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 연세대학교. RN-BSN. 건강증진. 그룹과제 1.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 (성인후기, 대사증후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연대. 연세대학교. RN-BSN. 건강증진. 그룹과제 1.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 (성인후기, 대사증후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프로그램 추진배경------------------------------------------------------------------------1

2. 프로그램 추진개요------------------------------------------------------------------------2
1) 장소
2) 시행일정
3) 대상
4) 목적

3. 프로그램 내용----------------------------------------------------------------------------2
3-1 세부계획
3-2 프로그램 내용

4. 프로그램 운영(홍보 포함) 및 평가 계획------------------------------------------------5
4-1. 프로그램 운영
4-2. 프로그램 홍보
4-3. 평가 시기 및 방법
4-4. 프로그램 자원투입 및 시행 계획

5. 예산---------------------------------------------------------------------------------------6
5-1. 예산안
5-2.예산 산출 근거

6. 프로그램 공급자 및 대상자의 역할-----------------------------------------------------7

7. 프로그램 효과----------------------------------------------------------------------------8

8. 프로그램 활용방안-----------------------------------------------------------------------9

* 참고문헌----------------------------------------------------------------------------------10

* 첨부 1 기초설문조사--------------------------------------------------------------------11
 2. 식사․운동일지-------------------------------------------------------------------13
 3. 건강생활 실천표 ---------------------------------------------------------------14
 4. 평가표---------------------------------------------------------------------------15
 5. 대사증후군 만족도 설문지-----------------------------------------------------19

