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 사항 2
2. 질병에 대한 기술 2
3. 대상자의 간호 과정 5
4. 성인 대상자의 신체 사정 10
1)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15
2) 대상자의 약물 치료 17
3) 간호 과정 23
-참고문헌
2. 질병에 대한 기술 2
3. 대상자의 간호 과정 5
4. 성인 대상자의 신체 사정 10
1)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15
2) 대상자의 약물 치료 17
3) 간호 과정 23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싫어서 물도 조금 먹게 되요”
“소변은 적은 양을 봐요”
- 3~4회/일
배뇨 횟수
- 혈청 검사
6.1 : CRP(8.43) 6.2 : CRP(7.01)
(정상 : 0~0.5)
- 혈액 검사
6.1 : WBC(18.0)
6.2 : WBC(12.2)
(정상 : 3.0~9.2)
단기적 목표
- 환자는 권장 섭취량 하루에 수분
1,500~2,000ml를 섭취 하며 하루 정상 소변량 (1,200~1,500ml)를 배뇨 할 것이다.
장기적 목표
- 소변 정체로 인한 합병증의 양상을 보이지 않을 것이며, 정상 수분 섭취야 배뇨의 양상을 보일 것이다.
관찰자가 행한 행동
- 매 vital sign 측정 시 수분 섭취는 얼마나 하였는지 배뇨의 양상과 횟수는 어떠한지 사정(구두)
- 적은 수분 섭취는 인체의 대사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현재 갖고 있는 질병은 수분 섭취와 배뇨가 중요함을 인식 시켜 주고, 수분 섭취와 배뇨를 도모 하였다.
- 현재 진통제와 항염증제를 사용 하고 있으므로 신체는 회복 되고 있는 과정을 인식 시켜 주고 대상자가 경험 하는 통증은 질병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아닌 완화 되고 있는 것이라고 교육함으로서 대상자를 안정 시켰다.
간호사가 행한 행동
- 배뇨를 격려 하고 많은 수분 섭취를 권장함
- 수분 섭취와 배뇨의 사정은 환자의 신체가 정상적인 리듬을 유지 하고 있다는 지표가 된다.
- 대상자에게 현재 하고 있는 행위가 부적절한 건강 관리 행위임을 인식시켜주고 올바른 건강 관리 행위를 설명해줌으로서 현재 행하고 있는 행위를 바로 잡아 줄 수 있다.
- 대상자는 물통을 사서 가지고 있었고 자신이 좋아하는 이온 음료수를 조금씩이라도 먹고 있었다.
- 대상자는 자신이 평소에도 수분 섭취를 잘 하지 않는 다고 하였는데, 이제는 수분 섭취를 많이 하여 건강해질 것 이라고 말을 하였다.
비효율적 배뇨로 인한 소변정체의 합병증의 위험성
③ 대상자가 갖고 있는 질병에 대한 지식 부족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중재
합릭적 근거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6. 1
“무슨 병에 걸려있는지 모르겠어요”
“현재 무슨 치료를 하고 있고 얼마나 병이 치료되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어떻게 해야 빨리 나을수 있는지 모르겠어요”
“치료 기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모르겠어요”
- 17세
- 지지 체계 (어머니)의 전적인 치료 행위 참여
단기적 목표
- 대상자는 어떠한 질병이 발병 되었는지 이해하고 알며, 지금 어떠한 치료를 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한다.
장기적 목표
- 질병에 대해 정확히 알고 질병을 치료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건강 증진 행위를 해야하고 퇴원하고 나서도 질병을 예방, 완화 하기 위해 행해야하는 건강 관리 행위에 대해 안다.
관찰자가 행한 행동
- 현재 질병의 원인들에 대해 설명을 하였고, 추후 어떠한 치료를 받는지 설명 함
- 질병에 대해 설명 하면서 어려운 단어는 피하며 이해하기 쉬운 단어로 설명을 함
- 질병에 빠른 완치를 위해서는 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에 관심을 갖고 약을 먹더라도 주어진 시간을 지키며 먹고 의료인이 하는 말에 관심을 갖고 그에 따라 잘 준수해야 한다고 설명함
-지지 체계(어머니)에게 어머니뿐만이 아니라 환자도 질병에 대해 알아야 빠른 쾌유를 할 수 있고 설명 함.
간호사가 행한 행동
- 질병이 무엇인지 치료가 얼마나 걸리지 설명
- 환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정확히 이해를 하고 빠른 쾌유를 위해 해야 하는 건강 증진 행위를 이해함으로써 질병이 완화되고 완치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 2틀 뒤 대상자에게 어떠한 질병이 생겼는지 질문 하였음
“저는 신장에 염증이 생겼고 그로인해 열과, 허리 통증이 생겼어요” 라고 답변 함
- 어떻게 해야 질병이 빨리 나을 수 있는지 질문함
“물을 많이 먹고 현재 먹고 있는 약을 거르지 않고 챙겨 먹으며 수액을 맞고 있는 팔을 덜 움직여서 수액이 잘 들어가게 해야 해요” 라고 답변을 함
④ 신장에 발생한 염증의 증상으로 인한 고체온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중재
합릭적 근거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6. 1 11시~
6. 1 22시
“열이 나요”
“추워요”
“머리가 아파요”
“몸이 떨려요”
6.1 11:16
BT : 38.2도
오한 : +
6.1 15:10
BT : 37.0도
오한 : +
6.1 22:00
BT:36.4 도
오한 : -
단기적 목표
- 3시간 이내에 정상 체온을 유지하고, 오한의 증상을 없게한다.
