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국사서브 노트(7,9급 공무원 국어, 한국사 검정 대비, 각종 시험 대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무원 국사서브 노트(7,9급 공무원 국어, 한국사 검정 대비, 각종 시험 대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국사 기초
-선사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근대사
-현대사

본문내용

위덕왕때)
-관륵: 일본에 천문, 역본, 불교전함(무왕때)
-악사 미마지: 학교설립, 음악(무왕때)
-역박사 왕도량, 의박사 왕유릉타, 채약사 반량풍, 정유타: 일본 의학 발전(무왕때)
3. 신라주로 전파자이름 마지막에 o으로 끝남
-각덕: 양에서 사리구해옴
-현광: 진에서 천태교 연구
-원광: 수에서 열반종, 세속5계, 걸사표
-자장: 당에서 계율종 전함
-심상: 일본에 화엄종 전함
-지봉: 일본에 중국의 유식불교 전함
-의상: 해동 화엄종의 시조
-혜초: 인도 기행문 저술(왕오천춘국전)
-원효, 강수, 설총이 발전시킨 불교과 유교문화는일본의 하쿠호 문화의 성립에 기여
원효
-불교대중화(정토종=아미타 신앙: 극락내세신앙, 삼국통일전개창)
-불교의 통합사상(화쟁사상)5교를
-법성종(해동종)개창
-불교이해위해 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 화엄경소 저술, 종파간 융합위해 십문화쟁론 저술
-화엄경을 최고의 경전으로 보아 화엄승으로 간주
-화쟁사상=대승기신론소+십문화쟁론원융회통(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사상을 바탕으로 타 종파와의 대립극복에 노력)더 높은 차원에서 하나의 원리로 통합하려고 함
-불교의 종합화n민중화고려 의천의 통합사상(천태종=교종+선종)에 영향을 줌
-고려시대에 화정국사로 추앙, 유학X
-정토교 보급: 화쟁사상+통불교사상
화엄종(관음신앙)이 귀족층에서 가장 유행(현세구복적), 정토종(아미타신앙)은 내세신앙
신라하대선종이 유행
교종이 분파된 5교(왕권강화순: 화엄>법상>법성종)
1. 열반종(통일전)-보덕-경복사-신라상대
2. 계율종(통일전)-자장-통도사-신라상대
3. 법성종 -원효-분황사-신라중대(아래2개도)
4. 화엄종(대표적)-의상(해동 화엄종의 시조)-부석사
5. 법상종(대표적)-진표, 원측(정통, 규기에 대항)-금산사
cf)화엄종: 중앙집권체제 옹호, 전제왕권옹호, 통일 직후 신라사회 통합에 기여, 고려때는 균여(성상융회)는 이를 발전시키고 대각국사 의천은 고려 불교 통합관점에서 화엄선천태를 융합시킴
cf)의상: 관음신앙+아미타신앙, 화엄종을 일즉일체일체즉일의 무한 관계를 갖는 원융무애와 비로자나불의 발현으로 인식, 화엄일승법계도, 일즉다다즉일, 원만구족, 연기설
cf) 법상종: 유식사상(중국에서는 현장이 소개하고 그 제자 규기가 하나의 종파로 성립)+미륵신앙(화랑도와 밀접 관련), 보수적 귀족세력과 연결되어 교리면에서 관념화되고 불교의식 등의 형식적인 면 강조,고려 중기 화엄종과 대립하기도 함, 조선 초 매우 축소
cf)업설: 왕의 권위 높여줌
cf)신라에서 널리 받아들인 중심교리는 업설과 미륵신앙임
선종: 통일전후에 수용, 신라말에 대두, 지방세력이나 호족의 지원, 중국문화에 대한 인식확대에 도움, 조형미술 쇠퇴, 부도(묘탑)n탑비는 유행, 스스로 사색(참선, 좌선)하여 진리 깨달음 중시불교의식과 권위배격
