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페다고지와 앤드라고지 비교 개요
3. 페다고지와 앤드라고지의 교육 원리 비교
(1) 페다고지의 교육 원리
(2) 앤드라고지의 교육 원리
4. 페다고지의 문제점
5. 페다고지가 지속된 이유 : 스탠퍼드 감옥 실험의 관점에서
6. 결론
7. 참고자료
2. 페다고지와 앤드라고지 비교 개요
3. 페다고지와 앤드라고지의 교육 원리 비교
(1) 페다고지의 교육 원리
(2) 앤드라고지의 교육 원리
4. 페다고지의 문제점
5. 페다고지가 지속된 이유 : 스탠퍼드 감옥 실험의 관점에서
6. 결론
7. 참고자료
본문내용
된 순간, 학습자들에게 과거의 페다고지적 학습을 답습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양심적인 교육자들도 상황에 지배당한 후엔 어쩔 수 없이 상황 뒤에 숨을 수 밖에 없다. 그래서 밖에선 괜찮은 상담가일지라도 교육 현장에선 강압적이고 억압적인 교육자 모습을 나타내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다.
6. 결론
교육은 어린시절의 영향력이 평생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교수 역시 성장시절 페다고지에 의해 길러졌기 때문에 페다고지의 사고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한다. 만약 그가 성인이 되어 페다고지의 폐해를 인식하고 앤드라고지 교육방식을 익히고 실천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고 하더라도, 페다고지에 지배당한 교육현장에서 다시 좌절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에 처해있다. 문제점 속에 해결책이 있는 경우가 많다. 해결책은 바로 상황 혹은 시스템에 달려 있다. 개인이 상황 뒤에 숨어버리는 게 어쩔 수 없는 인간의 본성이라면, 그 상황을 바꾸도록 해야 할 것이다. 페다고지가 지배한 교육현장을 앤드라고지의 문화로 대체한다면 쌍방향 교육을 위한 교육자의 노력도 결코 헛되이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7. 참고자료
김진한. “교사를 위한 교육학.” 2007. 학지사.
조용하. “성인학습을 위한 앤드라고지(Andragogy)의 교육적 패러다임.” 동아대학교 동아교육논총
파울루 프레이리. “페다고지(Pedagogy).” 2009. 그린비.
“스탠퍼드 감옥 실험.” 위키디피아.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3%A0%ED%8D%BC%EB%93%9C_%EA%B0%90%EC%98%A5_%EC%8B%A4%ED%97%98
6. 결론
교육은 어린시절의 영향력이 평생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교수 역시 성장시절 페다고지에 의해 길러졌기 때문에 페다고지의 사고에서 쉽게 벗어나지 못한다. 만약 그가 성인이 되어 페다고지의 폐해를 인식하고 앤드라고지 교육방식을 익히고 실천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고 하더라도, 페다고지에 지배당한 교육현장에서 다시 좌절할 수밖에 없는 시스템에 처해있다. 문제점 속에 해결책이 있는 경우가 많다. 해결책은 바로 상황 혹은 시스템에 달려 있다. 개인이 상황 뒤에 숨어버리는 게 어쩔 수 없는 인간의 본성이라면, 그 상황을 바꾸도록 해야 할 것이다. 페다고지가 지배한 교육현장을 앤드라고지의 문화로 대체한다면 쌍방향 교육을 위한 교육자의 노력도 결코 헛되이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7. 참고자료
김진한. “교사를 위한 교육학.” 2007. 학지사.
조용하. “성인학습을 위한 앤드라고지(Andragogy)의 교육적 패러다임.” 동아대학교 동아교육논총
파울루 프레이리. “페다고지(Pedagogy).” 2009. 그린비.
“스탠퍼드 감옥 실험.” 위키디피아.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3%A0%ED%8D%BC%EB%93%9C_%EA%B0%90%EC%98%A5_%EC%8B%A4%ED%97%98
추천자료
파울로 프레이리의 `억눌린자를 위한 교육`에 관한 보고서
해석학과 근본적인 실천신학
낙동강의 기원과 현황, 수질오염실태와 관리대책, 오염물질총량제도
삶과 교육 서평쓰기
[교육학] '파울로 프레이리' 희망의 교육학을 읽고
[프랑스교육]프랑스교육의 성격, 프랑스교육의 학제구조, 프랑스교육의 관련정책, 프랑스교육...
한 여름밤의 꿈
[프랑스 교육정보화]프랑스 교육정보화의 목표, 프랑스 교육정보화의 책임감공유, 프랑스 교...
2014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멀티미디어 강의 핵심요약노트
레지오 에밀리아와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차이를 설명하시오
[평생 교육 개론] 지식의 항해 도시를 꿈꾸다 - 브라질의 꾸리찌바/쿠리치바(Curitiba) &...
2016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멀티미디어 강의 핵심요약노트
[독후감]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독서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