장기적 목표
- 퇴원시 까지 발열의 증상을 없애고 정상체온을 유지하며, 대상자의 편안함을 유지 한다.
간호사가 행한 행동
- 발열 완화 목적으로 suspen ,nomal saline 투약
- 미온수 마사지 교육, 제공
- 시원한 환경 조성
- 환의로 갈아 입힘
# 당 대상자는 관찰자가 실습 하지 않는 일요일에 응급실에 내원 하여 간호를 받았음으로 관찰자는 중재의 행위를 하지 못함.
- 투약을 함으로써 대상자의 발열의 증상을 완화 할 수 있다
- 미온수 마사지는 대상자의 피부 표면의 온도를 낮춤으로 발열의 증상을 완화 할 수 있다
- 시원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대상자의 발열 증상을 낮출 수 있다
- 꽉 맞는 옷이나 청바지는 대상자의 체온을 높이므로 편안하고 시원한 환의로 갈아 입힘으로 대상자의 체온을 낮춘다
- 대상자는 입원 일시 (6.1 11:16) 에 있는 고체온(38.2도) 의 증상이 금일 (6.1 22:00)에 정상체온 (36.4도) 로 감소 되었고 오한의 증상도 완화 되었다.
4. 참고 문헌
Donna ignatavicius 외. 성인간호학 Ⅰ. 엘스비어코리아, 2013
Donna ignatavicius 외. 성인간호학 Ⅱ. 엘스비어코리아, 2013
BERMAN, Snyder 외 2명.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2010
BERMAN, Snyder 외 2명.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10
차영남, 장효순 외 3명.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센터 http://www.snuh.org/health/medical/ContentsView1.jsp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센터 http://healthinfo.amc.seoul.kr/healthinfo/main/main.do
“소변은 적은 양을 봐요”
- 3~4회/일
배뇨 횟수
- 혈청 검사
6.1 : CRP(8.43) 6.2 : CRP(7.01)
(정상 : 0~0.5)
- 혈액 검사
6.1 : WBC(18.0)
6.2 : WBC(12.2)
(정상 : 3.0~9.2)
단기적 목표
- 환자는 권장 섭취량 하루에 수분
1,500~2,000ml를 섭취 하며 하루 정상 소변량 (1,200~1,500ml)를 배뇨 할 것이다.
장기적 목표
- 소변 정체로 인한 합병증의 양상을 보이지 않을 것이며, 정상 수분 섭취야 배뇨의 양상을 보일 것이다.
관찰자가 행한 행동
- 매 vital sign 측정 시 수분 섭취는 얼마나 하였는지 배뇨의 양상과 횟수는 어떠한지 사정(구두)
- 적은 수분 섭취는 인체의 대사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현재 갖고 있는 질병은 수분 섭취와 배뇨가 중요함을 인식 시켜 주고, 수분 섭취와 배뇨를 도모 하였다.
- 현재 진통제와 항염증제를 사용 하고 있으므로 신체는 회복 되고 있는 과정을 인식 시켜 주고 대상자가 경험 하는 통증은 질병이 악화되고 있는 것이 아닌 완화 되고 있는 것이라고 교육함으로서 대상자를 안정 시켰다.
간호사가 행한 행동
- 배뇨를 격려 하고 많은 수분 섭취를 권장함
- 수분 섭취와 배뇨의 사정은 환자의 신체가 정상적인 리듬을 유지 하고 있다는 지표가 된다.
- 대상자에게 현재 하고 있는 행위가 부적절한 건강 관리 행위임을 인식시켜주고 올바른 건강 관리 행위를 설명해줌으로서 현재 행하고 있는 행위를 바로 잡아 줄 수 있다.
- 대상자는 물통을 사서 가지고 있었고 자신이 좋아하는 이온 음료수를 조금씩이라도 먹고 있었다.
- 대상자는 자신이 평소에도 수분 섭취를 잘 하지 않는 다고 하였는데, 이제는 수분 섭취를 많이 하여 건강해질 것 이라고 말을 하였다.
비효율적 배뇨로 인한 소변정체의 합병증의 위험성
③ 대상자가 갖고 있는 질병에 대한 지식 부족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중재
합릭적 근거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6. 1
“무슨 병에 걸려있는지 모르겠어요”
“현재 무슨 치료를 하고 있고 얼마나 병이 치료되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어떻게 해야 빨리 나을수 있는지 모르겠어요”
“치료 기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모르겠어요”
- 17세
- 지지 체계 (어머니)의 전적인 치료 행위 참여
단기적 목표
- 대상자는 어떠한 질병이 발병 되었는지 이해하고 알며, 지금 어떠한 치료를 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한다.
