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 담관]
[췌장의 위치/기능]
[간. 담관][췌장의 위치/기능]
[췌장염의 분류]
[급성:원인/병리]
[급성:증상]
[급성:치료]
[만성:원인/병리]
[만성:술]
[만성:증상]
[만성:진단]
[만성:치료]
[췌장염의 영양과 식이]
[참고문헌]
[췌장의 위치/기능]
[간. 담관][췌장의 위치/기능]
[췌장염의 분류]
[급성:원인/병리]
[급성:증상]
[급성:치료]
[만성:원인/병리]
[만성:술]
[만성:증상]
[만성:진단]
[만성:치료]
[췌장염의 영양과 식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고 설명
④ 처음 삽입시 체위: 목 뒤로 젖힌 채 좌위
⑤ 인두지날 때 :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⑥ 삽입관 길이: 코끝~ 귓불, 귓불~ 검상돌기
4. 위관영양시 간호
① 공기주입O/ 물주입X
② 주사기 내관 당겨 잔여량이 10cc정도에 위관영양 시작
③ 위치 확인 후 물을 20~30cc 주입해 튜브 개방성유지/ 바로시작X
④ 환자의 체위: 좌위, 반좌위
⑤ 영양액 주입시간: 2~4시간
5. 위관영양에 적합한 음식: 전유동식이(상온이나 액체상태로 된 음식)
6. 비위관 영양시 잔여량 확인: 4~6시간 마다
7. 증상
① 체액량 결핍: 빠른맥, 체온상승
② 저칼륨혈증 대상자: 바나나, 감자, 육류 풍부하게 섭취
③ 장기간의 구토, 위흡인: 대사성 알칼리증 초래
④ 이뇨제 사용: 저칼륨혈증
⑤ 금식대상자: 수액 내에 칼륨첨가(정상이어도 첨가)
8. 섭취량, 배설량측정
1)섭취량
측정가능한 섭취: 경구/비경구/관장액/세척액/주입된 수액
측정 불가능한 섭취: 고형음식/ 대사작용
2) 배설량
측정 가능한 배설: 소변/토물/대변/체강으로 부터의 배설물
측정 불가능한 배설: 발한/폐를 통한 증발
9. 탄수화물은 간, 지방세포에 글리코겐형태로 저장
10. 전비경구영양(TPN)의 합병증
①기흉, 흉통,호흡곤란, 기침
②공기색전증 트렌델버그 체위 취하기
③고혈당, 부신호르몬 증가, 고연령, 신장질환, 탈수, 오심, 두통, 쇠약
④저혈당, 후두통, 차고축축한 피부, 어지러움, 빈맥, 사지와 입주위의 저린감각
⑤수분과잉, 숨참, 빈맥, 약한 맥박, 고혈압, 저혈압, 혼돈, 요배설량 감소, 부종
⑥감염, (염증이나 발열 있으면 즉시 카테터 제거, 균배양검사)
11. 고칼륨혈증: 부정맥, 서맥, 심정지, 위장관 기능항진, 설사, 불안, 무반사 등
12. 부족할 때
① 칼슘: 입 주위와 손가락 쑤심, 근육 경직, 수근과 발의 경축, 강축(테타니), 경련
②마그네슘: 근신경의 민감성증가, 지남력장애, 혼돈, 다리경직, 환각, 빈맥, 경련, 고혈압
③ 포타슘: 피로, 근쇠약, 장폐색증, 불규칙한 맥박, 심장 블록
④ 소듐: 불안, 위장운동 증가, 성격변화, 자세에 따른 저혈압, 차고 습한 피부
⑤ 인: 용혈성 빈혈, 응고지연, 뼈의 동통, 병적 골절현상
13. TPN(완전 비경구영양) 목적
①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 및 비타민 공급
② 위장관 손상치유
③ 적정 질소 균형 유지
④ 정신적 질환, 구토, 설사로 위장관의 흡수 방해받을 때
14. 위관영양
① 30cm의 높이에서 천천히 삽입
② 유동식 투여 전 30~60cc 물 주입
③ 물이 주사기에서 완전히 내려가기 전 조절기 막음
④ 유동식 주입후 30분간 반좌위
15. 비위관의 삽입
① 위 팽만 예방
② 위 내용물 검사
③ 튜브 영양
④ 위 세척
16. 위관 삽입길이: 코끝에서 귓불까지 + 귓불에서 흉골의 검상돌기 까지
17. 비타민K: 혈액응고관련 인자
18. 위관삽입 자세: High fowler’s position
19. 치료식이
① 저나트륨식이 나트륨을 0.5~2g
② 전유동식이- 미음, 야채주스, 크림스프 등
③ 저지방식이- 건강인의 지방섭취량 30~40% 정도로 지방 양 줄인 식이
