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문제 제기 및 목적 …………………………………………………………… 2
2. 차 시장과 커피 시장의 현황 ……………………………………………… 2
Ⅱ. 본론
1. 차 시장의 실패요인 …………………………………………………………… 4
(1) 거대자본의 유입여부
(2) 생산자의 노력 부족
(3) 홍보 부족
(4) 커피와의 대체재 관계
2. 커피 시장의 성공요인 ………………………………………………………… 6
(1) 커피만의 특징
(2) 커피체인점의 성공
(3) 커피의 의미 확장
3. 차 시장의 개선방향 …………………………………………………………… 8
(1) 자본 투자
(2) 고유한 캐릭터나 로고 개발
(3) SNS를 통한 홍보
(4) 소비층의 다양화
4. 성공적인 찻집을 위한 마케팅 ………………………………………………… 10
(1) 인테리어 개선
(2) Take-out 활성화
(3) 장소의 특성 활용
(4) 새로운 메뉴 개발
Ⅲ. 결론 …………………………………………………………………………… 12
Ⅳ. 참고문헌 ……………………………………………………………………… 13
1. 문제 제기 및 목적 …………………………………………………………… 2
2. 차 시장과 커피 시장의 현황 ……………………………………………… 2
Ⅱ. 본론
1. 차 시장의 실패요인 …………………………………………………………… 4
(1) 거대자본의 유입여부
(2) 생산자의 노력 부족
(3) 홍보 부족
(4) 커피와의 대체재 관계
2. 커피 시장의 성공요인 ………………………………………………………… 6
(1) 커피만의 특징
(2) 커피체인점의 성공
(3) 커피의 의미 확장
3. 차 시장의 개선방향 …………………………………………………………… 8
(1) 자본 투자
(2) 고유한 캐릭터나 로고 개발
(3) SNS를 통한 홍보
(4) 소비층의 다양화
4. 성공적인 찻집을 위한 마케팅 ………………………………………………… 10
(1) 인테리어 개선
(2) Take-out 활성화
(3) 장소의 특성 활용
(4) 새로운 메뉴 개발
Ⅲ. 결론 …………………………………………………………………………… 12
Ⅳ. 참고문헌 ……………………………………………………………………… 13
본문내용
염, 살균 및 해독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차는 비만을 막아주고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동맥경화증을 예방해준다. 정동효, 윤백현, 이영희, 『차생활문화대전』, 홍익재, 2012, 31면.
이러한 좋은 기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홍보 부족으로 소비자들은 차의 효능은커녕 녹차, 홍차, 유자차 등의 기본적인 종류의 차만을 즐기고 있는 실정이다.
(4) 커피와의 대체재 관계
마지막으로 차와 커피가 대체재 관계에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대체재 관계란 재화 중에서 같은 효용을 얻을 수 있는 대체관계에 있는 두 재화 중 하나의 수요가 증가하면 다른 하나는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아래의 [그림-3]은 대체재 성격을 띠는 두 재화의 관계를 나
[그림-3] 대체재 관계 그래프 http://cafe.naver.com/theuosstock/409
타낸 그래프이다. 한 재화의 가격이 P1에서 P2로 증가하게 되면 수요가 Q1에서 Q2로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대체제인 다른 재화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커피시장에 급격하게 성장하기 시작한 2000년 대 중반 이후부터 차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는 보성 녹차의 재배면적은 소비자들의 수요의 감소와 함께 꾸준히 감소 중에 있다. 보성군에서 조사한 통계 자료에 의하면 보성녹차의 재배면적은 2007년 11.48km²였던 것이 2011년 10.63km²으로 줄어들 정도로 커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2. 커피 시장의 성공요인
지금까지 우리는 차 시장의 실패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커피시장의 성공요인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도 차에 비해서도 늦으며, 우리나라에 들어온 기간도 그다지 길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의 시장을 이렇게 압도적으로 점령을 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 우리는 크게 3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1) 커피만의 특징
첫 번째 이유로, 차와 차별화된 커피만의 특징을 들 수 있다. 차에 비하여 커피는 그 향과 맛이 강하다. 차는 마실 때 코를 가까이 데어야만 그 향이 잘 느껴지는 반면에, 커피의 경우에는 커피숍에만 들어가도 커피향이 확 나는 것이 느껴진다. 실제로 커피는 인류가 이용하는 먹을거리 중 가장 풍부한 향기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까지 연구된 바로는 약 850가지의 화학 물질이 커피향기를 구성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강하고 깊은 커피의 향과 맛에 익숙해져 버린 사람들은 차의 은은한 향과 약간은 밋밋한 맛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또 하나 차와 차별화된 커피의 특징으로 각성제의 효과를 들 수 있다. 일본 메이지대 문학부 교수인 사이토 다카시의『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가지 힘』에서 저자는 \"서양의 근대화로부터 시작된 과도한 업무형태를 부추기고 지탱해준 것이 바로 \'커피\'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라고 언급하고 있다.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이겠지만, 차도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커피에 보다 많은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어 각성제 역할을 하는데 있어 차에 비해 효과가 좋다고 할 수 있다. 아래 [그림-4]는 차와 커피 속에 들어있는 카페인의 양을 나
[그림-4] 차와 커피의 카페인 함유량 http://blog.naver.com/sjs4212?Redirect=Log&logNo=70137738241
타낸 그림이다. 평균적으로 20mg이 조금 안 되는 카페인을 함유한 차에 비해 커피는 차의 7배 정도인 135mg의 카페인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듯 차에 비하여 카페인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커피는 정신을 맑게 해주며 육체를 깨워 주는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과도한 업무로 인하여 늦은 시간까지 일을 해야 하는 직장인들과 공부를 하는 학생들에게 각성제로서 인기를 얻었다. 미국의 저명한 커피 회사와 마케팅 회사가 공동으로 커피를 마시는 이유에 관하여 오랫동안 커피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해본 결과 커피 소비자중 60%는 \'맛과 향기\' 때문에 커피를 마신다고 답하였다고 한다. 두 번째로는 20%의 선택을 받은 \'피로를 풀어주고 활력을 주는 기능\'때문이라고 답하였다. 문준웅 박사, 『완전한 에스프레소, 커피의 이해』, 아이비라인, 2008, 53면.
