아의 독립요구와 모스끄바 대공(大公)의 권리주장 ⇒ 대공으로 인정
④ 크레믈린의 석조성벽 완성(1367년)
(3) 바실리 1세(1389년--1425년, ВасилийI)
① 드미뜨리 돈스꼬이의 장남
② 영토확장과 복지정책에 관심: 리투아니아와 대립
⇒ 1408년 리투아니아와 협정: 이후 많은 지역 공후의 지지를 받음
③ 리투아니아와 뜨베리와 갈등·대립 & 몽골의 汗과는 우호관계 유지
④ 그의 사후 왕위계승전쟁 발발
※ 삼촌(유리 공후)과 조카의 권력투쟁(당시 바실리 2세는 10살)
⇒ 유리 공후는 1434년 사망: 연장자인 자신의 권리를 주장
⇒ 그의 아들 ⇒ 사팔뜨기 바실리(Vasilii the Squint-Eyed) & 드미뜨리 세먀까
⇒ 1448년 사팔뜨기 사망 & 1450년 세마까의 반란 진압
(4) 바실리 2세(1425년--1462년, Vasilii the Blind)
① 통치시간 중에 권력투쟁의 과정을 경험 ⇒ 이 와중에 장님이 됨
② 몽골 영토해체 & 모스크바 지배를 받는 몽골국가 등장(1452년)⇒ 까시모프공국
③ 플로렌스 종교회의 &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와 단절(1448년)
※ 별도정리 필요
④ 1453년 오스만투르크에 의한 東로마제국의 멸망
▶ 이반 3세와 바실리 3세의 치세기간: 엄청난 영토의 확장
참고문헌: 고재남, {구소련지역 민족분쟁의 해부} (마산: 경남대출판부, 1996) 참조.
(5) 이반 3세(1462년--1505년)
① 이반大帝: 22살에 등극
② \'짜리\'(Царь )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 ⇒ 공식적으로는 이반 4세의 대관식 (1547년)
③ 영토확장: 로스토프 점령(1474년), 노브고로드 점령(1478년)-- 베체의 종
a. 1472년 형제인 유리로부터 드미뜨로프 市를 상속받음
b. 1489년 뱌뜨까를 점령 (노브고로드의 세력권)
c. 노브고로드와 뜨베리의 점령 ⇒ 가장 중요한 사실
d. 1503년 리투아니아와 협정: 스몰렌스끄, 뽈로쯔끄, 체르니고프 지역 점령
e. 1503년 쁘스꼬프 방어 (리보니아 기사단)
④ 콘스탄티노플 황녀와 결혼(1472년): 소피아 팔레올로그(Sophia Paleologue)
a. 비잔티움의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누스 11세의 조카딸
b. 모스크바의 지원아래 투르크족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의도로 \'바티칸\'이 주선
⇒ but, 전혀 다른 의도로 전개됨 ⇒ 모스크바 공후의 지위 상승
c. 쌍두(雙頭)독수리 사용: 東·西 기독교 국가의 종주국 자처
⑤ 1493년 \'大公\'이 아닌 \'군주\'의 개념을 사용 ⇒ (*) 고스다르(Государ)
⑥ 몽골의 지배로부터 벗어남(1480년)
⑦ 이반 3세의 법전 완성(Судебник)
⑧ 사도 안드레이의 전설 정리 ⇒ 러시아의 기독교化에 중요
(6) 바실리 3세(1505년--1533년)
① 이반 3세의 아들 & 아버지의 정책을 유지
② 쁘스꼬프점령(1510년), 라잔한국 정복(1520년), 스몰렌스끄 점령(1522년)
③ 대외관계 중시 ⇒ 교황과 술탄(Sultan), 그리고 인도제국과도 교류
④ 러시아에 독일인 거주지 등장
추천자료
독소전쟁(대조국전쟁), 그 역사적 의미
[역사학] E. H. 카 - 역사란 무엇인가
프랑스 산업화와 사회주의 노동운동 - 사회당의 역사를 중심으로
1940-50년대 제주 4. 3항쟁의 역사적 의미와 성격
[역사란 무엇인가][역사란 무엇인가 서평][역사란 무엇인가 독후감][역사란 무엇인가 독서감...
[역사란 무엇인가, 역사란무엇인가] 역사란 무엇인가 독후감
영화로 보는 역사:태극기 휘날리며를 보고 역사를 재해석
[일본군국주의, 신군국주의, 군사력증강]일본군국주의와 신군국주의, 일본군국주의와 군사력...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외교활동,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성립,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주석체제, 대한...
북한의이해,북한의 주체사상,남북관계와역사,대북정책
대한민국의 동북아 국제관계 속 역사와 그 변천과정
[유아교육사와 보육] 서구의 유아교육(러시아와 독일) - 러시아와 독일의 유아교육의 이해 (...
[서평]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서평
[독후감] 『역사란 무엇인가』 _ E. H Carr(에드워드 카) 지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