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학생을 꾸짖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구체적 행동을 꾸짖어야 한다
2. 꾸중의 목적은 화풀이가 아니라 잘못된 행동의 교정이다
3. 학생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섣부른 평가를 삼간다
4. 꾸중과 칭찬을 조화롭게 사용한다
참고문헌
2. 꾸중의 목적은 화풀이가 아니라 잘못된 행동의 교정이다
3. 학생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섣부른 평가를 삼간다
4. 꾸중과 칭찬을 조화롭게 사용한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 학생에게 '말을 안 듣는다’ 며 화를 낼 것이 아니라 수업을 방해하지 않고 잠시라도 집중을 잘하고 있을 때 칭찬을 해 주는 것이 더욱 효과적인 지도방법이 된다.
4. 꾸중과 칭찬을 조화롭게 사용한다
학생의 잘못된 행동을 교정하여 보다 바람직한 행동으로 변화시키고자 돕는 것이 꾸중의 목적임을 앞에서도 강조하였다. 즉, 꾸중을 들은 학생이 ‘어떤 행동은 잘못된 행동이며, 어떤 행동이 보다 바람직한 행동’ 인지를 분명히 깨달을 수 있어야 잘된 꾸중이다. 그러므로 어떤 행동이 잘못된 것인지를 알려 준 다음에 보다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다. 특히 학생이 어릴수록, 지능이 낮을수록, 주의집중 시간이 짧을수록 구체적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주의력결핍장애가 있는 한 학생이 책상 위에 발을 올리고 있는 것을 본 교사가 "책상에서 다리 내려라.”라고 했더니 학생이 의자 위로 자신의 발을 옮기는 것을 보고 몹시 화를 냈던 경우가 있었다. 교시는 그것을 ‘반항’ 이라고 해석했으나, 학생은 나름대로 교사의 지시를 따르느라 한 행동이었을 뿐이었다. 단지 교사가 적절한 대안을 학생에게 제시하지 못해서 일어난 사건이었던 것이다.
바람직한 행동 대안을 제시하여 학생이 그 행동을 조금이라도하면 교사는 즉시 관심을 보이며 칭찬하여야 한다. 학생이 자신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교사의 꾸중을 잘 활용하고 교사의 말을 존중한 것이므로 칭찬해 주는 것이 당연하다. 떠들던 학생이 조용히 하면 즉시 학생을 보며 미소를 지어 주거나, "조용히 해주어서 고맙다.”라고 칭찬의 말을 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조용히 할 수 있으면서 아까는 왜 그렇게 떠들었니?” "거 봐. 너도 맘만 먹고 하면 잘하면서 보통 때는 왜 그러냐?” 식의 비아냥거리는 언시는 전혀 칭찬이 되지 못하며, 오히려 잘하려던 학생의 마음이 돌아서게 만들 수 있으니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완벽한 어른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완벽한 학생은 더더욱 없다. 그러니 가끔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며, 학생의 잘못된 행동을 교사가 꾸중함으로써 그 행동이 잘못된 것임을 일러 주고 고치도록 돕는 것도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학생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돕고자 하는 교사의 의도가 아무리 순수하고 열정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학생 개개인이 듣는 꾸중이 칭찬에 비해서 많으면 교사의 좋은 의도가 제대로 실현되기 어렵다. 학생의 입장에서 생각할 때 꾸중만 많이 듣고 칭찬은 별로 듣지 못한다고 여겨지면, 교사가 자기를 좋지 않게 본다고 생각하여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자아개념이 부정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잘못된 행동을 할 때에나 교사의 관심을 받고 제대로 된 행동을 할 때에는 별 관심을 받지 못한다고 느껴지면, 자기도 모르게 자꾸 잘못된 행동을 더 하게 된다. 또한 교사가 자기를 좋지 않게 본다고 여겨지면, 그 교사의 말을 따르고 싶은 마음이 없어져 교사의 영향력 자체가 약화된다.
