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체액 (total body fluid, TBF) : 체중의 60% (세포내액 40%과 세포외액 20%을 합한 것)
Ⅱ. 체액 구간내의 전해질 농도와 단백질
Ⅲ.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
Ⅳ. 산-염기 균형 (Acid-base balance)
Ⅱ. 체액 구간내의 전해질 농도와 단백질
Ⅲ. 체액과 전해질의 균형
Ⅳ. 산-염기 균형 (Acid-base balance)
본문내용
Na2HPO4의 중성염을 적정산 또는 암모늄 화합물의 형태로 배설시키면서 HCO3-를 재생.
- HCO3- 재생과정에 세뇨관강측 세포막의 H+ pump를 통한 H+ 분비과정이 관여.
- H+ pump는 1000배 이상의 농도차는 역행할 수 없으므로 H+ 배설에 한계가 있다.
(정상적으로 하루 10~40 mEq 배설)
② 암모니아 배설 및 HCO3- 보충
세뇨관 세포 내에서 아미노산중 glutamine 대사(과산증때 촉진, 과염기증때 감소)에 의해 NH3 생성.
농도차에 따라 NH3가 세뇨관강 내로 확산
세뇨관강 내에서 NH3는 H+와 결합하여 NH4+형성.
형성된 NH4+는 확산될 수 없으므로 세뇨관강 내에만 머무름.
NH4+가 많을수록 H+ 분비는 자동적으로 증가.
NH4+는 Na2SO4와 결합하여 (NH4)2SO4로 배설
(NH4)2SO4는 중성이므로 요의 pH에 영향을 주지 않아 세뇨관강 쪽으로 H+ 계속 분비.
그러므로 NH4+의 배설이 매우 효과적인 H+ 배설기전임
Ⅴ. 산-염기 불균형
: lung(폐)와 kidney (신장)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면, PCO2는 폐에서 HCO3-는 신장에서 조절.
[HCO3-]/αPCO2 = 20
알칼리증 (alkalosis) : [HCO3-]/αPCO2 의 비가 증가하여 pH가 7.45보다 증가하는 것.
산증(acidosis) : [HCO3-]/αPCO2 의 비가 20보다 감소하여 pH가 7.35이하로 떨어지는 것.
pH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에 따라 호흡성과 대사성으로 구분.
1. 호흡성 산증 및 알칼리증 (Respiratory acidosis and alkalosis)
① 호흡성 산증 : 질병, 혹은 morphine, barbiturate 등의 약물에 의해 호흡중추의 기능이 억제되거나, 기도폐쇄, 폐실질 조직의 병변으로 CO2가 축적.
[HCO3-]/αPCO2 비가 20보다 낮아져 pH 감소, 정상 혈액점 A가 B로 이동(그림 12-19).
② 호흡성 알칼리증 : 체온이 증가, 고산지대에 올라갔을 때, 저산소증 (hypoxia), salicyate등의 호흡중추 자극 약물을 먹어 과환기를 계속하여 체내 CO2 함량 감소.
[HCO3-]/αPCO2 비가 20 이상으로 증가, 혈액점 A가 C로 이동
2. 대사성 산증과 알칼리증 (Metabolic acidosis and alkalosis)
① 대사성 산증 : 신부전 (renal failure), 인산, 황산 및 유기산의 배설이 잘 되지 않거나, 당뇨병 (diabetes mellitus)시 ketone 체 형성이 증가할 때, 췌액, 장액의 손실이 있을 때 유발.
혈액내 HCO3-가 축적된 산과 반응하여 H2CO3를 만들어 폐로 배설 → 혈장내 PCO2는 변하지않고 HCO3-가 현저히 감소 → [HCO3-]/αPCO2 비가 20 이하로 감소. pH 감소. 혈액점은 A에서 D로 이동
② 대사성 알칼리증 : NaHCO3를 과량 먹거나 구토로 위산이 다량 손실되었을 때.
PCO2는 변하지 않고 HCO3-가 현저히 증가. 혈액점은 A에서 E로 이동.
- HCO3- 재생과정에 세뇨관강측 세포막의 H+ pump를 통한 H+ 분비과정이 관여.