선종관련어구: 정혜쌍수, 돈오점수, 견성오도, 직지인심, 불립문자, 교외별전, 간화선
cf)교종계통어구: 교관겸수, 지관
cf)9산 선문: 선종
1. 가지산파(최초)-장흥-보림사-도의 2. 실상산파-남원-실상사-홍척
3. 동리산파-곡성-대안사-혜철 4. 사굴산파-강릉-굴산사-범일
5. 봉림산파-창원-봉림사-현욱 6. 사자산파-영원-흥녕사-도윤
7. 희양산파-문경-봉암사-지선, 도헌 8. 성주산파-보령-성주사-무염
9. 수미산파(최후)-해주-광조사-이엄(왕건스승)
도교: 현세구복적, 고구려에서만 성행, 금욕중시, 민족의식고양, 상무정신 강조, 불로장생(무위자연), 현세적, 숭무, 양생, 비법, 둔갑, 신선, 방술, 비조직(교단정비X), 무속신앙이나 산악신앙과 결합
1. 고구려-주몽 건국신화, 벽화의 신선그림, 사신도, 여수장 우중문시(지족이란 표현), 연개소문 지원
2. 백제-사택지적비, 산수문전, 무령왕릉의 지석, 금동 용봉봉래산향로
3. 신라-박혁거세 설화, 화랑도 명칭, 세속5계(임전무퇴)상무적 성격
4. 통일신라-신선사상가(김가기), 최치원의 사산비명, 김유신 손자 김암(방술과 둔갑에 능함), 신선사상
5. 발해-정효공주 비문(불로장생 용어사용), 이광현(발해 도교의 대가)
6. 고려-가장 성행, 초제(제초), 참성단, 복원궁(도교사원)건립(예종)
cf)팔관회(개경과 서경에서 열림)=도교초제+민간신앙+불교행사
cf)묘청의 팔성당(서경)=불교+도교+민간신앙과 결합
도참사상: 한양천도에 영향, 정감록, 참요
풍수지리설: 삼국시대도입, 한양/개경/서경명당설, 북진정책에 영향, 훈요십조, 비기의 유행, 해동비록
신라 하대 지방 세력의 대두
-신라 하대 혼란: 왕위쟁탈전(진골 vs 진골 = 내물왕계 vs 무열왕계)왕권약화, 농민반란
-장보고: 신문왕(김우징)즉위에 도움줌, 교관선(무역선), 청해진(완도), 법화원(장보고가 세운 신라원)
-6두품은 신라 하대에는 반신라 세력으로 성장
900 901 904 907 910 911 918 920 926 927 930 935 936 960
후 후 마 당 금 태 고 대 발 경 고 신 후 송
백 고 진 멸 성 봉 려 야 해 주 창 라 백 나
제 구 망 함 성 멸 공 전 멸 제 라
려 락 함락 망 격 투 망 멸
(나주함락) (경애왕x) 망(선산전투후)
cf)935년에는 신라멸망후 견훤의 귀순도 있었음
후고구려-송악
마진-철원, 연호는 무태성책
태봉-철원, 연호는 수덕만세정개
정치제도-광평성이하 9관등제
상정고금예문(1234)-전하지 않는 세계최고의 금속활자본
직지심경(1377)-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본, 청주 흥덕사에서 인쇄, 현재 프랑스에 있음
고려
-지방분권적 성격(허약한 중앙집권)성종때에서야 비로소 12목에 최초로 지방관 파견
-지방관이 파견된 주현보다 속현이 더 많음지방의 실제 지배자는 향리
-고구려계승: 국호는 고려, 연호는 천수
고려전기-문벌귀족사회(가문)
무신정권-문무합작 독재정권(실력)
고려후기-권문세족(관직)
훈요
왕건 학 역 사 기 결 북 흑 숭 융 만 십 개 -정계1와 계백료서8전하지 않음)관리규범제시
보 분 심 인 혼 진 창 불 합 부 조 태 -훈요십조에서 서경언급풍수사상+북진정책
전 관 제 정 정 정 정 교 사 -연호 ‘천수’ 사용
도 책 책 책 책 사건 -진대법 계승해 흑창만
  • 가격5,000
  • 페이지수111페이지
  • 등록일2017.01.30
  • 저작시기201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73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