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카페베네 소개
(1) 카페베네 브랜드개요
(2) 카페베네 연혁
(3) 카페베네 브랜드 이미지
2. 5 FORCES MODEL 분석
3. 카페베네의 차별화된 서비스전략
(1) 메뉴전략
(2) 매장인테리어 전략
4. 카페베네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STP전략
(1) 세분화 및 목표시장
(2) 포지셔닝
6. 카페베네 글로벌시장 진출전략
(1) 미국진출사례
(2) 중국진출사례
7. 카페베네 마케팅전략
(1) PPL활용 마케팅전략
(2) 사람중심의 감성마케팅
(3) 인적판매전략
8. 카페베네 향후전략 제안
9. 결론 및 나의견해
(1) 카페베네 브랜드개요
(2) 카페베네 연혁
(3) 카페베네 브랜드 이미지
2. 5 FORCES MODEL 분석
3. 카페베네의 차별화된 서비스전략
(1) 메뉴전략
(2) 매장인테리어 전략
4. 카페베네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STP전략
(1) 세분화 및 목표시장
(2) 포지셔닝
6. 카페베네 글로벌시장 진출전략
(1) 미국진출사례
(2) 중국진출사례
7. 카페베네 마케팅전략
(1) PPL활용 마케팅전략
(2) 사람중심의 감성마케팅
(3) 인적판매전략
8. 카페베네 향후전략 제안
9. 결론 및 나의견해
본문내용
엔젤리너스에 3위자리를 빼았겼고 이디야 커피전문점은 5위로 급부상한 점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현재 순위에 만족하지 않고 최고의 커피전문점이 되기 위해 여러 가지 전략을 취하며 계속해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커피전문점의 순위는 계속해서 바뀔 것입니다.
(3) 대체재의 위협
커피전문점의 대체재는 실제로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음료수 유통업체인 편의점, 마트, 자판기 등이 있고 제품 측면에서는 믹스커피, 캔커피, 더치커피, 커피우유 등과 같은 커피음료류과 생수,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 모든 음료수가 대체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커피숍에 가지 않아도 다른 곳에 가거나 다른 방법으로 커피를 마실 수 있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대체재의 위협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공급자의 교섭력
커피전문점은 원재료를 직접 마켓에서 구매하기도 하고 직영점을 운영하기도 합니다. 공급자의 교섭력을 분석하는데 있어 두 가지 시각으로 생각해보았습니다.
먼저 공급업체가 꼭 그 커피전문점에 원재료를 유통하지 않아도 되고, 커피전문점의 사업자들도 원재료를 어디서나 구입할 수 있다 생각되어 공급자의 교섭력이 낮지도 높지도 않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상대로 하는 공급자들은 교섭력이 매우 낮은 ‘을’ 관계에 있습니다. 공급자는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이 부르는 단가를 어쩔 수 없이 맞춰줘야 하는 경우가 허다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5) 구매자의 교섭력
제품이 차별화 되어있지 않은 경우 구매자의 입장에서 교체비용이 상당히 낮아지기 때문에 구매자의 교섭력이 높아집니다. 앞서 말했듯이 커피전문점의 메뉴는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프라푸치노, 스무디, 빙수류, 베이커리 등으로 비슷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메뉴의 맛에는 차이가 있을지라도 소비자가 커피빈에서 아메리카노를 마시다가 스타벅스에서 아메리카노를 마신다해도 교체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또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과 SNS, 블로그 등의 활성화로 인해 구매자의 정보력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구매자는 커피전문점의 메뉴를 인터넷의 레시피를 통해 제조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믹스커피도 아메리카노, 아이스커피, 일반커피로 다양하게 출시되고 더치커피 원액을 구매하여 원하는 비율로 커피를 만들어 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매자의 후방통합력 또한 매우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구매자의 가격민감도는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사먹는 것을 비싸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는 반면 적당한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도 있기 때문에 구매자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커피전문점 브랜드에 따른 차별화정도도 구매자의 교섭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소비자에 따라 특정 프랜차이즈업체의 커피와 매장분위기를 선호하는 고객들이 있습니다. 반면 커피전문점을 대부분 비슷하다고 여기고 아무데나 가는 소비자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정해져 있는 것 같지 않습니다.