④ 경식이 강한양념, 질긴 생야채 등 제한한 식이
⑤ 맑은 유동식이- 맑은 국물, 맑은 과일 주스
20.비위관: 위나 장으로부터 가스와 분비액 제거 ⇒ 장의 감압 도모
[참고문헌]
1. 이홍식(2007). 급성췌장염의 영양 및 약물치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 박은택(2014). 급성췌장염의 약물, 수액 및 영양요법.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복음병원 내과학교실.
3. 박승우(2007). 만성췌장염의 영양 및 약물요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4. 박창환(2014). 만성췌장염에서 투약, 영양과 식이.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5. 박선미(2009). 만성췌장염의 내과적 치료.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6.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만성췌장염.
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급성췌장염.
8.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췌장염.
9. 국가건강정보포탈 건강/질병정보건강/질병검색 췌장염.
10. [간 담낭 췌장을 예방 치료하는 식생활과 생활습관 38가지]. 요코야마 이즈미. 동도원
11. [new 간호와 영양]. 진은희, 김태경. 군자출판사
12. [췌장염(대한소화기학회총서9)]. 유용범. 군자출판사
13. [성인간호학]. 김금순 외. 수문사
④ 처음 삽입시 체위: 목 뒤로 젖힌 채 좌위
⑤ 인두지날 때 :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여 삽입이 용이하도록
⑥ 삽입관 길이: 코끝~ 귓불, 귓불~ 검상돌기
4. 위관영양시 간호
① 공기주입O/ 물주입X
② 주사기 내관 당겨 잔여량이 10cc정도에 위관영양 시작
③ 위치 확인 후 물을 20~30cc 주입해 튜브 개방성유지/ 바로시작X
④ 환자의 체위: 좌위, 반좌위
⑤ 영양액 주입시간: 2~4시간
5. 위관영양에 적합한 음식: 전유동식이(상온이나 액체상태로 된 음식)
6. 비위관 영양시 잔여량 확인: 4~6시간 마다
7. 증상
① 체액량 결핍: 빠른맥, 체온상승
② 저칼륨혈증 대상자: 바나나, 감자, 육류 풍부하게 섭취
③ 장기간의 구토, 위흡인: 대사성 알칼리증 초래
④ 이뇨제 사용: 저칼륨혈증
⑤ 금식대상자: 수액 내에 칼륨첨가(정상이어도 첨가)
8. 섭취량, 배설량측정
1)섭취량
측정가능한 섭취: 경구/비경구/관장액/세척액/주입된 수액
측정 불가능한 섭취: 고형음식/ 대사작용
2) 배설량
측정 가능한 배설: 소변/토물/대변/체강으로 부터의 배설물
측정 불가능한 배설: 발한/폐를 통한 증발
9. 탄수화물은 간, 지방세포에 글리코겐형태로 저장
10. 전비경구영양(TPN)의 합병증
①기흉, 흉통,호흡곤란, 기침
②공기색전증 트렌델버그 체위 취하기
③고혈당, 부신호르몬 증가, 고연령, 신장질환, 탈수, 오심, 두통, 쇠약
④저혈당, 후두통, 차고축축한 피부, 어지러움, 빈맥, 사지와 입주위의 저린감각
⑤수분과잉, 숨참, 빈맥, 약한 맥박, 고혈압, 저혈압, 혼돈, 요배설량 감소, 부종
⑥감염, (염증이나 발열 있으면 즉시 카테터 제거, 균배양검사)
11. 고칼륨혈증: 부정맥, 서맥, 심정지, 위장관 기능항진, 설사, 불안, 무반사 등
12. 부족할 때
① 칼슘: 입 주위와 손가락 쑤심, 근육 경직, 수근과 발의 경축, 강축(테타니), 경련
②마그네슘: 근신경의 민감성증가, 지남력장애, 혼돈, 다리경직, 환각, 빈맥, 경련, 고혈압
③ 포타슘: 피로, 근쇠약, 장폐색증, 불규칙한 맥박, 심장 블록
