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본론
1. Emergency room
2. 문헌고찰: 골격견인,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Bipolar hemiarthroplasty)
3. 간호과정
1)환자의 일반정보
2)간호사정
3)간호진단 및 간호계획
4.투약
1. Emergency room
2. 문헌고찰: 골격견인,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Bipolar hemiarthroplasty)
3. 간호과정
1)환자의 일반정보
2)간호사정
3)간호진단 및 간호계획
4.투약
본문내용
이 낮아짐.
가습압박을 하려면 환자를 앙와위로 눕혀야 함. 환자의 머리가 심장보다 높게 위치하면 뇌혈류량이 감소하므로 환자의 자세는 수평을 유지함.
압박위치는 가슴의 가운데(흉골의 아래쪽 중간)임. 흉골 위에 한쪽 손바닥을 올려놓고 다른 한 손을 그위에 겹쳐 놓음.
압박위치를 결정한 후 한 손을 압박할 부위에 대고 그 위에 다른 손을 올려놓음. 손가락이 흉곽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흉골을 척추 쪽으로 압박함. 성인에서는 흉골이 최소 5cm(최대 6cm) 압박될 정도의 강도록 압박함. 가슴압박 중에는 구조자의 손가락이 환자의 가슴에 가능한 닿지 않도록 하여야 가슴압박에 의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음.
기도개방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개방하는 방법
· 머리젖히고 턱들기(두부후굴-하악거상법) : 구조자가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등 쪽으로 밀어주고 다른 한 손의 검지와 중지를 사용하여 환 자의 턱을 받쳐줌.
· 턱 들어올리기(하악견인법)
환자의 머리 쪽에서 두 손을 사용하여 환자의 하악골 각을 받쳐주어 하악골이 앞쪽으로 밀려나도록 함.
인공호흡
· 입-입 인공호흡
· 입-코 인공호흡
· 입-창 인공호흡
· 입-마스크 인공호흡
· 백-마스크 인공호흡
자동
제세동기
패드를 붙일 때에는 통상적으로 우측 빗장뼈 아래에 한 개를 붙이고, 다른 한 개의 패드를 좌측 유두의 외측(액와로부터 약 7cm 아래)에 부착함.
자동제세동기가 환자의 심전도를 분석하여 심실세동으로 확인되면 제세동기가 자동으로 충전되면서 환자와 접촉하지 말라(clear)는 음성 신호가나오고, 제세동하라(press to shock)는 음성신호가 나옴, 이 때, 먼저 구조자 자신이 환자와 접촉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다른 사람이 접촉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다음, 모든 사람이 환자와 접촉되어 있지 않은지를 확인 한 후, 제세동 스위치를 눌러 제세동 함.
2. 문헌고찰: 골격견인, Bipolar hemiarthroplasty
1)골격견인(skeletal traction)
- 피부견인에 비해 추의 무게가 무겁고 견인기간이 장기화 될 때 선택 됨.
- 핀or철사를 직접 뼈에 삽입 → 추 연결.
- 골편이 어긋나거나 겹치게 됨을 막아 줄 뿐만 아니라 근육경련도 감소시킴.
- 간호 체위
환자는 앙와위로 눕히고 손상 부위에 불필요한 긴장이 가지 않도록 함.
대항 견인
유지
치료적 견인력에 대응하여 환자가 침대 밑으로 미끄러지는 것은 방지
하고 치료적 견인력의 분산을 막기 위함
→ 침상을 상승시킬 때 침대 자체의 발치를 올려 줌.
환자의 등을 올릴 때 침대의 각도가 20°보다 더 높지 않도록 함.
마찰
견인장치의 추나 줄에 마찰이 있으면 효율성이 저하 되므로 발판이나
견인줄 연결장치가 침대에 닿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함.
피부
핀 삽입부의 감염여부나 핀으로 인한 피부자극을 자세히 관찰함.
심리적
골격견인은 장치가 복잡하여 환자들이 불안해하므로 정신적으로 안정
시키기 위한 심리적 간호를 하도록 함.
