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의 정의
Ⅲ.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의 원인
1. 출생 전
2. 출생 시
3. 출생 후
Ⅳ.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의 특성
Ⅴ.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의 변화
Ⅵ.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와 문장이해
Ⅶ.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와 놀이지도
Ⅷ.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와 음악치료
참고문헌
Ⅱ.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의 정의
Ⅲ.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의 원인
1. 출생 전
2. 출생 시
3. 출생 후
Ⅳ.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의 특성
Ⅴ.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의 변화
Ⅵ.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와 문장이해
Ⅶ.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와 놀이지도
Ⅷ.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와 음악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머리가 좌우 전후로 흔들리며 팔도 율동적으로 찌푸리는 동작은 잠을 잘 때에는 긴장이 이완되거나 없어지는 경우도 많다.
뇌성마비아를 위한 음악치료는 사회적 적응에 중점을 둔 것과 신체기능 훈련에 중점을 둔 두 방향으로 나눌 수 있다.
Bruner(1952)의 연구에서 음악치료 활동은 뇌성마비 아동의 주의산만성, 과민성 및 긴장이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반대로 주의집중에 큰 효과 있으며, Lesak(1952)과 Bruner(1952)는 동기 활동에 음악적인 자극이 큰 영향을 끼치며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해 준다는 보고를 한 바 있다. Doll(1961)은 음악치료를 위한 감상활동은 내적 인간관계의 긍정적 용기를 불러일으키며 이들이 운동교정에 큰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고, Weigl(1955)은 음악활동이 최초의 긴장이완을 증진시키며 모든 활동의 자극과 근육의 힘과 운동의 협응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Schneider(1957)는 뇌성마비 학생들의 작업활동에 있어 심리운동의 구성요소에 그 효과가 지대함을 보고했는 바, 10명의 뇌성마비 학생들의 경직성 발작형, 불수의 운동형, 운동실조성, 혼합형의 증세를 가진 뇌성마비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월간 음악치료를 위한 감상활동을 통하여
첫째, 음악은 주 과제 작업에서 다양하게 심리적 과정에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음악은 주 과제의 작업 활동에서 질과 양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뇌성마비 학생들의 주 과제의 작업을 통해 정신적, 신체적 조건 전반에서 음악이 영향을 이치고 있음을 오였는데, 특히 경직성 발작형과 불수의 운동형 증세의 뇌성마비 학생들에게는 신체적인 진정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Lathom(1961)은 자발적인 근육조절에 음악적 환경이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한 바 있는 데, 음악이 없는 조건과 진정적인 음악과 자극적인 음악이 각 조건에서 조절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가에 대해 연구한 결과
첫째, 세 가지 경험조건에서는 동일한 방법의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무정위운동형 학생은 진정적 음악의 반응에서는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고, 자극적인 음악에는 운동실조형이 도움이 되었다.
셋째, 어떤 항목에서는 다른 날 다른 태도에서 같은 음악이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넷째, 만약 신체운동 조절에서 매우 유익한 효과가 음악 때문에 나타난다면 개별적으로 바람직한 효과의 음악을 주의 깊게 선택하여야 한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국립특수교육원, 1997, 재인용86-88).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악활동은 중추성 운동장애와 지능장애를 비롯하여 감각지각장애, 언어장애등의 다양한 장애를 수반하고 있는 뇌성마비아에게 과긴장으로 인한 불수의적 동작을 개선하고 정서적 안정감에도 큰 효과를 가져오므로 뇌성마비 학생의 교육과 치료에 음악활동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들이 여러 가지 리듬과 노래에 맞추어 신체를 움직이고 표현할 수 있는 이동, 비이동, 조작 운동이 포함된 신체리듬훈련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함으로써 뇌성마비아의 운동 및 사회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 김상협(1966), 뇌성마비의 원인과 치료, 대한의사협회
- 구신실 외 1명(2009),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의 신경인지기능 특성,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박영자(1987), 뇌성마비 아동의 시각-운동 능력 특성,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 신미란(2007), 음악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 정재권(1985), 뇌성마비유아의 놀이 지도, 우석대학교특수교육연구소
- 한윤교(1999), 경직형 양측 뇌성마비아의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뇌성마비아를 위한 음악치료는 사회적 적응에 중점을 둔 것과 신체기능 훈련에 중점을 둔 두 방향으로 나눌 수 있다.
Bruner(1952)의 연구에서 음악치료 활동은 뇌성마비 아동의 주의산만성, 과민성 및 긴장이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반대로 주의집중에 큰 효과 있으며, Lesak(1952)과 Bruner(1952)는 동기 활동에 음악적인 자극이 큰 영향을 끼치며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해 준다는 보고를 한 바 있다. Doll(1961)은 음악치료를 위한 감상활동은 내적 인간관계의 긍정적 용기를 불러일으키며 이들이 운동교정에 큰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고, Weigl(1955)은 음악활동이 최초의 긴장이완을 증진시키며 모든 활동의 자극과 근육의 힘과 운동의 협응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하고 있다.
Schneider(1957)는 뇌성마비 학생들의 작업활동에 있어 심리운동의 구성요소에 그 효과가 지대함을 보고했는 바, 10명의 뇌성마비 학생들의 경직성 발작형, 불수의 운동형, 운동실조성, 혼합형의 증세를 가진 뇌성마비 학생들을 대상으로 6개월간 음악치료를 위한 감상활동을 통하여
첫째, 음악은 주 과제 작업에서 다양하게 심리적 과정에서 효과를 보였다.
둘째, 음악은 주 과제의 작업 활동에서 질과 양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뇌성마비 학생들의 주 과제의 작업을 통해 정신적, 신체적 조건 전반에서 음악이 영향을 이치고 있음을 오였는데, 특히 경직성 발작형과 불수의 운동형 증세의 뇌성마비 학생들에게는 신체적인 진정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Lathom(1961)은 자발적인 근육조절에 음악적 환경이 매우 효과적이었음을 보고한 바 있는 데, 음악이 없는 조건과 진정적인 음악과 자극적인 음악이 각 조건에서 조절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가에 대해 연구한 결과
첫째, 세 가지 경험조건에서는 동일한 방법의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무정위운동형 학생은 진정적 음악의 반응에서는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고, 자극적인 음악에는 운동실조형이 도움이 되었다.
셋째, 어떤 항목에서는 다른 날 다른 태도에서 같은 음악이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넷째, 만약 신체운동 조절에서 매우 유익한 효과가 음악 때문에 나타난다면 개별적으로 바람직한 효과의 음악을 주의 깊게 선택하여야 한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국립특수교육원, 1997, 재인용86-88).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악활동은 중추성 운동장애와 지능장애를 비롯하여 감각지각장애, 언어장애등의 다양한 장애를 수반하고 있는 뇌성마비아에게 과긴장으로 인한 불수의적 동작을 개선하고 정서적 안정감에도 큰 효과를 가져오므로 뇌성마비 학생의 교육과 치료에 음악활동이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들이 여러 가지 리듬과 노래에 맞추어 신체를 움직이고 표현할 수 있는 이동, 비이동, 조작 운동이 포함된 신체리듬훈련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함으로써 뇌성마비아의 운동 및 사회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 김상협(1966), 뇌성마비의 원인과 치료, 대한의사협회
- 구신실 외 1명(2009),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의 신경인지기능 특성,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박영자(1987), 뇌성마비 아동의 시각-운동 능력 특성,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 신미란(2007), 음악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 정재권(1985), 뇌성마비유아의 놀이 지도, 우석대학교특수교육연구소
- 한윤교(1999), 경직형 양측 뇌성마비아의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