산업구조분석을 통해 커피전문점 산업을 분석해본 결과 산업의 매력도가 매우 낮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현재 커피전문점 산업은 진입장벽이 낮아 신규진출기업의 위협이 높고 기존 기업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대체재의 위협과 구매자의 교섭력이 높은 실정입니다. 이렇듯 산업의 매력도가 낮은 커피전문점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핵심요인은 ‘제품의 차별화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커피전문점 메뉴 자체로는 큰 차별화 요인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커피전문점이 커피류, Non커피류, 디저트의 메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3. 카페베네의 차별화된 서비스전략
(1) 메뉴전략
카페베네는 2011년도에 건강과 새로운 맛을 강조한 16가지의 신 메뉴를 출시, 음료뿐만 아니라 디저트 메뉴에서도 선택의 폭을 더욱 넓힘.
또 카페베네는 고품질의 천연 원재료를 사용해 고급스러운 맛과 높은 영양가가 돋보이는 7가지의 새로운 요거트스무디(플레인, 딸기, 블루베리, 망고패션부프츠, 유자, 홍시)도 새로운 매뉴로 출시함.
그리고 영양가가 풍부한 카페베네 오곡음료 베네스또 3종류(플레인 오곡, 카라멜시나몽 베네스또, 크랜베리아몬드 베네스또)도 출시했다.
음료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디저트는 달아야한다는 통념을 깨고 달콜함과 새콤함, 매콤함 등과 같이 한층 업그레이드 된 6가지의 디저트 메뉴도 출시
카페베네 김동한 온라인마케팅 팀장은 “신 메뉴 출시 전 고객들의 철저한 기호 및 선호도 조사뿐만 아니라 음료와 디저트 메뉴의 영양가 및 다양성을 고려해 신 메뉴를 출시했다”면서 “메뉴 업그레이드를 통해 커피전문점 업계 내 카페베네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음
이와 같은 노력으로 카페베네는 2015년도에 커피전문점 서비스만족도 설문조사에서 메뉴 다양성 부분에서 다른 커피전문점들보다 높은 소비자만족도를 받았음.
현재 카페베네은 이러한 것들을 알고 9가지 베이글과 14가지의 크림치즈로 126가지의 조합의 맛을 즐길수 있는 126가지 베이글 신메뉴를 출시해 인기가 폭발중이다.
(2) 매장인테리어 전략
카페베네의 인테리어 콘셉은 유럽식 카페를 모티브. 유럽식 카페는 즐거우면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인테리어 및 공간 설계를 지향하고 있다. 때문에 카페베네에 가면 유럽 카페에 온 듯한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카페베네 김동한 온라인마케팅 팀장은 “카페베네는 타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위해 지중해 연안에서 볼 수 있는 색상으로 자연의 따뜻함을 구현해 냈다”면서 “자칫 지루할 수 있는 분위기는 포인트가 되는 색상과 가구의 다양한 형태로 역동적인 느낌을 부여한 것 때문에 고객들이 매장 분위기를 식상해하지 않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카페베네에 자주 방문한다는 한 직장인은 “매장에 가면 일단 좌석 배치가 비교적 여유롭게 되어 있어 사람들을 만나거나 책을 볼 때도 불편함이 없다”면서 “다른 사람의 눈치 보지 않고 아늑하게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 있어 자주 찾는다”고 말했다.
