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외식산업] 외식레스토랑
I. 외식산업의 개요
1. 외식산업의 정의
2. 외식산업의 분류
II. 레스토랑의 개요
1. 레스토랑의 정의
2. 레스토랑의 분류
1) 서비스 형태에 의한 분류
2) 일반적인 명칭에 의한 분류
3) 국가별 제공음식에 의한 분류
III. 레스토랑의 시설환경
1. 시설환경의 개요
1) 도시 속의 레스토랑
2) 자연 속의 레스토랑
2. 기후
1) 실외 기후
2) 실내 기후
3. 전열과 결로
1) 열의 전달
2) 결로
4. 환기와 통풍
1) 실내공기의 오염
2) 환기
3) 통풍
4. 일조와 일사
1) 일조
2) 일사
6. 채광과 조명
1) 채광
2) 조명
3) 색채
7. 음향 환경
1) 소음과 진동
2) 실내 음향
* 참고문헌
I. 외식산업의 개요
1. 외식산업의 정의
2. 외식산업의 분류
II. 레스토랑의 개요
1. 레스토랑의 정의
2. 레스토랑의 분류
1) 서비스 형태에 의한 분류
2) 일반적인 명칭에 의한 분류
3) 국가별 제공음식에 의한 분류
III. 레스토랑의 시설환경
1. 시설환경의 개요
1) 도시 속의 레스토랑
2) 자연 속의 레스토랑
2. 기후
1) 실외 기후
2) 실내 기후
3. 전열과 결로
1) 열의 전달
2) 결로
4. 환기와 통풍
1) 실내공기의 오염
2) 환기
3) 통풍
4. 일조와 일사
1) 일조
2) 일사
6. 채광과 조명
1) 채광
2) 조명
3) 색채
7. 음향 환경
1) 소음과 진동
2) 실내 음향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업의 정의
2. 외식산업의 분류
II. 레스토랑의 개요
1. 레스토랑의 정의
2. 레스토랑의 분류
1) 서비스 형태에 의한 분류
2) 일반적인 명칭에 의한 분류
3) 국가별 제공음식에 의한 분류
III. 레스토랑의 시설환경
1. 시설환경의 개요
1) 도시 속의 레스토랑
2) 자연 속의 레스토랑
2. 기후
1) 실외 기후
2) 실내 기후
3. 전열과 결로
1) 열의 전달
2) 결로
4. 환기와 통풍
1) 실내공기의 오염
2) 환기
3) 통풍
4. 일조와 일사
1) 일조
2) 일사
6. 채광과 조명
1) 채광
2) 조명
3) 색채
7. 음향 환경
1) 소음과 진동
2) 실내 음향
* 참고문헌
[외식산업] 외식레스토랑
I. 외식산업의 개요
1) 외식산업의 정의
\"외식\"이란용어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집이나 가정 외에서 식사하는 것\' 또는 집 밖에서 행하는 식사 행위\' 등으로 규정짓고 있다. 이러한 뜻에서 의미하는 것은 우리의 식생활이 크게는 집(가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집(가정) 밖에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로 크게 대별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가정 외에서 이루어지는 식사는 대개 식당(食堂, Restaurant)이라고 하는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이 있는 것들이 산업화되어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는데, 이를 통칭하여 외식산업이라고 하게 되었다.
외식산업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은 1950년대에서 1960년 사이 미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1970년대 초, 우리나라는 1970년대 말경부터 도입된 롯데리아를 통해 1980년대 초반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외식산업은 식사를 조리하여 제공하는 일련의 모든 과정의 산업으로서, 식품의 유통 및 가공제조, 소매, 서비스제공 등의 모든 것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외식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은 식당, 즉 음식점이라 할 수 있다.
2) 외식산업의 분류
미국의 식당협회(NRA :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에서는 크게 상용업체에서의 영 리 목적부문과, 기관 등에서의 비영리 목적부문, 그리고 군인들과 관련 있는 급식 등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의 외식산업의 분류는 영업급식과 집단급식 그리고 요음(찻집과 술집)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우리도 나름대로의 분류체계를 갖추어 놓았지만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다. \"재정경제원 표준산업분류\"를 참조해 보면, 크게는 음식 및 숙박업으로 분류하였으며 음식점업에서는 식당업, 주점업, 다과점업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들의 요구와 여타 관련 산업의 영향으로 인하여 분류하기가 애매한 많은 업종이나 업태의 외식업소가 생겨나 운영되고 있다. 또한 식품위생법에서는 휴게음식점, 일반음식점, 단란주점영업, 유흥주점영업 등으로 명시하여 분류하고 있다.
