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인지행동치료 소개
1. 인지행동치료 소개 -3p
2. 기본이론 -4p
3. 치료의 기법 -7p
4. 치료의 과정 -11p
- 언어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놀이치료
- 두려움이 많은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놀이치료
◆ 사례연구 1 : 제이슨
1. 사례형성 -15p
2. 치료목표 -16p
3. 치료에 대한 설명 -17p
4. 구체적인 전략
5. 치료단계 -18p
6. 예상되는 결과 혹은 예후 -24p
◆ 사례연구2 : 캐시
1. 이혼가정에 대한 인지행동놀이치료 -25p
2. 사례형성 -27p
3. 치료목표
4. 치료에 대한 설명
5. 구체적인 전략 -28p
6. 치료단계
7. 예상되는 결과 혹은 예후
◆ 결론 -30p
◆ 참고문헌
1. 인지행동치료 소개 -3p
2. 기본이론 -4p
3. 치료의 기법 -7p
4. 치료의 과정 -11p
- 언어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놀이치료
- 두려움이 많은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놀이치료
◆ 사례연구 1 : 제이슨
1. 사례형성 -15p
2. 치료목표 -16p
3. 치료에 대한 설명 -17p
4. 구체적인 전략
5. 치료단계 -18p
6. 예상되는 결과 혹은 예후 -24p
◆ 사례연구2 : 캐시
1. 이혼가정에 대한 인지행동놀이치료 -25p
2. 사례형성 -27p
3. 치료목표
4. 치료에 대한 설명
5. 구체적인 전략 -28p
6. 치료단계
7. 예상되는 결과 혹은 예후
◆ 결론 -30p
◆ 참고문헌
본문내용
뿐만 아니라 독서치료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 대처기술 제공, 경험의 정상화.
캐시의 치료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시나리오
퍼핏은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슬픈 감정을 이야기하면서 집 문제로 의기소침해 있다.
퍼핏은 주말에 아침 식탁에 앉아 있으며 아침식사 시간의 섭섭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퍼핏은 방과 후 돌봄 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옛날처럼 엄마가 함께 집에 있기를 원한다고 불평하고 있다.
퍼핏은 학교에 있을 때 교실을 두리번거리고, 선생님이 말하는 것에 집중하지 않고 있다. 두리번거리며 공상, 특히 부모가 다시 함께 살게 되기를 큰 소리로 이야기 하고 있다.
퍼핏은 화가 나면 폭발적인 짜증을 내고 그 뒤에는 왜 그렇게 화를 내었는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퍼핏은 엄마가 집안일이나 일 때문에 바쁠 때에도 엄마에게 안아 달라고, 손잡아 달라고, 무릎 위에 앉겠다고 끊임없이 요구한다.
캐시의 가족은 드러나는 어려움에 대처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치료자가 부모들을 함께, 개별적으로 만나서 캐시에게 가능한 일관된 도움을 주려는 노력들을 확인시키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되며, 부모 모두는 나이에 적합한 독립성, 학교에서의 행동, 집에서의 행동 등과 같은 캐시의 적응적인 행동에 대해 정적 강화를 제공해야 한다.
5) 치료단계:
초기
부모에게 CBPT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부모가 캐시에 대해 인지하는 것 이상으로 그녀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에 주의했다. 이혼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은 부모가 아이들에게 미치는 것에 따라 달라지며, 그러므로 이혼에 대한 캐시의 지각을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기
제이슨과 마찬가지로 캐시에게도 자발적인 놀이를 허락하면서 상황을 소개하는 치료회기로 구성하고 이 장면들은 아동이 기대하는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사용된 구체적인 개입에 강조해서 선택되었으며 각 개입과 관련된 적절한 목표가 장면들마다 제시되어 있다.
후기
후기과정에 도달하면 캐시가 치료자가 제안하는 시나리오에 참여하고 자발적으로 몇 가지 자신만의 놀이를 시작하면서 퍼핏 놀이에 잘 반응한다. 그리고 치료실에서 쓰던 단어를 사용하여 주변상황에 대하여 자주 이야기 한다.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에게 말하는 언어적 중재를 사용한다거나, 감정 단어들을 더 많이 사용하여 자신을 표현한다.
