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schizophrenia) A+ 참고문헌, 간호과정, 간호진단, 간호사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현병 (schizophrenia) A+ 참고문헌, 간호과정, 간호진단, 간호사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및 특성
2.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의 간호

본문내용

명령을 그대로 따라하는 자동복종(automatic obedience), 요구를 모두 거절하는 거부증(negativism), 얼굴을 찡그리거나 기이한 자세 등이 나타날 때도 있고 증상조절이 안되거나 투약 중지 시에는 초조, 공격성, 폭력 등의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음
양가적 감정이나 양가적 사고, 충동 등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 이는 대상자가 결정을 어느 한 쪽으로 할 수 없을 때 나타남
여러 가지 증상들로 인해 대상자는 사회문화적 규범에 적응X, 사회적 위축 발생, 다른 사람들과 협력적이고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하지 못함→ 사회적 회피와 사회적 격리, 괴이한 행동이나 규범에 맞지 않은 행동
(2) 정동장애
감정표현이 과소한 것, 정동둔마(affective flattening),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표현상실증(alexithymia) 등
친근감이나 즐거운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쾌감상실증(anhedonia), 흥미나 느낌이 결여된 무감동(apathy) 등
감정은 특정 생각에 연결되어지는 정동이며 시상하부, 편도, 해마 연상피질과 같은 상위피질센터 간의 신경 활동의 상호작용으로 생김
조현병 대상자가 슬픈 주제를 이야기하면서 웃는가든가 하는 정동 불일치는 이상의 여러 가지 감정장애 증상들과 함께 뇌신경활동장애나 뇌기능장애로부터 생긴 결과
(3) 지각장애
지각은 뇌간, 뇌피질, 간뇌 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경험
지각장애는 조현병 외에도 많은 뇌질환의 중요한 증상
조현병 대상자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지각장애→ 환각
(약 70%의 대상자에서 나타나며 이 중 90%의 대상자는 망상을 동반 /환각이 있는 대상자의 약 70%는 환청, 20%는 환시, 환촉, 환후 환후 : 실제로 나지 아니하는 냄새를 맡는 환각 현상.
, 운동환각 운동환각: 운동감각의 환각으로 신체가 공중에 뜨거나 잡아끌리거나 떨어져가는 느낌을 갖는 것
등의 순)
환각은 실제적인 내·외적 자극이 없는데도 자극이 있는 것처럼 현실로 지각→ 대상자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환청: 사람들의 목소리, 이야기하는 것이 들리거나 단어, 문장 등이 들리는 것
환시에는 물체나 사람, 동물 등이 보이거나 빛이 번쩍거리는 것 등
환미와 환후는 함께 할 때가 많으며, 환촉은 몸에 전기가 통하거나 어떤 것이 닿는 듯한 것, 찌르는 듯한 것, 벌레가 기어 다니는 것 같은 느낌을 경험
대상자의 환각은 환경적 자극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음 ex) TV 화면, 형광등 불빛 등은 환시/ 지나친 소음은 환청 유발
환각은 섬망 등 기질성 정신장애, 물질남용, 기분장애에서도 발생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해리성 정체성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경계성 성격장애, 외상 및 학대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에게서 종종 발생하는 청각적 재생(auditory flashbacks)과는 구별되야 함
청각적 재생 : 이전에 경험한 것들의 반복적인 청각적 재생경험
환각 이외에 조현병 대상자가 경험하는 지각장애는 착각, 연성 신경학적 징후 연성 신경학적 징후: 전두엽과 두정엽의 뇌외상과 일치되어 나타나며 손으로 만져보거나 접촉해 봄으로써 대상을 인식하는 능력에 결함이 있는 것
(soft neurological signs), 통증인식장애, 좌우인식장애, 얼굴 지각과 얼굴 인식장애 등
이런 장애가 있는 대상자는 자해행위, 두려움, 인간관계 위축 등을 수반할 수 있음
연성 신경학적 징후(soft neurological signs)
입체지각장애(asetreognosis) : 백 원짜리와 십 원짜리를 구별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만져봄으로써 대상물을 인식하지 못함
글자·숫자인식장애(agraphesthesia): 피부에 써주는 글자나 숫자를 촉감으로 인식하지 못함
균형장애
가벼운 근육연축, 무도병적, 유사틱운동(choreiform and ticlike movements), 찡그림(grimacing)
섬세운동기능장애와 비정상적 운동(abnormal motor tone)
빨라진 눈 깜빡임 속도, 장시간 노려보거나 시선회피
원활추종안구운동장애(abnormal smooth pursuit eye movement; SPAM): 대상추적운동장애
위치지각장애(proprioception)
(4) 언어 및 사고 장애
언어와 의사소통은 사고의 반영인데 연상이완(loosening association), 언어의 해체(disorganized speech) 또는 언어의 와해, 전혀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하는 지리멸렬(incoherence), 말비빔(word salad), 신어 조작증, 사고이탈(tangentiality), 음연상(clang association), 비논리성, 반향언어증, 언어 빈곤증, 사고 차단, 함구증 등 언어장애가 있음
대상자의 괴의하고 난해한 이야기는 이상의 언어장애 때문이며 이것도 말을 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노력임을 알아야 하고 잘 경청하여 응답하여야 함
조현병에서 잘 나타나는 사고내용장애로는 망상이 있음→ 주된 망상: 관계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 신체망상, 종교망상, 허무망상, 성적 망상 등(망상이 있는 대상자의 35%는 환각도 동반)
망상이 있는 상자는 추상적 사고보다 구체적 사고를 잘함
복잡하거나 긴 설명은 잘 이해하지 못하고 단 한가지 해결방법만 고수
상징과 단어의 함축된 의미를 잘 모르고 문자대로 해석
정보처리기능의 장애가 있기 때문에 사고과정의 장애와 사고내용의 장애가 옴
(5) 인지장애
인지는 뇌가 정확하게 정보를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각성활동과 판단력을 포함함
조현병 대상자들은 가끔 복잡하고 논리적인 사고와 문장을 표현할 수 X→ why?) 이는 뇌의 정보 체계의 기능부전 때문
정보체계의 기능부전은 대상자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못하게 하여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하기 쉽게 하고 급성기 동안에 병식결여 병식결여는 전두엽과 전전두엽이 연루된 신경학점 결함임(Amador, 2000)
갖도록 함
인지장애는 기억장애, 주의집중력장애, 판단력과 병식, 의사결정 장애 등
기억장애
잘 잊어버림, 부주의, 무관심, 학습장애, 약물복용에 대한 비순응 등은 기억장애와 관련 있음
간호사는 이런 증상들
  • 가격1,500
  • 페이지수37페이지
  • 등록일2017.01.23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70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