(1)평형성 현수대 골격 견인법
목적
-대퇴 골절 시 골절편이 전위되었거나 겹치게 되었을 때, 골반이나 하 지의 다발성 골절 시에 골절편의 정복과 고정을 목적으로 함.
사용되는 물품
-Kirschner wire 또는 Steinmanpin
-Thomas부목
-하지를 지지할 Pearson연결대
-발판, 견인줄, 도르래, 추 등
간호
및
관찰
-비골 신경의 압박을 피하기 위하여 무거운 담요로 발을 덮지 않음.
-발뒤꿈치는 침요에 닿지 않게 하며 순환상태를 자주 관찰하여 욕창을 예방함.
-붕대가 너무 조여서 비골 신경이 압박을 받는지 관찰.
-부목으로 지지하고 있는 하지의 관절 운동을 격려.
-침대에 달려있는 삼각손잡이를 이용하여 무릎아래 하지의 운동을 할 수 있음.
-환자가 자신의 어깨와 둔부를 들면서 운동을 할 수 있음.
-토마스 부목 때문에 서혜부나 장골부에 압박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자주 관찰하고 배설물로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
-환자에게 견인의 원리를 잘 설명해 주고 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함.
-골격 견인이므로 핀이 꽂힌 부분에 발적과 배농 등 감염의 유무를 관 찰하고 무균적으로 간호하도록 함.
2)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Bipolar hemiarthroplasty)
(1)정의 및 원리
- 대퇴골 경부 골절시 대퇴골두로 가는 혈관이 손상된 경우에 대퇴골두를 제거하고 인공대 퇴골두를 삽입하는 것
- 인공대퇴골두와 이것을 감싸는 라이너가 있어서 이 두개 사이의 움직임과, 라이너와 골반 사이의 움직임, 즉 두 군데에서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양극성(bipolar)치환술 이라고 함
- 예전에는 골시멘트로 고정을 했으나 요즘에는 골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특수한 디자인 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press fitting mechanism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
(2)간호
①수술 전 간호
- 교육 : 대퇴 사두근 힘주기 운동이나 둔부근육 힘주기 운동, 고관절 신전 및 외전 상태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목발이나 보행기에 대한 설명과 걷는 동작을 알려 줌.
- 처치 수술부위 면도 및 비누세척 함.
비누세척은 수술전날 해도 무방하나 수술부위의 면도는 반드시 수술전 30분~1 시간 전에 해야 감염을 예방 할 수 있음.
수술 전에 항생제를 정맥 주사하여 감염 합병증에 대비 함.
②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환자의 적절한 체위와 하지보행운동이 간호의 요점.
- 화장실을 갈 때는 도움을 받아 걸어갈 수 있으며 양변기를 사용해야 함.
수술 직후 간호
수술 받은 고관절의 체위가 약 15°정도 외전 되도록 유지 함.
외전 베개를 이용하여 내전을 예방하고 심한 회전을 예방 함.
발가락 부위가 정상적인 중심자세가 되도록 간호 함.
수술 후 둔부 힘주기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 함.
하지의 혈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탄력 붕대를 감아야 함.
Hemobag을 이용하여 상처의 배액을 도움.
수술 후 첫째날
제한된 한도 내에서 침상운동을 시작 함.
호흡기 간호를 위해 기침, 심호흡, 습도를 제공 함.
대퇴 사두근과 둔부근의 등척성 운동을 함.
깨어 있는 동안 몇 분 또는 1시간 이내로 운동을 하도록 함.
수술 후 둘째날
침상의 가장자리나 의자에 반좌위로
가습압박을 하려면 환자를 앙와위로 눕혀야 함. 환자의 머리가 심장보다 높게 위치하면 뇌혈류량이 감소하므로 환자의 자세는 수평을 유지함.
압박위치는 가슴의 가운데(흉골의 아래쪽 중간)임. 흉골 위에 한쪽 손바닥을 올려놓고 다른 한 손을 그위에 겹쳐 놓음.
