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천공의 성성
2. 오스트레일리아의 천공신
3. 안다만 제도 및 아프리카인 등의 천공신
4. 격절신
5. 천공신을 대신하는 새로운 ‘신의 형태’
6. 융합과 교체
7. 천공의 지고존재자의 태고성
8. 북극과 중앙아시아 주민의 천공신
9.메소포타미아
10. 디아우스 , 바루나
11. 바루나와 지상권
12. 이란의 천공신
13. 우라노스
2. 오스트레일리아의 천공신
3. 안다만 제도 및 아프리카인 등의 천공신
4. 격절신
5. 천공신을 대신하는 새로운 ‘신의 형태’
6. 융합과 교체
7. 천공의 지고존재자의 태고성
8. 북극과 중앙아시아 주민의 천공신
9.메소포타미아
10. 디아우스 , 바루나
11. 바루나와 지상권
12. 이란의 천공신
13. 우라노스
본문내용
공은 서약의 신이며, 사람은 하늘을 증인으로 삼아 맹세한다.
그러나 신앙생활 전체를 지고존재자에 대한 신앙이 지배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
9.메소포타미아
딩기르- 신을 의미하는 수메르어, ‘밝은’, ‘빛나는’
아나 - 별을 표상하는 상형문자 au(a), an(u)라고 발음될때, ‘높은, 높은 존재’라는 공간적 초월성을 의미
an - ‘비를 내려보내는 하늘’ 확대되어 비를 나타내는 말, 신을 딩기르로서 직관하는 것은 천공의 히에로파니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히에로파니는 곧 신에 대한 직관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와서 초인화된 신 아누의 주위에 집중되었다. 아누 신은 그 이름자체로 ‘천공’을 나타낸다. 그러나 아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장 중요한 역할을 상실, 역사시대에 들어오면서 아누는 다소 추상적인 신이 되었다. 아누 숭배는 널리 전파 되지 못하였으며 그는 종교문헌에도 좀체로 기록되지 않았고, 신의 이름을 기록하는 목록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아누는 창조신이 아니며, 어디에서도 신상을 발견할 수가 없다. 이것은 아누가 바빌로니아인의 종교생활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역사시대에 들어와서는 예배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음을 확증해준다. 아누는 최고의 주권자이며, 그 왕권의 표장은 지상군주의 권위를 정당화하는 원천이 된다. 아누는 신들 중에서 최고의 권위를 갖고 있었다.
별은 아누의 군대이다. 왜냐하면 아누는 보편적 주권자이자 또한 군신이기 때문이다. 아누의 최대의 제사는 신년, 따라서 세계창조의 기념일과 일치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따라 신년제는 마르두크에게 바쳐진다.
마르두크- 아누보다
그러나 신앙생활 전체를 지고존재자에 대한 신앙이 지배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 .
9.메소포타미아
딩기르- 신을 의미하는 수메르어, ‘밝은’, ‘빛나는’
아나 - 별을 표상하는 상형문자 au(a), an(u)라고 발음될때, ‘높은, 높은 존재’라는 공간적 초월성을 의미
an - ‘비를 내려보내는 하늘’ 확대되어 비를 나타내는 말, 신을 딩기르로서 직관하는 것은 천공의 히에로파니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히에로파니는 곧 신에 대한 직관으로부터 분리되어 나와서 초인화된 신 아누의 주위에 집중되었다. 아누 신은 그 이름자체로 ‘천공’을 나타낸다. 그러나 아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장 중요한 역할을 상실, 역사시대에 들어오면서 아누는 다소 추상적인 신이 되었다. 아누 숭배는 널리 전파 되지 못하였으며 그는 종교문헌에도 좀체로 기록되지 않았고, 신의 이름을 기록하는 목록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아누는 창조신이 아니며, 어디에서도 신상을 발견할 수가 없다. 이것은 아누가 바빌로니아인의 종교생활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역사시대에 들어와서는 예배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음을 확증해준다. 아누는 최고의 주권자이며, 그 왕권의 표장은 지상군주의 권위를 정당화하는 원천이 된다. 아누는 신들 중에서 최고의 권위를 갖고 있었다.
별은 아누의 군대이다. 왜냐하면 아누는 보편적 주권자이자 또한 군신이기 때문이다. 아누의 최대의 제사는 신년, 따라서 세계창조의 기념일과 일치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따라 신년제는 마르두크에게 바쳐진다.
마르두크- 아누보다
키워드
추천자료
루터와 칼뱅의 종교개혁
영국의 종교개혁 카톨릭
한국사회에 있어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서 논하라.
세계속의 힌두교 - 종교 분쟁, 그리고 현대 인도의 현상과 문제점
포스트 모더니즘과 종교 다원주의
현대인이 원하는 종교의 양태- 파룬궁을 중심으로
[인문사회]종교의 정의
한국과 한국인에게 종교-유교의 의미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종교에 관한 시각에 대하여
침묵 - 종교란 무엇인가
일본인의 일생과 종교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무교, 유교) 뒷부분 중심 _ 최준식 저
[장애인복지]종교에 나타난 장애인의 특징에 대해 서술하고, 그것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서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