이런 차별화된 매장인테리어를 때문에 2011년에 한국소비자원과 카이스트공정거래연구센터가 실시한 고객만족도 평가에거 고객들이 선호하는 매장분위기 1위에 선정
(3) 대체재의 위협
커피전문점의 대체재는 실제로 매우 다양합니다. 다른 음료수 유통업체인 편의점, 마트, 자판기 등이 있고 제품 측면에서는 믹스커피, 캔커피, 더치커피, 커피우유 등과 같은 커피음료류과 생수,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 모든 음료수가 대체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커피숍에 가지 않아도 다른 곳에 가거나 다른 방법으로 커피를 마실 수 있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거의 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대체재의 위협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공급자의 교섭력
커피전문점은 원재료를 직접 마켓에서 구매하기도 하고 직영점을 운영하기도 합니다. 공급자의 교섭력을 분석하는데 있어 두 가지 시각으로 생각해보았습니다.
먼저 공급업체가 꼭 그 커피전문점에 원재료를 유통하지 않아도 되고, 커피전문점의 사업자들도 원재료를 어디서나 구입할 수 있다 생각되어 공급자의 교섭력이 낮지도 높지도 않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상대로 하는 공급자들은 교섭력이 매우 낮은 ‘을’ 관계에 있습니다. 공급자는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이 부르는 단가를 어쩔 수 없이 맞춰줘야 하는 경우가 허다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5) 구매자의 교섭력
제품이 차별화 되어있지 않은 경우 구매자의 입장에서 교체비용이 상당히 낮아지기 때문에 구매자의 교섭력이 높아집니다. 앞서 말했듯이 커피전문점의 메뉴는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프라푸치노, 스무디, 빙수류, 베이커리 등으로 비슷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메뉴의 맛에는 차이가 있을지라도 소비자가 커피빈에서 아메리카노를 마시다가 스타벅스에서 아메리카노를 마신다해도 교체비용이 들지 않습니다. 또한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과 SNS, 블로그 등의 활성화로 인해 구매자의 정보력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구매자는 커피전문점의 메뉴를 인터넷의 레시피를 통해 제조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믹스커피도 아메리카노, 아이스커피, 일반커피로 다양하게 출시되고 더치커피 원액을 구매하여 원하는 비율로 커피를 만들어 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매자의 후방통합력 또한 매우 높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구매자의 가격민감도는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사먹는 것을 비싸다고 여기는 사람이 있는 반면 적당한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도 있기 때문에 구매자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커피전문점 브랜드에 따른 차별화정도도 구매자의 교섭력에 영향을 미치므로 소비자에 따라 특정 프랜차이즈업체의 커피와 매장분위기를 선호하는 고객들이 있습니다. 반면 커피전문점을 대부분 비슷하다고 여기고 아무데나 가는 소비자도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는 정해져 있는 것 같지 않습니다.
산업구조분석을 통해 커피전문점 산업을 분석해본 결과 산업의 매력도가 매우 낮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현재 커피전문점 산업은 진입장벽이 낮아 신규진출기업의 위협이 높고 기존 기업 간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대체재의 위협과 구매자의 교섭력이 높은 실정입니다. 이렇듯 산업의 매력도가 낮은 커피전문점 산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핵심요인은 ‘제품의 차별화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앞서 말했듯이 커피전문점 메뉴 자체로는 큰 차별화 요인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커피전문점이 커피류, Non커피류, 디저트의 메뉴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3. 카페베네의 차별화된 서비스전략
(1) 메뉴전략
카페베네는 2011년도에 건강과 새로운 맛을 강조한 16가지의 신 메뉴를 출시, 음료뿐만 아니라 디저트 메뉴에서도 선택의 폭을 더욱 넓힘.
또 카페베네는 고품질의 천연 원재료를 사용해 고급스러운 맛과 높은 영양가가 돋보이는 7가지의 새로운 요거트스무디(플레인, 딸기, 블루베리, 망고패션부프츠, 유자, 홍시)도 새로운 매뉴로 출시함.
그리고 영양가가 풍부한 카페베네 오곡음료 베네스또 3종류(플레인 오곡, 카라멜시나몽 베네스또, 크랜베리아몬드 베네스또)도 출시했다.
