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콜버그(Lawrence Kohlberg) 생애
2.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개요
3.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단계
4.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평가
5.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Ⅰ. 서론
Ⅱ. 본론
1. 강화와 강화계획
1)강화(reinforcement)
2) 강화계획(schedules of reinforcement)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1) 계속적인 강화의 유용성
2)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3.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과 실생활의 예 제시
1) 고정간격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2) 변동간격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3) 고정비율 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4) 변동비율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③고정비율계획, ④변동비율계획이 있다.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1) 계속적인 강화의 유용성
계속적인 강화는 반응이 있을 때마다 강화를 주는 것으로 일상생활에서는 드물다. 계속적인 강화의 유용성은 처음에 반응을 유발하기 위해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즉 행동을 빨리 변화시키기 때문에 학습초기단계에 가장 효과적이다.
2)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간헐적 강화는 간격이나 비율에 따라서 강화를 주는 것으로 고정적으로 주거나 일정치 않게 강화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반응이 생길 때마다 강화물을 제시하지 않고 가끔씩 강화하는 것을 말한다. 간헐적 강화는 지속적 강화보다 행동의 소거에 대한 저항이 강하기 때문에 학습된 행동을 유지하는 데에 유용하다.
3.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과 실생활의 예 제시
1) 고정간격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일정기간을 두고 강화요인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강화할 시간이 임박할 때에만 부지런히 반응을 하고, 그 시간이 지나면 다음 주기의 시간이 올 때까지 반응을 중단하는 현상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예)
매주에 쪽지시험을 보는 요일을 정해둔다. 그러면 학생들은 스키너의 쥐 실험처럼 시험 보는 요일이 가까워 올수록 공부의 량을 점차 늘려갈 것이다. 그러나 시험이 끝나면 하던 공부를 멈춘다.
2) 변동간격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일정한 간격을 두지 않고 불규칙한 간격으로 강화요인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즉,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행동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평균 시간을 중심으로 그때마다 시간 간격을 변경하여 강화하는 것이다. 언제 자신이 행동이 강화를 받을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없어 항상 꾸준하게 행동하는 장점이 있다
예) 담임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일주일에 한 번씩 노트 검사를 한다고 알려 준다. 그 대신에 검사의 요일과 시간은 알려주지 않는다. 그러면 학생들은 언제 노트 검사를 할 지 예측 할 수 없기 때문에 꾸준히 노트 정리를 하게 될 것이다.
3) 고정비율 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반응행동의 일정한 수나 일정한 비율에 따라 강화요인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즉, 일정한 수의 행동을 한 다음 한 번씩 강화하는 것이다. 강화 직후에 잠시 휴식과 같이 반응을 중단하는 일시적인 중단 현상이 있다.
예) 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이닦기를 생활화하기 위해 매일 오면 이를 닦은 사람만 뒤에 있는 게시판에 스티커를 붙이도록 한다.10번의 스티커가 부쳐질 때마다 칫솔과 치약을 선물로 준다.
예)선생님이 학생들의 숙제를 검사할 때, 특히 잘해온 학생의 공책에 도장을 찍어준다. 이렇게 해서 도장이 5개 될 경우 상을 준다.
4) 변동비율강화계획과 실생활의 예
항상 고정된 수의 반응 후에 강화를 주는 대신 강화가 평균 몇 번째 반응 뒤에 나오는 계획이다. 즉 일정한 수의행동을 한 다음에 한 번씩 강화하는 것이지만, 그 비율은 고정된 것이 아니고 변경되는 것이다. 간헐 강화계획 중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계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강화로 행동의 습득도 비교적 빠르고 강화를 제거한 후에도 반응이 높은 비율로 비교적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예) 숙제로 낸 과제물을 잘 해 오는 사람에게는 도장을 찍어 준다. 이 확인 도장이 교사가 정한 임의의 숫자를 채울 때는 그 때 마다 문구류를 강화물로 준다. 강화물을 주는 도장의 숫자는 변동적이다. 즉 이 때 도장의 숫자가 다섯 번째 도장을 받았을 때 줄 수도 있고 열 번째 도장을 받았을 때 줄 수도 있는 방법이다.
Ⅲ. 결론
강화란 어떤 행동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다주는 절차이다. 강화조건은 행동이 어떤 결과를 낳아야 하고, 그 행동의 강도가 증가해야 하며, 그 강도의 증가가 그 행동의 결과로 인한 것이어야만 한다. 이런 강화는 조작적 조건화의 중심원리이며 조작은 반응의 결과에 초점을 둔다. 그렇기 때문에 행동주의 입장에서는 학습자로부터 관찰될 수 있고 측정될 수 있는 결과를 이끌어 내도록 교수과정 설계되어야 하고, 이미 학습한 내용 반복 연습할 수 있는 기회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성공적인 학습을 위하여 긍정적인 강화 제공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Ⅳ. 참고문헌
감세현 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양성원, 2016
권대훈,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5
신명희, 강소연, 김은경 외 2명 저, 교육심리학,학지사, 2014
문은식 외, 교육심리학, 공동체, 2015
김영희 외 저, 건강한 인성을 위한 교육심리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7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6.10.08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