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레포트- 호흡기 구조 및 기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레포트- 호흡기 구조 및 기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호흡기계의 구조 및 기능
1)상부호흡기계
2)하부호흡기계

2.호흡기환자 간호시 사용되는 용어


Ⅲ. 결 론

1.느낀점
2.문헌고찰

본문내용

두꺼운 막,
수축시 융기부가 내려와 팽팽해지며 그 결과 흉곽 넓어짐
-흡기 운동시 바깥 늑골사이근과 횡격막 모두 수축
-속 늑골사이근은 깊게 숨을 내쉴 때 수축함
-바깥 늑골 사이근횡격막이 수축시 폐 내는 1~2mmHg만큼 더 음압이 되며 바깥 공기가 폐포내로 들어옴
-두 근육이 이완하면 흉곽 용적은 적어지고 폐 내는 양압이 됨(폐 내압은 2~3mmHg만 큼 더 양압이 되고 폐속의 공기는 밖으로 나가게 된다)
■ 기도
▷기관
-직경 2~2.5cm 길이 11cm
-제 5흉추 높이에서 2개 기관지로 나뉨
(기관분기부 carina-기관지경 등 삽입시 중요한 위치)
-뒷면 약간 납작한 원형 관
-16~20개의 말굽 모양 연골로 이뤄짐, 뒤는 완전 연골 아닌 결체조직으로 이어짐
-자율신경계의 지배→교감신경 흥분으로 이완되어 내강 넓어지고 부교감신경 흥분으로 수축되어 좁아짐
-내강은 섬모가 분포되어 있는 상피세포로 되어 있고 이 세포들 사이의 술잔세포에서 점액 분비
▷기관지
-주기관지, 엽기관지, 구역기관지, 세기관지, 종말세기관지 순으로 분포
-주기관지→왼쪽 길이 5cm, 직경 10~14mm
-오른쪽에 비해 경사 완만, 오른쪽 길이가 2.5cm, 직경 12~16mm, 경사가 급격, 왼쪽 보다 넓고 짧다.
-기관지 벽 : 섬모가 분포되어 있는 점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종말세기관지 : 말단기관지, 세기관지로부터 폐포로 공기를 전달하는 통로, 평활근 자율 신경계가 지배(교감신경은 이완, 부교감신경은 수축)
-호흡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 : 폐포와 연결
▷폐포
-공기전달통로
-호흡세기관지, 폐포관, 폐포주머니, 폐포에서 가스교환 발생
-폐포관 : 호흡세기관지에서 나옴, 탄성근육조직으로 그물 모양으로 이뤄져 있다
-폐포주머니 : 폐포와 연결된 약간 넓어진 주머니, 포도송이 모양
-폐포관, 폐포낭 : 약 1,400만개 존재
-편평세포 조직, 고무풍선 모양의 얇은막(0.5㎛)으로 형성된 주머니
-성인은 3억개의 폐포 존재, 총 표면적 70~80㎡로 신체 체표면적의 20~50배
-폐포벽 : 네 층으로 구성
-폐조직 : 세 군으로 나뉨(typeⅠ, typeⅡ, 폐포 대식세포)
typeⅡ는 typeⅠ보다 크고 폐포 중간부위에 많다
typeⅡ는 미토콘드리아 많이 포함, 신진대사 왕성, 계면활성제 생성
Ⅱ. 기능
:호흡기계의 기능은 첫째 호흡운동, 둘째 가스교환, 셋째 호흡기 보호가 있다.
■ 호흡운동
공기는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된다. 흡식은 대기로부터 공기가 폐내로 들어오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대기압(760mmhg)이 폐내압력(intrapulmonary)보다 높기 때문에 일어난다. 한편 호식은 폐내의 공기가 밖으로 나온 것으로 폐내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야 한다. 폐내의 압력은 흉곽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데 즉 흉곽의 크기가 커지면 폐내의 압력이 줄어들어 대기압과 같아질 때까지 공기가 폐로 들어온다. 이것은 폐에는 탄력섬유는 풍부하지만 근육이 없기 때문에 폐 스스로 움직이지는 못하지만 흉곽이 확장되면 이에 따라 수동적으로 확장되기 때문이다.
