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구조물과 발파해체공법
1. 전도 공법(Felling)
2. 단축붕괴공법(Telescoping)
3. 내파 공법(Implosion)
4. 점진붕괴공법(Progressive Collapse)
5. 상부공략공법(Topping)전도공법과 단축공법을 혼합한 공법
Ⅲ. 구조물과 농업시설물
Ⅳ. 구조물과 교량
1. 아치(Arch)구조
2. 현수식(Suspension)구조
3. 트러스(Triss)구조
4. 빔(Beam)구조
Ⅴ. 구조물과 뼈대구조물
Ⅵ. 구조물과 항공우주용구조물
참고문헌
Ⅱ. 구조물과 발파해체공법
1. 전도 공법(Felling)
2. 단축붕괴공법(Telescoping)
3. 내파 공법(Implosion)
4. 점진붕괴공법(Progressive Collapse)
5. 상부공략공법(Topping)전도공법과 단축공법을 혼합한 공법
Ⅲ. 구조물과 농업시설물
Ⅳ. 구조물과 교량
1. 아치(Arch)구조
2. 현수식(Suspension)구조
3. 트러스(Triss)구조
4. 빔(Beam)구조
Ⅴ. 구조물과 뼈대구조물
Ⅵ. 구조물과 항공우주용구조물
참고문헌
본문내용
축조할 수가 있다. 그래서 석조 아치의 역사는 오래되어 로마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현존하는 것이 많이 있다. 경주 불국사에서도 청운교 백운교 등 다수의 오랜 석조 아치교를 볼 수 있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철근콘크리트나 강이 교체재료로서 쓰이게 되어 구조적으로도 장대한 경간을 가진 아치교가 가설되게 되었다.
하중을 기둥없이 면내력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조적식구조에도 적합하다.
2. 현수식(Suspension)구조
케이블을 사용하여 인장응력에 의하여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로 대스판이 가능하여 교량 등에 사용된다.
현수교의 기원은 아치보다도 먼저 인류에게 이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고대 중국의 현수교나 옛 영국의 현수교 등이 전해지지만 오늘날처럼 속도가 빠르고 무거운 차량의 통행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원시적 구조물이다.
근대적인 현수교로서 구비해야 할 요소를 원시적이나마 갖춘 다리를 처음으로 건설한 사람은 J.핀리인데, 이 현수교에서는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트러스가 도입되었다. 단지 바닥판을 매단 것뿐인 현수교에서는 바닥판에 무거운 하중이 얹히면 그 곳이 현저하게 처지므로, 근대의 현수교에서는 바닥판 부분에 플레이트거더(plate girder) 또는 트러스를 조합해서 강성을 부여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3. 트러스(Triss)구조
직선적인 부재로 구성되는 삼각형을 단위로 하는 구조골조이다.
각 부재의 단부절점이 모두 핀접합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단순히 트러스라고도 한다. 부재의 중간점에 하중이 작용하면 그 부재에는 축방향력 외에 굽힘(벤딩)모멘트(힘)와 층밀리기힘이 생기는데, 절점의 위치에 하중이 가해지면 각 부재에는 축방향력만이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굽힘모멘트를 받는 부재에 비하여 변형이 작다.
주로 삼각형의 형태로 체육관 등 큰 공간의 천장구조방식으로 사용된다.
4. 빔(Beam)구조
교각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우고 교각과 교각 사이에 빔을 한개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를 걸치는 구조로 횡하중을 지지하는 가늘고 긴 봉재. 철골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목재구조 등 건축뼈대를 구성하는 길고 가느다란 봉재 중 수평방향으로 놓여 주로 그 재축선에 수직방향으로 횡하중을 지탱하는 작용을 한다.
Ⅴ. 구조물과 뼈대구조물
뼈대구조물은 강결결합이나 회전결합으로 연결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체로서(2,7,19,75), 토목, 건축 등의 구조공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연구 대상이다. 뼈대 부재의 변위장 및 부재력은 보-기둥 이론을 이용하는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해석하며(127,194,195), 구조용 강재를 이용하는 뼈대구조물의 보다 엄밀한 설계를 위한 구조해석 분야에서는 기하학적 비선형 거동 특성에 영향을 받는 실제 구조물의 대변형 및 탄소성 해석과 구조물에 대한 소성붕괴, 좌굴 및 후좌굴 거동에 대한 해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2,15,115,119)
뼈대구조물에 대한 비선형 해석은 1850년 St. Venant이 최초로 시도한 이후로 Timoshenko(178)에 의해 휨, 비틀림,
하중을 기둥없이 면내력으로 지지하는 구조로 조적식구조에도 적합하다.
2. 현수식(Suspension)구조
케이블을 사용하여 인장응력에 의하여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로 대스판이 가능하여 교량 등에 사용된다.
현수교의 기원은 아치보다도 먼저 인류에게 이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고대 중국의 현수교나 옛 영국의 현수교 등이 전해지지만 오늘날처럼 속도가 빠르고 무거운 차량의 통행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원시적 구조물이다.
근대적인 현수교로서 구비해야 할 요소를 원시적이나마 갖춘 다리를 처음으로 건설한 사람은 J.핀리인데, 이 현수교에서는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트러스가 도입되었다. 단지 바닥판을 매단 것뿐인 현수교에서는 바닥판에 무거운 하중이 얹히면 그 곳이 현저하게 처지므로, 근대의 현수교에서는 바닥판 부분에 플레이트거더(plate girder) 또는 트러스를 조합해서 강성을 부여하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3. 트러스(Triss)구조
직선적인 부재로 구성되는 삼각형을 단위로 하는 구조골조이다.
각 부재의 단부절점이 모두 핀접합으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단순히 트러스라고도 한다. 부재의 중간점에 하중이 작용하면 그 부재에는 축방향력 외에 굽힘(벤딩)모멘트(힘)와 층밀리기힘이 생기는데, 절점의 위치에 하중이 가해지면 각 부재에는 축방향력만이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굽힘모멘트를 받는 부재에 비하여 변형이 작다.
주로 삼각형의 형태로 체육관 등 큰 공간의 천장구조방식으로 사용된다.
4. 빔(Beam)구조
교각을 일정한 간격으로 세우고 교각과 교각 사이에 빔을 한개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를 걸치는 구조로 횡하중을 지지하는 가늘고 긴 봉재. 철골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목재구조 등 건축뼈대를 구성하는 길고 가느다란 봉재 중 수평방향으로 놓여 주로 그 재축선에 수직방향으로 횡하중을 지탱하는 작용을 한다.
Ⅴ. 구조물과 뼈대구조물
뼈대구조물은 강결결합이나 회전결합으로 연결된 선형부재로 이루어진 구조체로서(2,7,19,75), 토목, 건축 등의 구조공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연구 대상이다. 뼈대 부재의 변위장 및 부재력은 보-기둥 이론을 이용하는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해석하며(127,194,195), 구조용 강재를 이용하는 뼈대구조물의 보다 엄밀한 설계를 위한 구조해석 분야에서는 기하학적 비선형 거동 특성에 영향을 받는 실제 구조물의 대변형 및 탄소성 해석과 구조물에 대한 소성붕괴, 좌굴 및 후좌굴 거동에 대한 해석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2,15,115,119)
뼈대구조물에 대한 비선형 해석은 1850년 St. Venant이 최초로 시도한 이후로 Timoshenko(178)에 의해 휨, 비틀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