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 아동기 호흡기 감염의 특징 상기도 문제 A+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간호 : 아동기 호흡기 감염의 특징 상기도 문제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P.3

Ⅱ. 본론……………………………………P.3
호흡기 감염……………………………P.3
상기도 감염……………………………P.9
1.1.1. 급성 바이러스성 비인두염……………P.9
1.1.2. 급성 연쇄상구균성 인두염…………P.10
1.1.3. 편도염…………………………………P.12
1.1.4. 유행성감기………………………………P.15
1.1.5. 중이염…………………………………P.17
1.1.6. 전염성 단핵구증………………………P.21

Ⅲ. 결론…………………………………P.24

Ⅳ. 참고문헌……………………………P.27

본문내용

. 따라서 우리는 호흡기 기능장애 아동의 간호에 대해 알아볼 필요성을 느껴 아동기 호흡기 감염의 특징과 상기도 질환에 대해 알아보았다.
Ⅱ. 본 론
호흡기 감염 Respiratory infection
상기도(upper respiratory tract upper airway)는 비인두(nasopharynx)와 구인두(oropharynx), 후두(larynx), 기관상부(upper part of trachea)로 구성
하부기도(lower respiratory tract)는 기관하부(lower part of trachea), 기관지(bronchi), 세기관지(bronchiole), 폐포(alveoli)로 구성
기관은 하부기도질환으로 간주하며, 후두개와 후두감염은 크룹 증후군으로 분류됨.
호흡기감염은 분리된 해부학적 부위로 구분되지 않음.
그 이유는 호흡기 내부 전체가 점막이라는 연속선에 있다는 특성 때문에, 호흡기 감염의 대부분이 하나의 구조에서 다른 구조로 퍼져나가기 때문임.
1) 원인과 특징
아동기에서 급성질환의 대부분이 호흡기 감염
감염의 원인과 경과는 아동의 나이, 계절, 주거환경 및 이미 존재하는 의학적 문제에 의해 영향을 받음
2) 감염원
호흡기계는 광범위한 감염성 미생물에 의해 쉽게 감염됨
감염의 대부분이 바이러스, 특별히 호흡기 세포 융합 바이러스(RSV, respiratory syncytial virus), nonpolio enterovirus(coxsackivirus A and B), 아데노바이러스, parainfluenza viruses와 human metapneumoviruses가 원인임.
다른 일차, 이차 감염원으로 A군 β-용혈성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용혈성 인프루엔자, 클라미디아속, 마이코 플라스마와 폐렴구균등이 포함됨.
(1) 연령
3개월 미만의 영아는 더 나이든 아동보다 감염률이 낮음 ☞ 모체에서 받은 항체 때문
3~6개월의 영아는 감염률이 증가하는데, 이는 모체에서 받은 항체가 사라지고, 자신이 항체생성 능력이 약하기 때문
유아기와 학령전기 동안 바이러스 감염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짐
일부 바이러스성 병원체가 나이든 아동에서 경중의 질병을 유발하거나 영아에서는 중증 하부기도 감염이나 크룹을 유발함
(2) 기도의 크기
해부학적 차이가 호흡기 감염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침
어린 아동의 기도 직경은 비교적 작기 때문에 점막의 부종과 분비물이 증가하면 쉽게 좁아짐
어린 아동에서는 병원체가 빠르게 호흡기를 따라 이동하여 감염부위가 확장됨
영아와 어린 아동의 유스타키오관은 상대적으로 짧고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병원체가 중이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음
(3) 저항력
아동은 면역체계가 미성숙하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함
저항력을 감소시키는 그 외 조건에는 영양결핍, 빈혈, 피로, 오한 등이 있음
알레르기, 조산, 기관지폐이형성증, 천식, RSV감염력, 폐울혈을 초래하는 심장기형과 낭성섬유증은 호흡기의 저향력을 감소시키고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소인이 됨
(4) 계절적 변이
가장 흔한 호흡기 병원체는 주로 겨울과 봄에 유행함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은 가을과 초겨울에 더 자주 발생
감염에 의한 천식은 추운날씨에 더 자주 발생
겨울과 초봄은 전형적으로 \'RSV계절\'
3) 임상양상
영아와 유아, 특히 6개월~3세 아동은 나이 든 아동보다 급성 호흡기계 감염 시 심한 증상이 나타나고 국소징후 뿐만 아니라 많은 전신증상 및 징후를 나타냄.
영아와 어린 아동의 호흡기 감염과 관련된 증상과 징후

-신생아에서는 드물고, 6개월~3세 연령에서 가장 빈번하다.
-감염의 첫 징후로 나타나며, 경한 감염에도 체온이 39.5~40.5℃까지 오른다.
-달라진 행동양상을 보이는데, 생기가 없고 불안정하며, 흥분될 수도 있다.
-열성경련을 촉진시킬 수 있다.
식욕 감소와 식욕 부진
-모유나 분유를 수유하는 영아에서는 일반적 증상이다.
-아동기 질환의 가장 일반적 증상이며 초기징후이다.
-열성기 동안 더 증가되는 정도가 지속되며, 회복기까지 지속되기도 한다.
구토
-질환이 있는 어린아동에게 일상적이다.
-감염발생의 단서이다.
-다른 징후보다 몇 시간 전에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나타나지만 계속 지속될 수도 있다.
설사
-대부분 경하고 일시적이지만 중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때로 바이러스 감염을 동반한다.
-흔히 탈수를 일으킨다.
복통
-때때로 충수돌기염의 통증과 구별되지 않는다.
-장간막림프절염이 원인인 경우도 있다.
-특별히 신경질적이고 긴장한 아동에게, 구토로 인한 근육경련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비강의 폐쇄
-영아의 작은 비강은 점막부종과 삼출물로 인해 쉽게 폐색된다.
-영아에서 호흡과 수유를 방해할 수 있다.
-중이염과 부비동염 발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코의 분비물
-흔히 발생한다.
-진하거나 연한 물과 같은 상태 및 화농성이다.
-감염이 형태와 단계에 따라 다르다.
-가려움을 동반한다.
-코 주위의 윗입술과 피부가 자극받을 수 있다.
기침
-급성기 동안에만 분명할 수 있다.
-질병 이후에도 몇 개월간 지속될 수 있다.
호흡음
-호흡기 질병과 관련된 소리
-기침, 쉰 목소리(hoarseness), 그렁거림(grunting), 협착음(stridor), 천명음(wheezing)
청진 시
-천명음, 악설음
인후통
-나이든 아동이 자주 불편을 호소한다.
-어린아동은 염증이 심하더라도 불편을 호소하지 않을 수 있다.
-아동은 구강으로 수분 또는 고형식의 섭취를 거절할 수 있다.
수막증
-뇌막에 감염 없이 발생하는 뇌수막 징후이다.
-갑작스럽게 열이 발생한다.
-동반되는 증상 : 두통, 통증, 등과 목의 강직
-체온이 감소함에 따라 완화된다.
호흡기계 사정요소
호흡
횟수
아동에 따라 빠르거나, 정상이거나, 혹은 느리다.
깊이
정상이거나, 너무 얕거나(과소호흡, hypopnea), 너무 깊다(과도호흡, hyperpnea)
용이성
힘들지 않음, 호흡곤란(dyspnea), 기좌호흡(orthopnea), 흉골과 늑골견축, 기이맥(pulsus paradoxus), 벌름거리는 콧구멍, 머리를 까닥거림, 그렁거림, 천명 등
힘든 호흡
지속적, 간헐적으로 계속 악화되며, 휴식이나 운동 시 갑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6.12.29
  • 저작시기201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55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