장기적 목표
- 질병에 대해 정확히 알고 질병을 치료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건강 증진 행위를 해야하고 퇴원하고 나서도 질병을 예방, 완화 하기 위해 행해야하는 건강 관리 행위에 대해 안다.
관찰자가 행한 행동
- 현재 질병의 원인들에 대해 설명을 하였고, 추후 어떠한 치료를 받는지 설명 함
- 질병에 대해 설명 하면서 어려운 단어는 피하며 이해하기 쉬운 단어로 설명을 함
- 질병에 빠른 완치를 위해서는 대상자는 자신의 질병에 관심을 갖고 약을 먹더라도 주어진 시간을 지키며 먹고 의료인이 하는 말에 관심을 갖고 그에 따라 잘 준수해야 한다고 설명함
-지지 체계(어머니)에게 어머니뿐만이 아니라 환자도 질병에 대해 알아야 빠른 쾌유를 할 수 있고 설명 함.
간호사가 행한 행동
- 질병이 무엇인지 치료가 얼마나 걸리지 설명
- 환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 정확히 이해를 하고 빠른 쾌유를 위해 해야 하는 건강 증진 행위를 이해함으로써 질병이 완화되고 완치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 2틀 뒤 대상자에게 어떠한 질병이 생겼는지 질문 하였음
“저는 신장에 염증이 생겼고 그로인해 열과, 허리 통증이 생겼어요” 라고 답변 함
- 어떻게 해야 질병이 빨리 나을 수 있는지 질문함
“물을 많이 먹고 현재 먹고 있는 약을 거르지 않고 챙겨 먹으며 수액을 맞고 있는 팔을 덜 움직여서 수액이 잘 들어가게 해야 해요” 라고 답변을 함
④ 신장에 발생한 염증의 증상으로 인한 고체온날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중재
합릭적 근거
평가
주관적자료
객관적자료
6. 1 11시~
6. 1 22시
“열이 나요”
“추워요”
“머리가 아파요”
“몸이 떨려요”
6.1 11:16
BT : 38.2도
오한 : +
6.1 15:10
BT : 37.0도
오한 : +
6.1 22:00
BT:36.4 도
오한 : -
단기적 목표
- 3시간 이내에 정상 체온을 유지하고, 오한의 증상을 없게한다.
장기적 목표
- 퇴원시 까지 발열의 증상을 없애고 정상체온을 유지하며, 대상자의 편안함을 유지 한다.
간호사가 행한 행동
- 발열 완화 목적으로 suspen ,nomal saline 투약
- 미온수 마사지 교육, 제공
- 시원한 환경 조성
- 환의로 갈아 입힘
# 당 대상자는 관찰자가 실습 하지 않는 일요일에 응급실에 내원 하여 간호를 받았음으로 관찰자는 중재의 행위를 하지 못함.
- 투약을 함으로써 대상자의 발열의 증상을 완화 할 수 있다
- 미온수 마사지는 대상자의 피부 표면의 온도를 낮춤으로 발열의 증상을 완화 할 수 있다
- 시원한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대상자의 발열 증상을 낮출 수 있다
- 꽉 맞는 옷이나 청바지는 대상자의 체온을 높이므로 편안하고 시원한 환의로 갈아 입힘으로 대상자의 체온을 낮춘다
- 대상자는 입원 일시 (6.1 11:16) 에 있는 고체온(38.2도) 의 증상이 금일 (6.1 22:00)에 정상체온 (36.4도) 로 감소 되었고 오한의 증상도 완화 되었다.
4. 참고 문헌
Donna ignatavicius 외. 성인간호학 Ⅰ. 엘스비어코리아, 2013
Donna ignatavicius 외. 성인간호학 Ⅱ. 엘스비어코리아, 2013
BERMAN, Snyder 외 2명. 기본간호학 Ⅰ. 현문사, 2010
BERMAN, Snyder 외 2명. 기본간호학 Ⅱ. 현문사, 2010
차영남, 장효순 외 3명.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센터 http://www.snuh.org/health/medical/ContentsView1.jsp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센터 http://healthinfo.amc.seoul.kr/healthinfo/main/main.do
추천자료
골관절염 case study
<정형외과>추간판탈출증 case study
정신분열증 CASE STUDY
성인간호 CASE STUDY - 당뇨(DM)
소아과 case study - 황달, 과빌리루빈혈증
위암 case study
간호과정중심 Case study -장염(gastroenteritis)
천식 case study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연분만 후 산욕기 간호
폐렴 case study [호흡기 내과 실습 - 폐렴 컨퍼런스 ( 문헌고찰 약물 진단 간호과정 ) 완벽 ...
폐결핵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폐결핵 컨퍼런스 자료 - 문헌고찰, 약물, 진단검사, 과...
결장암 case study
정신간호학 case study-schizophrenia
Acute hepatitis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