④ 소듐: 불안, 위장운동 증가, 성격변화, 자세에 따른 저혈압, 차고 습한 피부
⑤ 인: 용혈성 빈혈, 응고지연, 뼈의 동통, 병적 골절현상
13. TPN(완전 비경구영양) 목적
①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 및 비타민 공급
② 위장관 손상치유
③ 적정 질소 균형 유지
④ 정신적 질환, 구토, 설사로 위장관의 흡수 방해받을 때
14. 위관영양
① 30cm의 높이에서 천천히 삽입
② 유동식 투여 전 30~60cc 물 주입
③ 물이 주사기에서 완전히 내려가기 전 조절기 막음
④ 유동식 주입후 30분간 반좌위
15. 비위관의 삽입
① 위 팽만 예방
② 위 내용물 검사
③ 튜브 영양
④ 위 세척
16. 위관 삽입길이: 코끝에서 귓불까지 + 귓불에서 흉골의 검상돌기 까지
17. 비타민K: 혈액응고관련 인자
18. 위관삽입 자세: High fowler’s position
19. 치료식이
① 저나트륨식이 나트륨을 0.5~2g
② 전유동식이- 미음, 야채주스, 크림스프 등
③ 저지방식이- 건강인의 지방섭취량 30~40% 정도로 지방 양 줄인 식이
④ 경식이 강한양념, 질긴 생야채 등 제한한 식이
⑤ 맑은 유동식이- 맑은 국물, 맑은 과일 주스
20.비위관: 위나 장으로부터 가스와 분비액 제거 ⇒ 장의 감압 도모
[참고문헌]
1. 이홍식(2007). 급성췌장염의 영양 및 약물치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 박은택(2014). 급성췌장염의 약물, 수액 및 영양요법.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복음병원 내과학교실.
3. 박승우(2007). 만성췌장염의 영양 및 약물요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4. 박창환(2014). 만성췌장염에서 투약, 영양과 식이.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5. 박선미(2009). 만성췌장염의 내과적 치료.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6.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만성췌장염.
7.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급성췌장염.
8.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췌장염.
9. 국가건강정보포탈 건강/질병정보건강/질병검색 췌장염.
10. [간 담낭 췌장을 예방 치료하는 식생활과 생활습관 38가지]. 요코야마 이즈미. 동도원
11. [new 간호와 영양]. 진은희, 김태경. 군자출판사
12. [췌장염(대한소화기학회총서9)]. 유용범. 군자출판사
13. [성인간호학]. 김금순 외. 수문사
추천자료
기능성 위장 장애
당뇨병당뇨병iabetes Mellitus)질별 보고서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패혈증(敗血症)의 정의 및 원인
[간호] 당뇨DM 질병보고서
내시경적 역행성 췌, 담관 조영술(ERCP)
Acute pancreatitis에 대한 사례연구
간호사례연구 - cholangitis, acute pancreatitis, DM
ERCP 역행성 췌담관조영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 ERCP, 逆行性膵...
[간호학]ERCP(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당뇨병의 이해와 사용약물에 대해서
ward_ERCP
성인간호학 국가고시 대비 1주일전 이것만은 꼭 보자
당뇨병의 정의, 분류, 병태생리, 증상 및 증후, 사정, 합병증, 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