반면, 학생이 생각하기에 교사가자기를 좋아하고 자기를 인정한다고 느끼면, 꾸중을 들어도 교사가 자기를 위해서 꾸중한다는 느낌을 갖게 되고 그 교사의 말을 존중하여 따르고 싶은 마음이 든다. 앞에서 설명한 칭찬의 방법대로 칭찬을 많이 받은 학생은 꾸중을 듣더라도 자신을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그 꾸중을 활용할 줄 아는 힘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4. 꾸중과 칭찬을 조화롭게 사용한다
학생의 잘못된 행동을 교정하여 보다 바람직한 행동으로 변화시키고자 돕는 것이 꾸중의 목적임을 앞에서도 강조하였다. 즉, 꾸중을 들은 학생이 ‘어떤 행동은 잘못된 행동이며, 어떤 행동이 보다 바람직한 행동’ 인지를 분명히 깨달을 수 있어야 잘된 꾸중이다. 그러므로 어떤 행동이 잘못된 것인지를 알려 준 다음에 보다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해 주는 것이 좋다. 특히 학생이 어릴수록, 지능이 낮을수록, 주의집중 시간이 짧을수록 구체적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주의력결핍장애가 있는 한 학생이 책상 위에 발을 올리고 있는 것을 본 교사가 "책상에서 다리 내려라.”라고 했더니 학생이 의자 위로 자신의 발을 옮기는 것을 보고 몹시 화를 냈던 경우가 있었다. 교시는 그것을 ‘반항’ 이라고 해석했으나, 학생은 나름대로 교사의 지시를 따르느라 한 행동이었을 뿐이었다. 단지 교사가 적절한 대안을 학생에게 제시하지 못해서 일어난 사건이었던 것이다.
바람직한 행동 대안을 제시하여 학생이 그 행동을 조금이라도하면 교사는 즉시 관심을 보이며 칭찬하여야 한다. 학생이 자신의 행동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교사의 꾸중을 잘 활용하고 교사의 말을 존중한 것이므로 칭찬해 주는 것이 당연하다. 떠들던 학생이 조용히 하면 즉시 학생을 보며 미소를 지어 주거나, "조용히 해주어서 고맙다.”라고 칭찬의 말을 해주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조용히 할 수 있으면서 아까는 왜 그렇게 떠들었니?” "거 봐. 너도 맘만 먹고 하면 잘하면서 보통 때는 왜 그러냐?” 식의 비아냥거리는 언시는 전혀 칭찬이 되지 못하며, 오히려 잘하려던 학생의 마음이 돌아서게 만들 수 있으니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완벽한 어른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완벽한 학생은 더더욱 없다. 그러니 가끔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며, 학생의 잘못된 행동을 교사가 꾸중함으로써 그 행동이 잘못된 것임을 일러 주고 고치도록 돕는 것도 필요한 일이다. 그러나 학생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하도록 돕고자 하는 교사의 의도가 아무리 순수하고 열정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학생 개개인이 듣는 꾸중이 칭찬에 비해서 많으면 교사의 좋은 의도가 제대로 실현되기 어렵다. 학생의 입장에서 생각할 때 꾸중만 많이 듣고 칭찬은 별로 듣지 못한다고 여겨지면, 교사가 자기를 좋지 않게 본다고 생각하여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자아개념이 부정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잘못된 행동을 할 때에나 교사의 관심을 받고 제대로 된 행동을 할 때에는 별 관심을 받지 못한다고 느껴지면, 자기도 모르게 자꾸 잘못된 행동을 더 하게 된다. 또한 교사가 자기를 좋지 않게 본다고 여겨지면, 그 교사의 말을 따르고 싶은 마음이 없어져 교사의 영향력 자체가 약화된다.
반면, 학생이 생각하기에 교사가자기를 좋아하고 자기를 인정한다고 느끼면, 꾸중을 들어도 교사가 자기를 위해서 꾸중한다는 느낌을 갖게 되고 그 교사의 말을 존중하여 따르고 싶은 마음이 든다. 앞에서 설명한 칭찬의 방법대로 칭찬을 많이 받은 학생은 꾸중을 듣더라도 자신을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그 꾸중을 활용할 줄 아는 힘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추천자료
- 교직과 교사 생활지도
- 생활지도와 상담
- 상담, 생활지도
- 상담과 생활지도
- 생활지도와 상담
- [학교상담][상담]학교상담의 정의, 학교상담의 특징과 학교상담의 성격 및 다양한 상담기법 ...
- 아동상담의 필요성과 상담자로서의 역할 및 지도방안에 대하여 상담이론(학자의 주장)에 근거...
- 아동의 문제 행동과 생활지도
- [아동생활지도 D형] 미술치료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논하고, 미술치료의 방법과 과정을 구체...
- [생활지도와 상담] 대화의 일반 특징 이해 - 대화 형식의 특징, 대화 내용의 특징, 대화와 심...
- [생활지도와 상담] 지능검사에 대한 이해 - 지능검사의 목적, K-WISC-IV, K-ABC
- [생활지도와 상담] 우울과 불안의 유형과 원인 및 우울과 불안이 있는 학생의 평가와 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