본문내용

이 건강사업과 연결되면서 건강과 의료에 대한 새로운 식견이 확보 될 것이다. 대사증후군 전문 관리 프로그램의 정보를 웨어러블 사업화의 바탕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이는 대상자들의 실시간 건강개선조언이 가능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보건소 내 대사증후군 전문 관리 프로그램의 활용은 지역주민의 바람직한 생활습관 변화와 대사증후군 관련 생리적 위험을 감소시키며 만성질환 유병률 감소에 효과를 도모할 것이다.
<참고문헌>
임효빈 (2014). 생애주기에 따른 대사증후군 영향요인 및 의료이용 성별 비교 분석. 경희대학 교 일반대학원 의료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서울.
박은옥, 최수정, 이효영 (2013).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로 추정한 한국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관련요인. 농촌의학 지역보건, 38(1), 1-13.
박형수, 박종 (2013). 한국 성인 여성의 대사증후군과 삶의 질. 한국전자통신학회지, 8(4), 639-648.
박형수, 정진규, 유진호 (2013). 한국 성인 남자의 대사증후군 인자와 부모의 당뇨병 가족력 관계. 한국전자통신학회지, 8(5), 779-784.
고유리 (2012). 보건소 대사증후군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의료 및 보건행정 석사학위 논문, 서울.
서울시 대사증후군관리사업지원 홈페이지 http:www.5.check.or.kr
통계청 홈페이지 http://kosis.kr/통계청. 시군구별 성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별 유병률 참고
서대문보건소(2016). 제 6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지역보건의료계획.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보건소
강서보건소(2016). 제 6기 서울특별시 강서구 지역보건의료계획. 서울특별시 강서보건소.
이은희 (2009). 노인 대사증후군 관리를 위한 TLC(therapeutic lifestyle change)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건강검진센터 방문 검진 노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보건교육학과 박사논문. 서울
보건복지부(2015).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송수진 (2014). 한국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관련 식사 요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이선옥(2010). 한국 성인에서 생활습관 요인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광주
성현호,박창은(2015). 신체활동량과 대사증후군 상관성. 한국엔터테인먼트 산업학회 논문지. Vol.7 No4. p235-242
박진경 외4명(2012).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과 식습관 및 식행동 요인. 대한지역 사회영양학회지. Vol.17 No5. P 664~675
강지순외 3명(2012).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해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Vol.17 No5. P191-199
김동옥(2016). 보건소 대사증후군관리사업의 자가 관리 지원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신동민(2016). 한국 성인의 스트레스와 대사증후군 관련성. 가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이인숙(2014). 성인의 신체활동, 비타민 D수준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첨부1.
< 기초설문조사 >
여러분, 안녕하세요?
여러분들의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oo보건소 대사증후군 관리센터에서는 ‘당줄이기’프로그램을 운영하려고 합니다.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내용들을 계획하기 위하여 다음 몇 가지를 질문하고자 합니다. 정확하게 답변을 기입해 주시고, 다음 정보는 개인 정보 관리법에 의해 철저하게 관리 될 예정입니다.
1. 성별: 남자( ) 여자( )
2. 가족사항을 적어주세요.
관계
성 명
나이
직업
비만 여부
5. 귀하의 소득수준은 년평균 어느 정도입니까? ( )
①1천원만 미만 ②1천원만 이상 ~ 3천원만 미만 ③3천만이상 ~ 5천만미만
④5천만 이상
4. 나의 체격은 어떻습니까? ( )
①말랐다 ②알맞다 ③조금 뚱뚱하다 ④많이 뚱뚱(비만)하다
7. 가족 중 비만한 사람이 있습니까? (모두 답하세요) ( )
①없다 ②아버지 ③어머니 ④형제나 자매 ⑤친할아버지나 친할머니
⑥외할아버지나 외할머니 ⑦기타(누구: )
8. 하루 평균 몇 시간씩 잠을 잡니까? ( 시간)
잠자는 시간 (밤 시) 일어나는 시간 (아침 시)
9. 하루 평균 텔레비전을 보는 시간은 얼마나 됩니까?
평일 ( 분 시간) 공휴일 ( 분 시간)
10. 컴퓨터를 하는 시간은 하루 평균 얼마나 됩니까?
평일 ( 분 시간) 공휴일 ( 분 시간)
11. 평소에 운동을 얼마나 자주 합니까? ( )
①거의 매일 ②일주일에 3-4번 ③일주일에 1-2번 ③거의 하지 않는다
12. 외식을 얼마나 자주 합니까? ( )
①거의 매일 ②1주일에 2-3회 ③1주일에 1번 정도 ④한달에 2-3회
⑤한 달에 1번 정도 ⑥거의 안한다.
13. 내가 살이 찐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모두 표시해주세요) ( )
①많이 먹어서 ②운동을 하지 않아서 ③ 약을 먹어서
④별 이유 없이 살이 찐다. ⑤살이 찌는 음식을 좋아해서
⑥질병 때문에 ⑦잘 모르겠다.
14. 하루에 세끼 식사를 규칙적으로 합니까? ( )
①세끼를 거르지 않고 규칙적으로 먹는다. ②불규칙하게 먹는다.
15. 매일 아침밥을 먹습니까? ( )
①매일 먹는다. ②가끔씩 먹는다. ③거의 먹지 않는다.
16. 하루에 간식을 얼마나 자주 먹습니까? ( )
①1-2회 ②3-4회 ③5-6회 ④수시로 ⑤먹지 않는다
17.살을 빼려고 노력한 적이 있습니까? ( )
①예 ②아니오
17-1. 살을 빼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나요?(모두 답하세요) ( )
①밥을 굶었다 ②운동을 하였다 ③약을 먹었다
④밥 대신 대용식(생식, 선식 등)을 먹었다 ⑤군것질을 하지 않았다
⑥기타(무엇: )
17-2. 살을 빼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나요?(모두 답하세요) ( )
①건강하기 위해서 ②운동을 잘하기 위해서 ③친구들이 놀리므로
④아름다운 외모를 갖기 위해서 ⑤기타(무엇: )
18. 좋아하는 음식을 차례대로 5가지만 골라 순서대로 번호를 쓰세요. ( )
①육류(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②생선류 ③콩, 두부류
④야채류 ⑤과일류 ⑥튀김류 ⑦라면류 ⑧햄버거 ⑨사탕류
⑩빵, 케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7.02.16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88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