캐시의 CBPT장면 발췌 예: 아동이 기대하는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사용 된 구체적 개입이며, 각 개입과 관련된 적절한 목표들이 제시되어 있다.
P1: 우리 엄마, 아빠는 이혼을 했어.
P2: 그래 들었어. 넌 기분이 어떠니?
C: 글쎄, 그 애가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난 행복하지 않았어.
T: 익숙해지기가 쉽지는 않겠지만, 난 부모님이 이혼한 많은 아이들을 알고 있단다.
C: 정말?
T: 그럼, 그 애들도 힘들고 가끔은 슬퍼진다고 내게 말하거든. 하지만 또 익숙해지면
괜찮아진다고도 이야기하지.
C: 내가 익숙해지기를 원하는지는 모르겠어.
P1: 무슨 말인지는 알겠어, 난 익숙해지기를 원하지 않았거든.
T: 물론이지, 하지만 부모님이 이미 이혼만이 그분들에게 필요한 것이라고 결정을 했잖
니.
C: 글쎄. 난 엄마, 아빠가 바보 같은 짓을 했다고 생각해.
T: 그래, 많은 아이들이 그렇게 느낀단다. 하지만 엄마, 아빠가 여전히 나를 사랑하고
여전히 함께 볼 수 있고 상황이 괜찮아진다는 것도 알고 있단다.
목표1: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증가한다.
목표2: 아버지이 부재에 대처하는 기술을 향상시킨다.
목표3: 보다 적응적인 사고와 상황에 대한 현실적인 관점이 증가한다. 이혼의 경험을 정상화한다.
C: 얘, 무슨 일이 있니?
T: 뭔가 잘못된 것 같네, 무슨 일이니?
P1: 당신이 싫어, 이것도 싫고, 그냥 혼자 있게 내버려 둬.
T: 네가 뭔가에 단단히 화가 난 모양이구나.
P1: 가 버려, 상관 말아.
T: 그래, 네가 안정될 때까지 너 혼자 둘 수 있어. 하지만 네가 안정되면, 우리에게
이야기해서 널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목표 6: 분노표출과 짜증을 감소시킨다.
6) 예상되는 결과 혹은 예후
캐시는 놀이치료에 즐겁게 참여하였고, 치료회기에 통합된 상황에서 잘 반응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본보기가 되는 행동과 해결방안이 그녀에게 도움이 되었고, 그녀의 생활에서 유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하기 시작하는 것이 보였다. 캐시가 갖고 있는 부적응적인 인식은 퍼핏 놀이와 언어화로 통합되었다. 캐시의 부모는 제이슨만큼의 부모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캐시의 CBPT의 성공은 부모 작업에 덜 의존하고 아동과의 구체적인 작업에 더 많이 달려 있다.
6. 결 론
CBPT에서 아동들의 참여가 중요했으며, 제이슨의 경우 부모 작업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던 반면, 캐시의 부모/가족과의 작업은 보다 보조적이다. CBPT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아동이 회기에 자발적인 재료를 가져오도록 허용하면서 구조화되고 목표 지향적인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비구조화되고 비지시적이라면 문제해결과 같은 적응적인 행동을 가르칠 수 없을 것이다.
두 아동을 위한 발달적으로 적절한 개입의 범위를 제공하기 위해 CBPT의 핵심인 모델링(시범 보이기)와 더불어, 치료는 부적응적인 신념을 확인하고/변화시키는 것, 긍정적인 자기진술을 배우는 것, 독서치료 등과 같은 인지적 기법뿐만 아니라 정적 강화와 행동형성과 같은 행동적 기법들이 포함되었다.
일반화와 반응예방의 중요성은 두 사례에서 치료자가 치료에서의 사고, 감정, 행동과 자연스러운 환경 속에서 사고와 감정, 행동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아동을 도우려는 노력으로 돋보인다.
