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자아심리이론 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자아심리이론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자아심리이론
1. 자아심리이론의 인간관과 가정
2. 주요개념
3.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4.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Ⅱ. 치료목표와 과정
1. 치료목표
2. 치료기법

본문내용

서 동일시의 가장 위험하고 바람직스럽지 못한 측면이 축적된 결과
>> 정체감 대 정체감혼란 단계에서의 심한 갈등
☞ 거절, 즉 생소한 역할과 가치를 거부하는 자아특질을 낳음
- 친밀감 대 소외감
> 22∼34세
> 주요 관계의 범위
>> 친구나 애인, 배우자 등으로 확대
> 이 시기 성인의 특징
>> (초기) 이성에 매혹되어 사랑에 빠지기도 하지만,
이성과 사귀는 동안에 자신의 이성에 대한 감정, 자신의 미래와 희망, 미래계획에
대한 끊임없는 탐색과 도전을 통하여 자아탐색을 함
>> 자아탐색에 대한 몰입
☞ 오히려 친밀감 형성을 방해
☞ 스스로 고독하고 불안하여 자아고립상태에 처하게 됨
☞ 따라서 진정한 친밀감은 합리적인 자아정체감이 형성되었을 때에만 가능
> 진정한 친밀감
>> 합리적인 자아정체감이 형성되었을 때만 가능
> 친밀감이란? (Erikson)
>> 친구, 배우자, 가족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
>> 사랑하고 신뢰감을 공유하고 있는 사람과 성적상호성을 형성하고,
일과 여가의 주기를 지속하고 자녀출산까지 포함하는 개념
>> 즉, 성적친밀감 이상의 것
>> 타인의 복지에 대한 관심과 지적인 자극을 유발하는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도 포함
> 이 단계의 위기를 만족스럽게 극복하지 못하면(성공적 해결 못하면, 부정적 해결)
>> 자아도취 상황이나 친밀한 사회관계를 회피하는 고립상황에 놓이게 되고
>> 타인으로부터 자신을 소외함 (소외감을 느낌)
>> 직업을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 직업에서 소외감을 갖기 쉬움
- 생산성 대 침체
> 34∼60세
> 주요 사회관계의 범위
>> 직장과 확대가족의 성원으로 확대
> 주요 발달과업
>> 자녀를 출산, 양육, 지도
> 생산성
>>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것 이외에도
>> 학생, 동료 또는 친구를 잘 보호하고,
>> 직업이나 여가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얻게 되는 창조성을 포함
>> 다음 세대로의 사상의 전수까지도 포함
>> 기능
☞ 생산성으로 인하여 후세대를 양육하고 가르치며 지도 감독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이전 세대의 문화와 의식이 후세대로 연결될 수 있게 만듦
> 성공적 위기 해결
>> 타인을 배려하고 보호하는 능력이 형성
> 부정적 위기 해결
>> 거부(rejectivity) 또는 권위주의 형성, 절망과 인생의 무의미함을 느낌
- 자아통합 대 절망
> 60세부터 사망까지
> 사회관계의 범위
>> 인류 전체로 확대
> 심리사회적 위기의 문제
>> 죽음을 눈앞에 둔 노년기에 어느정도 자아의 통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가하는 문제와
관련됨
>> (자아통합)통합을 성취하는 조건
☞ 후회가 별로 없고
☞ 생산적인 인생을 살았고
☞ 성공뿐만 아니라 실패에도 잘 대처한 개인
> (통합)자아통합을 성취한 사람의 특징
>> 후회가 별로 없고
>> 생산적인 인생을 살았고
>> 성공뿐만 아니라 실패에도 잘 대처하며,
>> 과거, 현재, 미래 경험이 연속성을 지님
> 절망 (절망감을 가진 노인의 특징)
>> 죽음을 두려워하고, 새롭게 살 수 있는 기회를 갖기를 원하는 사람에게
지배적으로 나타남
>> 인생이 너무 짧다고 느끼고
>> 인간 존재에 대해 별다른 의미를 느끼지 못하며
>> 자신과 타인에 대한 신념을 상실하며
>> 세계 질서와 영적 통합감을 거의 느끼지 못함
> 성공적 위기 해결
>> 지혜를 얻음
> 부정적 위기 해결
>> 경멸
> Erikson은 세대간의 상호 관련성을 강조
>> 인생의 한 단계는 다른 단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인생이 막을 내릴 때 발달이 완성된다고 봄 (발달완성)
4.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 심리적 건강과 증상에 대한 관점
> 자아의 학습, 행동 능력에 초점을 두고 정신건강과 적응을 설명함
> 환경에 대한 자아의 대처 및 지배 능력과 관련된 행동을 중시
>> (차이점) 전통적 정신분석이론 : 충동, 본능에 강조점을 둠
> 비직선적 원인론을 갖고 있음 (Erikson)
>> 성격의 발달을 개인과 환경 사이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봄
> 인간을 전체적 존재로 봄
>> 하나의 병리에 하나의 원인이 존재한다고 보지 않음
>> 즉, 병리나 증상은
☞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에서 야기되는 신체/심리/사회적 측면이 융합되어 있는
갈등과 긴장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여 자신의 정체감에 대해 혼란을 겪기 때문에
야기됨
> 발달과정의 사정
>> 내담자의 과거 발달과정의 왜곡에 대한 정확한 사정이 필요
>> 표현된 감정이나 행동유형을 탐색함으로써
>> 병리의 원인이 되는 개인의 발달적 역사를 재구성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낼 수
있다고 봄
>> 치료자가 내담자의 발달상의 성공과 실패를 재구성함으로써 성인기의 행동과 장애의
근원을 사정할 수 있게됨
II. 치료목표와 과정
- 치료목표
> 통찰을 통하여 정확한 자아인식을 갖게함
> 환경과 활발하고 긍정적으로 상호작용
> 환경에 대한 자아지배력을 회복
> 자아기능 회복
> 병리적 증상 제거
> 인생에 대한 선택권의 자유로운 행사
> 삶을 창조적으로 영위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데 목표를 둠
- 임상적 치료관계의 핵심
> 치료자가 해석을 통하여 내담자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지지해 주는 것
- 치료자의 역할
> 해석을 통하여 내담자의 발달적이고 역사적 통찰을 확대해주어야함
> 정신분석치료에서보다 좀 더 지지적인 태도를 취함
> 내담자가 감정을 명확히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역할을 수행
> 해석 (Erikson) 의 기능
>> 제안이나 칭찬보다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유용
>> 내담자와 치료자의 문제해결 양식을 결합함
>> 치료를 더욱 촉진함
- 치료기법 (Erikson)
> 종류
>> (주의집중) 주의를 집중하여 경청
>> 부적절한 추론을 억제(추적)
>> 내담자가 치료적 명확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해석하는 것이 포함됨
>> 인생회고기법
> 특징
>> 격려나 제안은 삼가
>> 치료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전이나 꿈에 대한 해석도 함
> 인생회고기법 (Butler)
>> 과거 사건을 재구조화하는 기법
>> 과거 경험으로 점진적으로 되돌아감으로써 과거의 왜곡된 경험을 해결하고
통합할 수 있으며, 마지막 발달과업인 자아통합 대 절망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다고봄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12.22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51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