II. 레스토랑의 개요
1) 레스토랑의 정의
레스토랑(Restaurant, 식당)이란 일정한 시설과 인적 자원을 구성하여, 고객에게 식음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댓가를 지불받는 영리성을 지닌 곳으로 정의 할 수 있으며, 일종의 환대산업(Hospitality Industry)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고 한다. 즉 이것을 다시 말하면 레스토랑은 따뜻하고 안락하고 평안한 분위기에서, 위생적으로 조리된 음식을 통해 좋은 맛을 느끼면서 즐거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물적인 서비스와 민적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 주는 외식산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의 레스토랑은 그저 식사를 통한 배고픔의 해결 장소였지만,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레스토랑은 대화를 통한 사교, 만남, 거래, 휴식, 레저의 의미로 그 목적이 다양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경영적인 측면에서도 끊임없는 환경변화, 즉 메뉴개발, 상품개발, 시설 및 서비스의 개선, 마케팅의 도입 등을 개발해 가고 있으며, 추후로도 계속 발전해 나갈 것이다.
2) 레스토랑의 분류
(1) 서비스 형태에 의한 분류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에 따른 분류로서 레이블 서비스, 셀프 서비스, 카운터식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명칭
내용
테이블 서비스 식당
편하게 앉아서 식사를 주문하고 직원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만, 서구에서는 팁의 부담이 있어 고급식당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으며, 나라별로 서브 방법이 차이가 있다.
셀프 서비스 식당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처럼 미리 만들어 놓은 음식을 직접 날라다 먹기 때문에 식사시간이 짧고, 가격이 저렴하다.
카운터 서비스 식당
오픈 키친 방식으로 카운터를 사이로 직원과 마주보며 주문하고 식사한다. 서양에서는 대중 간이식당에서 이용되었으나, 일본요리에서는 고급화되어 초밥이나 튀김 카운터로 응용되었다.
(2) 일반적인 명칭에 의한 분류
레스토랑은 서구문물의 유산으로서 우리나라에 들어봤으며, 그 명칭이나 분류 또한 서구의 방식으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이다. 이제는 차차 한국식으로 변화되어져 가고 있지만, 아직은 서구식의 분류가 더 익숙한데 그 예를 들어보면, 레스토랑, 그릴, 다이닝, 카페테리아, 드라이브인, 스낵바, 다이닝카, 구내식당. 리푸리쉬먼트 스탠드, 커피숍, 백화점 식당, 자동차 식당, 자동판매기 등이 있다.
(3) 국가별 제공음식에 의한 분류
제공되는 음식의 국적에 따라 레스토랑을 분류할 수도 있다. 각 나라의 특성이 담긴 전통적인 요리가 대세를 이루었었지만, 최근에는 퓨전화된 음식이 제공되는 곳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명칭
내용
양식당
이태리식, 스페인식, 프랑스식, 미국식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음식의 종류는 고기와 채소, 해산물, 면요리 등 다양하다.
한식당
궁중요리, 대중요리, 고기구이, 냉면, 탕, 찌개, 전골, 비빔밥 등의 한국 특유의 요리를 내며, 한정식, 갈비구이, 불고기, 설렁탕, 삼계탕, 돌솥비빔밥 등 상당히 세분화되어 있다.
중식당
중국식 요리 식당으로서 온갖 식재료를 가지고 다양한 맛을 내며, 넓은 지역만큼이나 음식의 가짓수와 맛, 품질 등이 다양하다. 북경요리, 산둥요리, 사천요리 등이 대표적이다.
일식당
해산물을 위주로서 특히 생선회, 초밥, 우동, 튀김 등이 있으며,
2. 외식산업의 분류
II. 레스토랑의 개요
1. 레스토랑의 정의
2. 레스토랑의 분류
1) 서비스 형태에 의한 분류
2) 일반적인 명칭에 의한 분류
3) 국가별 제공음식에 의한 분류
III. 레스토랑의 시설환경
1. 시설환경의 개요
1) 도시 속의 레스토랑
2) 자연 속의 레스토랑
2. 기후
1) 실외 기후
2) 실내 기후
3. 전열과 결로
1) 열의 전달
2) 결로
4. 환기와 통풍
1) 실내공기의 오염
2) 환기
3) 통풍
4. 일조와 일사
1) 일조
2) 일사
6. 채광과 조명
1) 채광
2) 조명
3) 색채
7. 음향 환경
1) 소음과 진동
2) 실내 음향
* 참고문헌
[외식산업] 외식레스토랑
I. 외식산업의 개요
1) 외식산업의 정의
\"외식\"이란용어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집이나 가정 외에서 식사하는 것\' 또는 집 밖에서 행하는 식사 행위\' 등으로 규정짓고 있다. 이러한 뜻에서 의미하는 것은 우리의 식생활이 크게는 집(가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집(가정) 밖에서 이루어지는 두 가지로 크게 대별된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가정 외에서 이루어지는 식사는 대개 식당(食堂, Restaurant)이라고 하는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이 있는 것들이 산업화되어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발전을 거듭하게 되었는데, 이를 통칭하여 외식산업이라고 하게 되었다.