1. 흡식
안정시 흡식이 일어날 때 폐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1~2mmhg정도 낮아 매 흡식 때마다 500ml의 공기 폐내로 들어온다.
- 흉곽의 확장 : 주로 외늑간근 및 늑연골부의 내늑간의 수축에 의함.(횡경막 내려가고 늑골이 올라와 전후경을 길게한다.) 횡격막의 수축에 의해 1.5cm, 심 호흡시 6~7cm 내려감.
2. 호식
흡식의 반대과정으로 흡식시 수축되었던 횡격막과 외늑간근의 이완으로 탄성반동에 의해 늑골과 횡격막이 제자리에 되돌아온다.
-흉식호흡 : 흉곽의 운동에 의한 호흡
-복식호흡 : 횡경막의 운동에 의한 호흡
■ 가스교환
기체분자 : 분압이 높은 곳 -----≫ 낮은곳
: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에서 일어나는 산소의 탄산가스의 기체교환은 각종 가스가 차지하 는 분압의 차에 의한 확산현상으로 이루어지며 순 물리적인 분자의 이동이다. 이와 같 은 확산에 의한 분자이동이 폐포나 모세혈관에서 단 시간에 또한 광범위하게 일어날 수 있는 것은 폐포나 모세렬관 벽의 총면적이 매우 넓으며, 또한 그들을 구성하는 벽이 매 우 얇고 기체분자와 같은 크기가 작은 입자를 쉽게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확산
- 폐에서의 기체교환
▶ 폐포내의 산소분압 : 100mmhg
정맥혈의 산소분압 : 40mmhg
60mmhg의 분압차에 산소가 폐포에서 정맥혈 속으로 확산하여 들어간다.
▶ 탄산가스 : 정맥혈(46)과 폐포(40)내에서의 탄산가스 분압의 차 46-40=6mmhg에 의해서 폐포내로 확산
- 조직에서의 기체교환
: 조직마다의 활동에 따라 산소의 분압이 여러 가지로 변동하고 또한 장소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다. (평균적으로 산소분압 30mmhg, 탄산가스 분압 50mmhg로 잡는다.)
▶ 조직에 도달한 동맥혈 산소분압 : 100mmhg
조직의 산소분압 : 30mmhg
70mmhg에 의하여 산소는 조직 쪽으로 확산하여 나감, 정맥혈의 산소분압은 40mmhg로 낮게 됨.
▶ 동맥혈의 탄산가스 분압 : 40mmhg
조직의 탄산가스 분압 : 50mmhg
10mmhg 만큼 높으므로 이 압력경사에 따라서 조직으로부터 혈액내로 확산하여 들어옴. 정맥혈에서는 탄산가스분압이 46mmhg로 증가한다.
- 환기와 관류의 비율
: 정상적으로 폐포의 환기량이 감소하면 폐동맥이 수축되어 혈약 유입이 감소되고 폐포의 환기량이 증가하면 폐동맥이 확장되어 혈액 유입이 증가한다. 이러한 자동조절에 의하여 활기량과 관류량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 안정시 폐포 환기량 : 4L/min
폐모세혈관을 흐르는 혈액량 : 5/L/min
환기량/혈류량 비율이 4/5, 즉 0.8일 때 가스교환이 가장 효율적으로 일어남
■ 호흡기 보호
하부기도는 폐로 들어가는 공기의 보온, 습화, 여과 및 여러 가지 방어기전을 제공하고 있
다. 호흡기의 가스교환 막은 표면적이 테니스 코트만하며, 이 크기는 매일 대기의 먼지에
노출되더라도 효율적인 방어기전을 하는 데 충분하다. 호흡기의 방어기전에는 청결기전,
면역기전 등이 있다.
1. 청결기전
하부기도는 다음과 같은 3가지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5.03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