이처럼 커피만이 가진 특징들이 오늘날 커피시장의 성공을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2) 커피체인점의 성공
두 번째 이유로는 커피 체인점의 시작과 그 성공을 들 수 있다. 커피전문점은 집에서만 먹던 커피를 밖에서도 사먹을 수 있게 만든 한 사람의 발상 전환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후 프렌차이즈 커피전문점이 속속들이 생겨나면서 커피는 언제 어디서나 접할 수 있는 식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여기에다 바쁜 현대인들을 고려하여 편리한 take-out 방식의 판매 전략까지 도입되면서 커피의 인기는 솟구치게 된다. 그렇게 점차적으로 커피 프렌차이즈 시장이 커지고 그 수가 늘어나면서 더불어 커피시장까지 커지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렇다면 커피 체인점은 성공요인은 무엇일까? 프렌차이즈 커피전문점들의 성공비결을 들여다보면, 앞에서 언급한 take-out 방식을 비롯하여 시간과 공간을 활용,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제공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커피 이외의 와플 등의 먹을거리를 함께 판매함과 동시에, 광고와 PPL 효과 등을 내세워 성공궤도를 달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스마트폰 사용자는 3000만 명을 넘어섰는데, 시대의 흐름에 맞춰 카페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람들의 까페 이용도를 늘릴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브랜드의 수많은 프렌차이즈점들은 접근성이 좋은 곳에 자리를 잡아 사람들이 시간과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사람들의 모임장소, 즉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도 프렌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성공요인이라 할 수 있다. 커피 이외의 다른 먹을거리들까지 판매하는 마케팅 전략도 커피 프렌차이점의 성공 이유 중 하나로 들 수 있다. 식사를 한 이후에 후식으로 커피를 마시기 위해 잠시 들렸던 카페가 이제는 아침이나 브런치 등의 식사도 해결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케
이러한 좋은 기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홍보 부족으로 소비자들은 차의 효능은커녕 녹차, 홍차, 유자차 등의 기본적인 종류의 차만을 즐기고 있는 실정이다.
(4) 커피와의 대체재 관계
마지막으로 차와 커피가 대체재 관계에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대체재 관계란 재화 중에서 같은 효용을 얻을 수 있는 대체관계에 있는 두 재화 중 하나의 수요가 증가하면 다른 하나는 감소하는 것을 말한다. 아래의 [그림-3]은 대체재 성격을 띠는 두 재화의 관계를 나
[그림-3] 대체재 관계 그래프 http://cafe.naver.com/theuosstock/409
타낸 그래프이다. 한 재화의 가격이 P1에서 P2로 증가하게 되면 수요가 Q1에서 Q2로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대체제인 다른 재화는 오른쪽 그림과 같이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제로 커피시장에 급격하게 성장하기 시작한 2000년 대 중반 이후부터 차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는 보성 녹차의 재배면적은 소비자들의 수요의 감소와 함께 꾸준히 감소 중에 있다. 보성군에서 조사한 통계 자료에 의하면 보성녹차의 재배면적은 2007년 11.48km²였던 것이 2011년 10.63km²으로 줄어들 정도로 커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2. 커피 시장의 성공요인
지금까지 우리는 차 시장의 실패 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커피시장의 성공요인은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도 차에 비해서도 늦으며, 우리나라에 들어온 기간도 그다지 길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의 시장을 이렇게 압도적으로 점령을 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서 우리는 크게 3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1) 커피만의 특징
첫 번째 이유로, 차와 차별화된 커피만의 특징을 들 수 있다. 차에 비하여 커피는 그 향과 맛이 강하다. 차는 마실 때 코를 가까이 데어야만 그 향이 잘 느껴지는 반면에, 커피의 경우에는 커피숍에만 들어가도 커피향이 확 나는 것이 느껴진다. 실제로 커피는 인류가 이용하는 먹을거리 중 가장 풍부한 향기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까지 연구된 바로는 약 850가지의 화학 물질이 커피향기를 구성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강하고 깊은 커피의 향과 맛에 익숙해져 버린 사람들은 차의 은은한 향과 약간은 밋밋한 맛에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또 하나 차와 차별화된 커피의 특징으로 각성제의 효과를 들 수 있다. 일본 메이지대 문학부 교수인 사이토 다카시의『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가지 힘』에서 저자는 \"서양의 근대화로부터 시작된 과도한 업무형태를 부추기고 지탱해준 것이 바로 \'커피\'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라고 언급하고 있다. 모두가 다 알고 있는 사실이겠지만, 차도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커피에 보다 많은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어 각성제 역할을 하는데 있어 차에 비해 효과가 좋다고 할 수 있다. 아래 [그림-4]는 차와 커피 속에 들어있는 카페인의 양을 나