외식산업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은 1950년대에서 1960년 사이 미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1970년대 초, 우리나라는 1970년대 말경부터 도입된 롯데리아를 통해 1980년대 초반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외식산업은 식사를 조리하여 제공하는 일련의 모든 과정의 산업으로서, 식품의 유통 및 가공제조, 소매, 서비스제공 등의 모든 것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외식산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은 식당, 즉 음식점이라 할 수 있다.
2) 외식산업의 분류
미국의 식당협회(NRA :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에서는 크게 상용업체에서의 영 리 목적부문과, 기관 등에서의 비영리 목적부문, 그리고 군인들과 관련 있는 급식 등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의 외식산업의 분류는 영업급식과 집단급식 그리고 요음(찻집과 술집)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우리도 나름대로의 분류체계를 갖추어 놓았지만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다. \"재정경제원 표준산업분류\"를 참조해 보면, 크게는 음식 및 숙박업으로 분류하였으며 음식점업에서는 식당업, 주점업, 다과점업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하지만 고객들의 요구와 여타 관련 산업의 영향으로 인하여 분류하기가 애매한 많은 업종이나 업태의 외식업소가 생겨나 운영되고 있다. 또한 식품위생법에서는 휴게음식점, 일반음식점, 단란주점영업, 유흥주점영업 등으로 명시하여 분류하고 있다.
II. 레스토랑의 개요
1) 레스토랑의 정의
레스토랑(Restaurant, 식당)이란 일정한 시설과 인적 자원을 구성하여, 고객에게 식음료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 댓가를 지불받는 영리성을 지닌 곳으로 정의 할 수 있으며, 일종의 환대산업(Hospitality Industry)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고 한다. 즉 이것을 다시 말하면 레스토랑은 따뜻하고 안락하고 평안한 분위기에서, 위생적으로 조리된 음식을 통해 좋은 맛을 느끼면서 즐거운 식사를 할 수 있도록 물적인 서비스와 민적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 주는 외식산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의 레스토랑은 그저 식사를 통한 배고픔의 해결 장소였지만, 현대사회에 있어서의 레스토랑은 대화를 통한 사교, 만남, 거래, 휴식, 레저의 의미로 그 목적이 다양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여 경영적인 측면에서도 끊임없는 환경변화, 즉 메뉴개발, 상품개발, 시설 및 서비스의 개선, 마케팅의 도입 등을 개발해 가고 있으며, 추후로도 계속 발전해 나갈 것이다.
2) 레스토랑의 분류
(1) 서비스 형태에 의한 분류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에 따른 분류로서 레이블 서비스, 셀프 서비스, 카운터식 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명칭
내용
테이블 서비스 식당
편하게 앉아서 식사를 주문하고 직원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지만, 서구에서는 팁의 부담이 있어 고급식당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으며, 나라별로 서브 방법이 차이가 있다.
셀프 서비스 식당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처럼 미리 만들어 놓은 음식을 직접 날라다 먹기 때문에 식사시간이 짧고, 가격이 저렴하다.
카운터 서비스 식당
오픈 키친 방식으로 카운터를 사이로 직원과 마주보며 주문하고 식사한다. 서양에서는 대중 간이식당에서 이용되었으나, 일본요리에서는 고급화되어 초밥이나 튀김 카운터로 응용되었다.
(2) 일반적인 명칭에 의한 분류
레스토랑은 서구문물의 유산으로서 우리나라에 들어봤으며, 그 명칭이나 분류 또한 서구의 방식으로 분류되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이다. 이제는 차차 한국식으로 변화되어져 가고 있지만, 아직은 서구식의 분류가 더 익숙한데 그 예를 들어보면, 레스토랑, 그릴, 다이닝, 카페테리아, 드라이브인, 스낵바, 다이닝카, 구내식당. 리푸리쉬먼트 스탠드, 커피숍, 백화점 식당, 자동차 식당, 자동판매기 등이 있다.
(3) 국가별 제공음식에 의한 분류
제공되는 음식의 국적에 따라 레스토랑을 분류할 수도 있다. 각 나라의 특성이 담긴 전통적인 요리가 대세를 이루었었지만, 최근에는 퓨전화된 음식이 제공되는 곳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고 한다.
명칭
내용
양식당
이태리식, 스페인식, 프랑스식, 미국식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음식의 종류는 고기와 채소, 해산물, 면요리 등 다양하다.
한식당
궁중요리, 대중요리, 고기구이, 냉면, 탕, 찌개, 전골, 비빔밥 등의 한국 특유의 요리를 내며, 한정식, 갈비구이, 불고기, 설렁탕, 삼계탕, 돌솥비빔밥 등 상당히 세분화되어 있다.
중식당
중국식 요리 식당으로서 온갖 식재료를 가지고 다양한 맛을 내며, 넓은 지역만큼이나 음식의 가짓수와 맛, 품질 등이 다양하다. 북경요리, 산둥요리, 사천요리 등이 대표적이다.
일식당
해산물을 위주로서 특히 생선회, 초밥, 우동, 튀김 등이 있으며,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