인지행동 놀이치료는 아동으로 하여금 대안적 극복 전략을 학습하게 하고 갈등적 상황을 다른 방법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데 유용하다. 그리고 아동은 치료를 통하여 스트레스가 많은 가족 상황을 헤쳐 나가는 능력을 얻어 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놀이치료 이론과 실제 - O\'Conner Braveman, 시그마프레스, 2005
인지행동놀이치료 - Susan M. Knell, 나눔의 집, 2001
인지행동치료 - J.H.Wright·M.R.Basco·M.E.Thase , 학지사, 2009
캐시의 치료과정에 포함되어야 할 시나리오
퍼핏은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슬픈 감정을 이야기하면서 집 문제로 의기소침해 있다.
퍼핏은 주말에 아침 식탁에 앉아 있으며 아침식사 시간의 섭섭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퍼핏은 방과 후 돌봄 서비스를 받고 있으며 옛날처럼 엄마가 함께 집에 있기를 원한다고 불평하고 있다.
퍼핏은 학교에 있을 때 교실을 두리번거리고, 선생님이 말하는 것에 집중하지 않고 있다. 두리번거리며 공상, 특히 부모가 다시 함께 살게 되기를 큰 소리로 이야기 하고 있다.
퍼핏은 화가 나면 폭발적인 짜증을 내고 그 뒤에는 왜 그렇게 화를 내었는지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퍼핏은 엄마가 집안일이나 일 때문에 바쁠 때에도 엄마에게 안아 달라고, 손잡아 달라고, 무릎 위에 앉겠다고 끊임없이 요구한다.
캐시의 가족은 드러나는 어려움에 대처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치료자가 부모들을 함께, 개별적으로 만나서 캐시에게 가능한 일관된 도움을 주려는 노력들을 확인시키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되며, 부모 모두는 나이에 적합한 독립성, 학교에서의 행동, 집에서의 행동 등과 같은 캐시의 적응적인 행동에 대해 정적 강화를 제공해야 한다.
5) 치료단계:
초기
부모에게 CBPT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부모가 캐시에 대해 인지하는 것 이상으로 그녀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에 주의했다. 이혼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은 부모가 아이들에게 미치는 것에 따라 달라지며, 그러므로 이혼에 대한 캐시의 지각을 지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기
제이슨과 마찬가지로 캐시에게도 자발적인 놀이를 허락하면서 상황을 소개하는 치료회기로 구성하고 이 장면들은 아동이 기대하는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사용된 구체적인 개입에 강조해서 선택되었으며 각 개입과 관련된 적절한 목표가 장면들마다 제시되어 있다.
후기
후기과정에 도달하면 캐시가 치료자가 제안하는 시나리오에 참여하고 자발적으로 몇 가지 자신만의 놀이를 시작하면서 퍼핏 놀이에 잘 반응한다. 그리고 치료실에서 쓰던 단어를 사용하여 주변상황에 대하여 자주 이야기 한다.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에게 말하는 언어적 중재를 사용한다거나, 감정 단어들을 더 많이 사용하여 자신을 표현한다.
캐시의 CBPT장면 발췌 예: 아동이 기대하는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사용 된 구체적 개입이며, 각 개입과 관련된 적절한 목표들이 제시되어 있다.
P1: 우리 엄마, 아빠는 이혼을 했어.
P2: 그래 들었어. 넌 기분이 어떠니?
C: 글쎄, 그 애가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난 행복하지 않았어.
T: 익숙해지기가 쉽지는 않겠지만, 난 부모님이 이혼한 많은 아이들을 알고 있단다.
C: 정말?
T: 그럼, 그 애들도 힘들고 가끔은 슬퍼진다고 내게 말하거든. 하지만 또 익숙해지면
괜찮아진다고도 이야기하지.
C: 내가 익숙해지기를 원하는지는 모르겠어.
P1: 무슨 말인지는 알겠어, 난 익숙해지기를 원하지 않았거든.
T: 물론이지, 하지만 부모님이 이미 이혼만이 그분들에게 필요한 것이라고 결정을 했잖
니.
C: 글쎄. 난 엄마, 아빠가 바보 같은 짓을 했다고 생각해.
T: 그래, 많은 아이들이 그렇게 느낀단다. 하지만 엄마, 아빠가 여전히 나를 사랑하고
여전히 함께 볼 수 있고 상황이 괜찮아진다는 것도 알고 있단다.
목표1: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이 증가한다.
목표2: 아버지이 부재에 대처하는 기술을 향상시킨다.