[그림-4] 차와 커피의 카페인 함유량 http://blog.naver.com/sjs4212?Redirect=Log&logNo=70137738241
타낸 그림이다. 평균적으로 20mg이 조금 안 되는 카페인을 함유한 차에 비해 커피는 차의 7배 정도인 135mg의 카페인을 포함하고 있다. 이렇듯 차에 비하여 카페인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커피는 정신을 맑게 해주며 육체를 깨워 주는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과도한 업무로 인하여 늦은 시간까지 일을 해야 하는 직장인들과 공부를 하는 학생들에게 각성제로서 인기를 얻었다. 미국의 저명한 커피 회사와 마케팅 회사가 공동으로 커피를 마시는 이유에 관하여 오랫동안 커피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해본 결과 커피 소비자중 60%는 \'맛과 향기\' 때문에 커피를 마신다고 답하였다고 한다. 두 번째로는 20%의 선택을 받은 \'피로를 풀어주고 활력을 주는 기능\'때문이라고 답하였다. 문준웅 박사, 『완전한 에스프레소, 커피의 이해』, 아이비라인, 2008, 53면.
이처럼 커피만이 가진 특징들이 오늘날 커피시장의 성공을 이끌었다고 할 수 있다.
(2) 커피체인점의 성공
두 번째 이유로는 커피 체인점의 시작과 그 성공을 들 수 있다. 커피전문점은 집에서만 먹던 커피를 밖에서도 사먹을 수 있게 만든 한 사람의 발상 전환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후 프렌차이즈 커피전문점이 속속들이 생겨나면서 커피는 언제 어디서나 접할 수 있는 식품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여기에다 바쁜 현대인들을 고려하여 편리한 take-out 방식의 판매 전략까지 도입되면서 커피의 인기는 솟구치게 된다. 그렇게 점차적으로 커피 프렌차이즈 시장이 커지고 그 수가 늘어나면서 더불어 커피시장까지 커지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렇다면 커피 체인점은 성공요인은 무엇일까? 프렌차이즈 커피전문점들의 성공비결을 들여다보면, 앞에서 언급한 take-out 방식을 비롯하여 시간과 공간을 활용, 커뮤니케이션의 장을 제공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커피 이외의 와플 등의 먹을거리를 함께 판매함과 동시에, 광고와 PPL 효과 등을 내세워 성공궤도를 달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스마트폰 사용자는 3000만 명을 넘어섰는데, 시대의 흐름에 맞춰 카페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람들의 까페 이용도를 늘릴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브랜드의 수많은 프렌차이즈점들은 접근성이 좋은 곳에 자리를 잡아 사람들이 시간과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사람들의 모임장소, 즉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도 프렌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성공요인이라 할 수 있다. 커피 이외의 다른 먹을거리들까지 판매하는 마케팅 전략도 커피 프렌차이점의 성공 이유 중 하나로 들 수 있다. 식사를 한 이후에 후식으로 커피를 마시기 위해 잠시 들렸던 카페가 이제는 아침이나 브런치 등의 식사도 해결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케
추천자료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
감성적 컬러 마케팅에 관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PDG세대를 겨냥한 감성 마케팅, 텐바이텐
PDG세대를 겨냥한 감성 마케팅, 텐바이텐
FUN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행동연구
21세기 미래의 마케팅 트랜드(싱글, 엔터테인먼트, 감성, 문화, 웰빙 마케팅)
소비자관점의 마케팅 분석- 미녀는 석류를 좋아해
- 감성 마케팅 - 스타벅스
카페베네 마케팅 분석 - 감성 마케팅, 스타 마케팅, PPL 마케팅
불황시기의 소비자 심리와 효율적 마케팅 방안 - 효율적마케팅,불황의소비자심리.PPT자료
[경품마케팅, 소비자행동, 브랜드자산, 경품, 마케팅, 경품마케팅 효율화방안, 경품규제]경품...
[기업][소비자][마케팅활동]기업과 소비자의 의의, 기업과 소비자의 효용, 기업과 소비자의 ...
코즈마케팅이란,코즈 마케팅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코즈 마케팅의 유행,소비자의 의사결정에 ...
스타벅스 감성 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