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현상학] 천공과 천공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종교현상학] 천공과 천공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천공의 성성
2. 오스트레일리아의 천공신
3. 안다만 제도 및 아프리카인 등의 천공신
4. 격절신
5. 천공신을 대신하는 새로운 ‘신의 형태’
6. 융합과 교체
7. 천공의 지고존재자의 태고성
8. 북극과 중앙아시아 주민의 천공신
9.메소포타미아
10. 디아우스 , 바루나
11. 바루나와 지상권
12. 이란의 천공신
13. 우라노스

본문내용

공은 서약의 신이며, 사람은 하늘을 증인으로 삼아 맹세한다.
그러나 신앙생활 전체를 지고존재자에 대한 신앙이 지배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
9.메소포타미아
딩기르- 신을 의미하는 수메르어, ‘밝은’, ‘빛나는’
아나 - 별을 표상하는 상형문자 au(a), an(u)라고 발음될때, ‘높은, 높은 존재’라는 공간적 초월성을 의미
an - ‘비를 내려보내는 하늘’ 확대되어 비를 나타내는 말, 신을 딩기르로서 직관하는 것은 천공의 히에로파니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히에로파니는 곧 신에 대한 직관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와서 초인화된 신 아누의 주위에 집중되었다. 아누 신은 그 이름자체로 ‘천공’을 나타낸다. 그러나 아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장 중요한 역할을 상실, 역사시대에 들어오면서 아누는 다소 추상적인 신이 되었다. 아누 숭배는 널리 전파 되지 못하였으며 그는 종교문헌에도 좀체로 기록되지 않았고, 신의 이름을 기록하는 목록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아누는 창조신이 아니며, 어디에서도 신상을 발견할 수가 없다. 이것은 아누가 바빌로니아인의 종교생활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역사시대에 들어와서는 예배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음을 확증해준다. 아누는 최고의 주권자이며, 그 왕권의 표장은 지상군주의 권위를 정당화하는 원천이 된다. 아누는 신들 중에서 최고의 권위를 갖고 있었다.
별은 아누의 군대이다. 왜냐하면 아누는 보편적 주권자이자 또한 군신이기 때문이다. 아누의 최대의 제사는 신년, 따라서 세계창조의 기념일과 일치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따라 신년제는 마르두크에게 바쳐진다.
마르두크- 아누보다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6.07.28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6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