압박위치를 결정한 후 한 손을 압박할 부위에 대고 그 위에 다른 손을 올려놓음. 손가락이 흉곽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흉골을 척추 쪽으로 압박함. 성인에서는 흉골이 최소 5cm(최대 6cm) 압박될 정도의 강도록 압박함. 가슴압박 중에는 구조자의 손가락이 환자의 가슴에 가능한 닿지 않도록 하여야 가슴압박에 의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음.
기도개방
의식이 없는 환자의 기도를 개방하는 방법
· 머리젖히고 턱들기(두부후굴-하악거상법) : 구조자가 한 손으로 환자의 이마를 등 쪽으로 밀어주고 다른 한 손의 검지와 중지를 사용하여 환 자의 턱을 받쳐줌.
· 턱 들어올리기(하악견인법)
환자의 머리 쪽에서 두 손을 사용하여 환자의 하악골 각을 받쳐주어 하악골이 앞쪽으로 밀려나도록 함.
인공호흡
· 입-입 인공호흡
· 입-코 인공호흡
· 입-창 인공호흡
· 입-마스크 인공호흡
· 백-마스크 인공호흡
자동
제세동기
패드를 붙일 때에는 통상적으로 우측 빗장뼈 아래에 한 개를 붙이고, 다른 한 개의 패드를 좌측 유두의 외측(액와로부터 약 7cm 아래)에 부착함.
자동제세동기가 환자의 심전도를 분석하여 심실세동으로 확인되면 제세동기가 자동으로 충전되면서 환자와 접촉하지 말라(clear)는 음성 신호가나오고, 제세동하라(press to shock)는 음성신호가 나옴, 이 때, 먼저 구조자 자신이 환자와 접촉되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고, 다른 사람이 접촉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다음, 모든 사람이 환자와 접촉되어 있지 않은지를 확인 한 후, 제세동 스위치를 눌러 제세동 함.
2. 문헌고찰: 골격견인, Bipolar hemiarthroplasty
1)골격견인(skeletal traction)
- 피부견인에 비해 추의 무게가 무겁고 견인기간이 장기화 될 때 선택 됨.
- 핀or철사를 직접 뼈에 삽입 → 추 연결.
- 골편이 어긋나거나 겹치게 됨을 막아 줄 뿐만 아니라 근육경련도 감소시킴.
- 간호 체위
환자는 앙와위로 눕히고 손상 부위에 불필요한 긴장이 가지 않도록 함.
대항 견인
유지
치료적 견인력에 대응하여 환자가 침대 밑으로 미끄러지는 것은 방지
하고 치료적 견인력의 분산을 막기 위함
→ 침상을 상승시킬 때 침대 자체의 발치를 올려 줌.
환자의 등을 올릴 때 침대의 각도가 20°보다 더 높지 않도록 함.
마찰
견인장치의 추나 줄에 마찰이 있으면 효율성이 저하 되므로 발판이나
견인줄 연결장치가 침대에 닿지 않도록 주의 해야 함.
피부
핀 삽입부의 감염여부나 핀으로 인한 피부자극을 자세히 관찰함.
심리적
골격견인은 장치가 복잡하여 환자들이 불안해하므로 정신적으로 안정
시키기 위한 심리적 간호를 하도록 함.
(1)평형성 현수대 골격 견인법
목적
-대퇴 골절 시 골절편이 전위되었거나 겹치게 되었을 때, 골반이나 하 지의 다발성 골절 시에 골절편의 정복과 고정을 목적으로 함.
사용되는 물품
-Kirschner wire 또는 Steinmanpin
-Thomas부목
-하지를 지지할 Pearson연결대
-발판, 견인줄, 도르래, 추 등
간호
및
관찰
-비골 신경의 압박을 피하기 위하여 무거운 담요로 발을 덮지 않음.
-발뒤꿈치는 침요에 닿지 않게 하며 순환상태를 자주 관찰하여 욕창을 예방함.