목표3: 보다 적응적인 사고와 상황에 대한 현실적인 관점이 증가한다. 이혼의 경험을 정상화한다.
C: 얘, 무슨 일이 있니?
T: 뭔가 잘못된 것 같네, 무슨 일이니?
P1: 당신이 싫어, 이것도 싫고, 그냥 혼자 있게 내버려 둬.
T: 네가 뭔가에 단단히 화가 난 모양이구나.
P1: 가 버려, 상관 말아.
T: 그래, 네가 안정될 때까지 너 혼자 둘 수 있어. 하지만 네가 안정되면, 우리에게
이야기해서 널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목표 6: 분노표출과 짜증을 감소시킨다.
6) 예상되는 결과 혹은 예후
캐시는 놀이치료에 즐겁게 참여하였고, 치료회기에 통합된 상황에서 잘 반응하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본보기가 되는 행동과 해결방안이 그녀에게 도움이 되었고, 그녀의 생활에서 유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사용하기 시작하는 것이 보였다. 캐시가 갖고 있는 부적응적인 인식은 퍼핏 놀이와 언어화로 통합되었다. 캐시의 부모는 제이슨만큼의 부모 작업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캐시의 CBPT의 성공은 부모 작업에 덜 의존하고 아동과의 구체적인 작업에 더 많이 달려 있다.
6. 결 론
CBPT에서 아동들의 참여가 중요했으며, 제이슨의 경우 부모 작업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었던 반면, 캐시의 부모/가족과의 작업은 보다 보조적이다. CBPT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아동이 회기에 자발적인 재료를 가져오도록 허용하면서 구조화되고 목표 지향적인 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비구조화되고 비지시적이라면 문제해결과 같은 적응적인 행동을 가르칠 수 없을 것이다.
두 아동을 위한 발달적으로 적절한 개입의 범위를 제공하기 위해 CBPT의 핵심인 모델링(시범 보이기)와 더불어, 치료는 부적응적인 신념을 확인하고/변화시키는 것, 긍정적인 자기진술을 배우는 것, 독서치료 등과 같은 인지적 기법뿐만 아니라 정적 강화와 행동형성과 같은 행동적 기법들이 포함되었다.
일반화와 반응예방의 중요성은 두 사례에서 치료자가 치료에서의 사고, 감정, 행동과 자연스러운 환경 속에서 사고와 감정, 행동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아동을 도우려는 노력으로 돋보인다.
인지행동 놀이치료는 아동으로 하여금 대안적 극복 전략을 학습하게 하고 갈등적 상황을 다른 방법으로 다룰 수 있게 해주는 데 유용하다. 그리고 아동은 치료를 통하여 스트레스가 많은 가족 상황을 헤쳐 나가는 능력을 얻어 갈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놀이치료 이론과 실제 - O\'Conner Braveman, 시그마프레스, 2005
인지행동놀이치료 - Susan M. Knell, 나눔의 집, 2001
인지행동치료 - J.H.Wright·M.R.Basco·M.E.Thase , 학지사, 2009
추천자료
ADHD(과잉행동장애)의 치료 방법에 대하여
행동치료에 대한 개요와 평가
자해 및 상동 행동 치료 프로그램
[교육심리학]아동의 문제행동과 인지적 행동수정의 실제
[정서행동장애][정서행동장애아동][정서행동장애아]정서행동장애(정서행동장애아동)의 특성과...
[정서행동장애]정서행동장애아(정서행동장애아동)의 분류와 행동, 정서행동장애아(정서행동장...
[아동공격성][아동공격적행동]아동공격성(아동공격적행동)의 개념과 증가 원인, 아동공격성(...
학습장애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 어휘력과 독해력신장활동, 학습장애아동 놀이중심...
정신분석이론과 행동주의 치료기법을 열거하여 설명하십시오.
ADHD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특성과 치료방안
자폐(자폐성 장애,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특성, 언어, 사회성, 식습관, 자폐(자폐성 장...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 정의와 원인,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의 필요성, 발달단계, 자폐(자폐성장애, 전반...
ADHD의 정의 및 원인, 증상과 치료방법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방법과 부모교육의 내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