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무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무술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 진복이 마을의 용사 수백을 이끌고 도적의 소굴에 쳐들어가서 이를 토벌하고 평화를 정착시켰는데 그 후 많은 사람이 배우러오게 되어 마을 안에 도장이 설립되어 태극권을 보급하게 되었다.”
진복의 창시설이 고증가들 사이에 대부분 부정되고는 있으나 진복이 진씨 일족을 이끌고 하북성 진가구로 오기 전에 살았던 산서성 홍동현 대괴수촌에서 전해오는 권법과 진가구 태극권이 공통점이 많음을 근거로 이를 지지하는 논문 발표도 있었다고 한다.
〈진왕정 창시설〉
진가구 9대손인 진왕정은 하남성 온현 진가구에 있는 하급 관료로 태어났다. 진가일족의 내력을 적은 ‘진씨가승’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진왕정은 자를 주정이라 하고 명나라 말의 문상생 이었다. 산동의 무술 명수로 뭇도적 천여명을 소탕하였으며, 진가구 권법과 도술의 창시자이다.”
그가 남긴 시에도 권법을 고안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오호라 갑옷을 입고 무기를 들어 위험을 무릎쓰고 비적을 소탕하여 나라의 상도 받았지만 모든게 허무한 일이구나. 다만 ‘황정경’ 한 권을 가지고 한가할 때면 권법을 창안하고 바쁠 때에는 농사일을 하며, 제자를 가르쳐 용과 호랑이를 만든다네.”
그는 무용이 뛰어나 무용담이 많이 전해졌는데 하남성 온현 지방의 사건을 기록한 ‘온현지’ 및 ‘회경부지’에도 “1644년에 도적의 무리가 황하를 건너 쳐들어 왔을 때에 진왕정이 의용군을 이끌고 이를 막았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하남성 동봉현의 관가에서 백성들에게 무리한 세금을 강요하여 반란을 일으킨 지방무관 급제자인 이제우가 군인들을 데리고 숭산 소림사의 산채에서 농성할 때 이제우와 친구사이인 진왕정이 이를 제지하기 위하여 숭산을 올라 갔다고 한다. 그러므로 반란군은 왕정에게 소낙비처럼 많은 화살을 쏘아 보냈지만 그는 날아오는 화살을 모조리 피했으므로 반란군이 크게 놀랐으며, 사태가 수습된 이후에는 반란군의 일원인 장발을 제자로 삼았다고 한다.
진왕정보다 50여년 앞의 인물로 왜구를 평정하기 위해 유명해진 적계광 장군은 군사의 조련을 위해 ‘기효신서’를 저술했는데 이 책의 ‘권경첩요편’에 있는 32세 권법이 기법의 며잉이나 가결방면에서 태극권과 공통된 것이 많다고 한다.
그 때문에 무술 고증가 당호는 “진왕정은 기효신서의 권법이 황정경의 원리를 더해 태극권을 창시한 것으로 본다.”는 학설을 주장했는데 현재 학계에서는 이 진왕정 창시설을 가장 널리 지지하고 있다고 한다.
②태극권의 문파
진가에서 양가, 무가, 학가, 손가, 오가 태극권까지 하남성 온현 진가구의 ‘진가태극권’은 진씨 일족 외에는 어느 누구에도 가르치지 않는 비전으로 전승되었다.(중국문파는 아무리 자신의 제자라고 해도 입신제자 외에는 비전을 전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입신제자가 되려면 어느 수준이상의 실력과 인격 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함 - 무술을 잘못된 곳에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심지어는 입신제자라고 할지라도 차등을 두어 각각 비전을 전수한다고 함)
14대 진장흥 때에 진씨 가문이 경영하는 약재상에 양로선이 하인으로 고용되어 진장흥 으로부터 진가태극권의 전통투로 노가식을 배웠고 그 후 북경으로 나가 황족, 문인, 학자들을 위시한 많은 사람들에게 태극권을 가르치게 된다.
양로선에서 시작된 태극권을 ‘양가태극권’이라 한다. 양로선 으로부터 진전을 이어받은 사람은 둘째아들 반후, 셋째아들 건후, 그리고 마을 사라 무우양 등 이었다.
무우양은 다시 진가구의 진청평의 가르침을 받고 나중에 ‘무가태극권’을 제정하고 조카 이역여에게 전승하였으며 이역여는 학위진에게 무가태극권을 가르치며 학위진은 다시 ‘학가태극권’을 창시한다. 또한 당시 형의권과 팔괘장의 명수 손록당은 학위진에게 배운 태극권을 개량하여 ‘손가태극권’을 제정한다.
또한 양로선의 둘째아들 양반후에게 태극권을 배운 황실의 호위 전우는 아들인 오감천에게 전하면서 ‘오가태극권’이 성립되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진가태극권, 양가태극권, 오가태극권, 정자태극권을 배울 수 있는 정도이다. 참고적으로 이연걸 주연의 태극권을 보면 처음과 나중장면에서 군사들이 수련하는 것이 양가태극권이며 이연걸이 절에서 쫓겨난 후 대결 시 사용하는 것은 소림권이며 나중에 이연걸이 기억상실증에서 추후 원의 원리를 깨달은 이후 기억을 찾으면서 대결 시 사용하는 권법이 바로 진가태극권이다.
③진가태극권과 양가태극권의 차이
진가태극권이 원조고, 양가태극권은 분파이다. 양가태극권은 진가태극권을 수련했던 양로선이 만들었는데, 진가태극권이 너무 위험했기 때문이다. 양로선이 진가태극권으로 사람을 죽였었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진가태극권은 중국 3대 내가권에 속하는 실전무술이다.
양가태극권은 실전보다는 주로 기공위주의 태극권이다.
태극권은 진가와 양가 외에도 다른 여러 분파가 있다.
④태극권
Ⅰ신축성이 있고 부드러우며 완만한 동작이 특징. 본래 부드러운 움직임으로 상대의 강한 힘을 피하여 중심을 잡아 합리적인 힘을 사용하여 상대를 물리치는 기법의 무술종목. 천지자연의 법칙에 의겋여 건강장수의 권법으로 기(氣)를 양성하고 마음을 가라앉히고 인격을 닦는 권법이기도 하다. 여성들이나 노인들도 무리 없이 행할 수 있고 태극권을 꾸준히 수련하게 되면 건강법으로써의 효과가 있다. 전통태극권은 진식(陳式), 양식(樣式), 오식(吳式), 무식, 손식(孫式) 등으로 각 문파별로 나름대로의 특징을 갖고 있다. 태극권은 폭넓게 보급하기 위해 정한 규정 태극권(24식, 48식, 88식), 경기용으로 총합태극권(42식)이 제정되어 각종 경기에서 적용하고 있다. 표연시간은 5분 이내로 규정되어 있다.
Ⅱ간화태극권(簡化太極拳)
간화태극권의 간화란 간이 혹은 간략의 의미이지만 간화태극권 명칭은 한국에서도 태극권 애호가 사이에서는 완전히 대중화 되어 정착하고 일반적으로 간화 또는 24식이라 일컫고, 태극권의 입문용이라하는 도인법이 되기에 이르렀다.
간화태극권은 중화인민공화국 체육운동위원회 경깃의 무술과가 편찬되고, 1954년 「신체육잡지」에 초고를 발표한 후, 1954년에 정식으로 발표한 것이다.
1957년에는 무술학회가 개최되고 다음해인 58년에 경기용의 장권투로가 제정되었으나 이때 태극권의 교재를 검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6.06.18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4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