-붕대가 너무 조여서 비골 신경이 압박을 받는지 관찰.
-부목으로 지지하고 있는 하지의 관절 운동을 격려.
-침대에 달려있는 삼각손잡이를 이용하여 무릎아래 하지의 운동을 할 수 있음.
-환자가 자신의 어깨와 둔부를 들면서 운동을 할 수 있음.
-토마스 부목 때문에 서혜부나 장골부에 압박을 받을 수 있으므로 자주 관찰하고 배설물로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
-환자에게 견인의 원리를 잘 설명해 주고 운동의 필요성을 인식함.
-골격 견인이므로 핀이 꽂힌 부분에 발적과 배농 등 감염의 유무를 관 찰하고 무균적으로 간호하도록 함.
2)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Bipolar hemiarthroplasty)
(1)정의 및 원리
- 대퇴골 경부 골절시 대퇴골두로 가는 혈관이 손상된 경우에 대퇴골두를 제거하고 인공대 퇴골두를 삽입하는 것
- 인공대퇴골두와 이것을 감싸는 라이너가 있어서 이 두개 사이의 움직임과, 라이너와 골반 사이의 움직임, 즉 두 군데에서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양극성(bipolar)치환술 이라고 함
- 예전에는 골시멘트로 고정을 했으나 요즘에는 골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 특수한 디자인 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press fitting mechanism으로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
(2)간호
①수술 전 간호
- 교육 : 대퇴 사두근 힘주기 운동이나 둔부근육 힘주기 운동, 고관절 신전 및 외전 상태의 필요성을 교육하고 목발이나 보행기에 대한 설명과 걷는 동작을 알려 줌.
- 처치 수술부위 면도 및 비누세척 함.
비누세척은 수술전날 해도 무방하나 수술부위의 면도는 반드시 수술전 30분~1 시간 전에 해야 감염을 예방 할 수 있음.
수술 전에 항생제를 정맥 주사하여 감염 합병증에 대비 함.
②수술 후 간호
- 수술 후 환자의 적절한 체위와 하지보행운동이 간호의 요점.
- 화장실을 갈 때는 도움을 받아 걸어갈 수 있으며 양변기를 사용해야 함.
수술 직후 간호
수술 받은 고관절의 체위가 약 15°정도 외전 되도록 유지 함.
외전 베개를 이용하여 내전을 예방하고 심한 회전을 예방 함.
발가락 부위가 정상적인 중심자세가 되도록 간호 함.
수술 후 둔부 힘주기 운동으로 근육을 강화 함.
하지의 혈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탄력 붕대를 감아야 함.
Hemobag을 이용하여 상처의 배액을 도움.
수술 후 첫째날
제한된 한도 내에서 침상운동을 시작 함.
호흡기 간호를 위해 기침, 심호흡, 습도를 제공 함.
대퇴 사두근과 둔부근의 등척성 운동을 함.
깨어 있는 동안 몇 분 또는 1시간 이내로 운동을 하도록 함.
수술 후 둘째날
침상의 가장자리나 의자에 반좌위로
추천자료
cbr infarction case
정신간호case
OR case study- CRIF
ICH 환자 case study
뇌출혈 환자 case study
뇌실내출혈 case (IVH case study)
[성인간호학] ICU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케이스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T-SAH C...
case NS SDH Closed Traumatic SDH(subdural hemorrhage) 경막하혈종 A+
CCU) PTE 폐색전증 케이스, DVT 심부정맥혈전증 케이스 A+ (폐색전증 케이스, DVT 케이스, 심...
NSICU - Subarachnoid hemorrhage CASE (지주막하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NS SDH.SAH - 외상성 경막하 혈종(Traumatic SDH:Subdural hematoma) & 지주막하 출...
간호실습) 응급실실습간염case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ICH 케이스 스터디 (Intracerebral hemorrage 케이스 스터디 ICH CASE STUDY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폐렴 케이스 폐렴 CASE STUDY 폐렴 간호과정 폐렴 실습 내과 실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