- H+ pump는 1000배 이상의 농도차는 역행할 수 없으므로 H+ 배설에 한계가 있다.
(정상적으로 하루 10~40 mEq 배설)
② 암모니아 배설 및 HCO3- 보충
세뇨관 세포 내에서 아미노산중 glutamine 대사(과산증때 촉진, 과염기증때 감소)에 의해 NH3 생성.
농도차에 따라 NH3가 세뇨관강 내로 확산
세뇨관강 내에서 NH3는 H+와 결합하여 NH4+형성.
형성된 NH4+는 확산될 수 없으므로 세뇨관강 내에만 머무름.
NH4+가 많을수록 H+ 분비는 자동적으로 증가.
NH4+는 Na2SO4와 결합하여 (NH4)2SO4로 배설
(NH4)2SO4는 중성이므로 요의 pH에 영향을 주지 않아 세뇨관강 쪽으로 H+ 계속 분비.
그러므로 NH4+의 배설이 매우 효과적인 H+ 배설기전임
Ⅴ. 산-염기 불균형
: lung(폐)와 kidney (신장)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면, PCO2는 폐에서 HCO3-는 신장에서 조절.
[HCO3-]/αPCO2 = 20
알칼리증 (alkalosis) : [HCO3-]/αPCO2 의 비가 증가하여 pH가 7.45보다 증가하는 것.
산증(acidosis) : [HCO3-]/αPCO2 의 비가 20보다 감소하여 pH가 7.35이하로 떨어지는 것.
pH의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에 따라 호흡성과 대사성으로 구분.
1. 호흡성 산증 및 알칼리증 (Respiratory acidosis and alkalosis)
① 호흡성 산증 : 질병, 혹은 morphine, barbiturate 등의 약물에 의해 호흡중추의 기능이 억제되거나, 기도폐쇄, 폐실질 조직의 병변으로 CO2가 축적.
[HCO3-]/αPCO2 비가 20보다 낮아져 pH 감소, 정상 혈액점 A가 B로 이동(그림 12-19).
② 호흡성 알칼리증 : 체온이 증가, 고산지대에 올라갔을 때, 저산소증 (hypoxia), salicyate등의 호흡중추 자극 약물을 먹어 과환기를 계속하여 체내 CO2 함량 감소.
[HCO3-]/αPCO2 비가 20 이상으로 증가, 혈액점 A가 C로 이동
2. 대사성 산증과 알칼리증 (Metabolic acidosis and alkalosis)
① 대사성 산증 : 신부전 (renal failure), 인산, 황산 및 유기산의 배설이 잘 되지 않거나, 당뇨병 (diabetes mellitus)시 ketone 체 형성이 증가할 때, 췌액, 장액의 손실이 있을 때 유발.
혈액내 HCO3-가 축적된 산과 반응하여 H2CO3를 만들어 폐로 배설 → 혈장내 PCO2는 변하지않고 HCO3-가 현저히 감소 → [HCO3-]/αPCO2 비가 20 이하로 감소. pH 감소. 혈액점은 A에서 D로 이동
② 대사성 알칼리증 : NaHCO3를 과량 먹거나 구토로 위산이 다량 손실되었을 때.
PCO2는 변하지 않고 HCO3-가 현저히 증가. 혈액점은 A에서 E로 이동.
추천자료
스포츠 음료의 효용
신장이식 대상자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신체적, 사회심리적)
약리학-혈액및 조혈기계에 작용하는 약물
만성신부전증 CRF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간호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폐렴(뉴모니아), pneumonia
만성신부전 CRF case study
급성신질환 (Acute Kidney Injury) case study
신부전(Renal failure)의 치료와 간호중재
화상 케이스
[이온음료 게토레이][게토레이][제품특성][광고전략][마케팅전략][표현전략]이온음료 게토레...
[롯데칠성음료][롯데칠성][게토레이][2%부족할때]롯데칠성음료 게토레이, 롯데칠성음료 2%부...
[분석/조사] 만성신부전 [의약학]
<기본간호학>항상성유지와 응급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