음료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디저트는 달아야한다는 통념을 깨고 달콜함과 새콤함, 매콤함 등과 같이 한층 업그레이드 된 6가지의 디저트 메뉴도 출시
카페베네 김동한 온라인마케팅 팀장은 “신 메뉴 출시 전 고객들의 철저한 기호 및 선호도 조사뿐만 아니라 음료와 디저트 메뉴의 영양가 및 다양성을 고려해 신 메뉴를 출시했다”면서 “메뉴 업그레이드를 통해 커피전문점 업계 내 카페베네의 입지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음
이와 같은 노력으로 카페베네는 2015년도에 커피전문점 서비스만족도 설문조사에서 메뉴 다양성 부분에서 다른 커피전문점들보다 높은 소비자만족도를 받았음.
현재 카페베네은 이러한 것들을 알고 9가지 베이글과 14가지의 크림치즈로 126가지의 조합의 맛을 즐길수 있는 126가지 베이글 신메뉴를 출시해 인기가 폭발중이다.
(2) 매장인테리어 전략
카페베네의 인테리어 콘셉은 유럽식 카페를 모티브. 유럽식 카페는 즐거우면서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인테리어 및 공간 설계를 지향하고 있다. 때문에 카페베네에 가면 유럽 카페에 온 듯한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카페베네 김동한 온라인마케팅 팀장은 “카페베네는 타 브랜드와의 차별화를 위해 지중해 연안에서 볼 수 있는 색상으로 자연의 따뜻함을 구현해 냈다”면서 “자칫 지루할 수 있는 분위기는 포인트가 되는 색상과 가구의 다양한 형태로 역동적인 느낌을 부여한 것 때문에 고객들이 매장 분위기를 식상해하지 않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카페베네에 자주 방문한다는 한 직장인은 “매장에 가면 일단 좌석 배치가 비교적 여유롭게 되어 있어 사람들을 만나거나 책을 볼 때도 불편함이 없다”면서 “다른 사람의 눈치 보지 않고 아늑하게 커피 한 잔의 여유를 즐길 수 있어 자주 찾는다”고 말했다.
이런 차별화된 매장인테리어를 때문에 2011년에 한국소비자원과 카이스트공정거래연구센터가 실시한 고객만족도 평가에거 고객들이 선호하는 매장분위기 1위에 선정
추천자료
마케팅 원론[국내외 동일 업종 내 경쟁기업 간의 경쟁전략 사례 비교 분석]
아모레퍼시픽 오설록 티하우스 마케팅 4P, STP, SWOT 분석과 오설록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블랙스미스 마케팅전략분석과 블랙스미스 소비자행동분석및 블랙스미스 향후방향분석
소셜미디어 SNS 마케팅의 정의와 기업별 SNS마케팅전략 사례분석및 시사점
스타벅스 (Starbucks) 마케팅 4P, STP, SWOT분석과 스타벅스 두유라떼 판매전략과 스타벅스 ...
[서비스마케팅] 민들레영토 서비스 마케팅 분석
망고식스(MANGOSIX) 마케팅 전략분석과 망고식스 문제점분석과 대안 제안 - STP전략, 4P분석,...
인류와 식량 보고서-‘왜 차 시장은 커피시장만큼 성공하지 못했을까?’
이디야커피 EDIYA 기업분석과 이디야 마케팅 STP,4P전략분석및 이디야 SWOT분석및 향후전략제안
서비스경영 스타벅스 사례연구
이디야커피 vs 스타벅스 마케팅전략과 STP전략 비교분석및 스타벅스,이디야 새로운전략 제안 ...
[ 스타벅스 서비스,마케팅 성공사례연구 ] 스타벅스(Starbucks) 마케팅사례와 서비스 성공요...
「떡보의하루」 글로벌 마케팅전략 - 떡보의하루 기업분석과 SWOT분석 및 떡보의하루 중국진...
「망고식스(MangoSix)」망고식스 마케팅전략/커피시장 규모,현황/자사분석/경쟁사분석/4p,SWO...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