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 정의
- 진단
- 합병증 : 당뇨망막증
- 식이요법
- 운동요법
- 당뇨병의 분류
CASE STUDY
- 간호력
- 활력징후
- 병력기록
- 진단검사기록지
- 약물설명
간호과정
느낀점
- 정의
- 진단
- 합병증 : 당뇨망막증
- 식이요법
- 운동요법
- 당뇨병의 분류
CASE STUDY
- 간호력
- 활력징후
- 병력기록
- 진단검사기록지
- 약물설명
간호과정
느낀점
본문내용
.0-52.0>(6월 18일 보다 ↑)
MCHC ...............(L) 32.5 <정상수치 33- 37>(6월 18일 보다 ↓)
WBC Differential Count
Lymphocyte % ..................(L) 17 <정상수치 20- 44>(6월 18일 보다 ↑)
Eosinophil % ................(H) 16.1 <정상수치 1- 5>(6월 18일 보다 ↑)
Basophil % ......................(L) 0.3 <정상수치 1.4- 7.5>(6월 18일 보다 ↓)
Eosinophil ....................(H) 1.79 <정상수치 0-0.50>(6월 18일 보다 ↑)
Electrolyte Panel II (4 Test)
Urea Nitrogen .........(H) 44.1 <정상수치 8.0- 20.0>(6월 18일 보다 ↑)
Creatinine ...........(H) 6.3 <정상수치 0.6-1.2>(6월 18일 보다 ↑)
6/21
Urine Chemistry Panel II (8 Test)
Osmolality .............(L) 224 <정상수치 300- 900>(6월 13일 보다 ↓)
6/22
Urine Chemistry Panel II (8 Test)
Protein(Total) ..............(H) 5930.6 <정상수치 25-150>(6월 11일 보다 ↑)
Osmolality .............(L) 224 <정상수치 300- 900>(6월 11일 보다 ↓)
6/23
Chemistry Panel (9 Test)
protein .........(L) 5.1 <정상수치 5.8- 8.1>(6월 16일 보다 ↑)
Albumin .........(L) 2.7 <정상수치 3.1- 5.2>(6월 16일 보다 ↑)
A/G Ratio .........(L) 1.1 <정상수치 1.5- 2.5>(6월 16일과 동일)
Electrolyte Panel II (4 Test)
Urea Nitrogen .........(H) 48.1 <정상수치 8.0- 20.0>(6월 20일 보다 ↑)
Creatinine ...........(H) 6.5 <정상수치 0.6-1.2>(6월 20일 보다 ↑)
CBC and WBC Differential Count
WBC Count ...............<정상수치 4.0- 10.8>(6월 20일 보다 ↓)
RBC Count ..........(L) 3.26 <정상수치 4.5-6.1>(6월 20일 보다 ↑)
Hemoglobin ...........(L) 9.8 <정상수치 13.0-18.0>(6월 20일 보다 ↑)
Hematocrit ...............(L) 30.5 <정상수치 38.0-52.0>(6월 20일 보다 ↑)
MCHC ...............(L) 32.1 <정상수치 33- 37>(6월 20일 보다 ↓)
WBC Differential Count
Lymphocyte % ..................(L) 18 <정상수치 20- 44>(6월 20일 보다 ↑)
Eosinophil % ................(H) 14.4 <정상수치 1- 5>(6월 20일 보다 ↓)
Basophil % ......................(L) 0.5<정상수치 1.4- 7.5>(6월 20일 보다 ↑)
Eosinophil ....................(H) 1.54 <정상수치 0-0.50>(6월 20일 보다 ↓)
약품명
효능 및 작용
표준용량
이상반응 및 금기사항
Aprovel
신장 보호효과있는 고혈압약, 사구체 신염이상의 고혈압을 낮추어준다.
1일1회 150mg을 식사와 상관없이 투여(1일 300mg 까지 증량가능)
혈류량 손실이 있는 환자, 신혈관성 고혈압, 신기능이상및 신장이식환자, 과칼륨혈증, 대동맥 및 승모판협착/폐색, 비후성 심근증 환자, 원발성알도스테론증 환자, 혈관의 탄력과 신기능이 특별히 레닌안지오텐신계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 환자의 경우(중증의 울혈성 심부전 또는 신동맥협착과 같은 신질환), 허혈성 심질환이나 허혈성 심혈관질환 환자
Adalat oros
관상 동맥성 심질환의 초기 및 장기치료, 본태성 및 이차성 고혈압, 레이노증후군
1회 30mg 또는 60mg 씩 1일 1회 7-14일간 투여 (최대량: 120mg/day)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협착증환자, 혈액투석요법 중인 순환혈액량감소를 동반한 고혈압환자(혈관확장으로 인해 과도한 혈압강하가 나타날 수 있다.)폐고혈압 환자, 중증의 간, 신장애환자(간기능자애 호나자에게 이약을 투여할때는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중증 간기능 장애 환자에게는 투여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특히 고도의 좌심실 수축기능 장애환자), 고령자, 당뇨병환자 주의 요함.
Dilatrend
[Carvedilol]
본태성 고혈압
만성 안정형협심증
의사의 지시없이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복용을 중단하여서는 안되며, 용량에 따라 본제의 타 용량제제(카르베딜롤정 6.25mg, 카르베딜롭정 25mg)를 사용 할 것이 권장된다.
1.당뇨병환자: 이약은 당뇨병환자에게 투여시 급격한 혈당강하가 은폐되거나 적게 나타날 수 있고, 혈당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복용을 시작할 때, 혈당강하요법을 적절할 때 규칙적으로 혈당을 모니터링 해야 한다.
Tasna tab 500mg
산성혈증,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에서의 제산작용, 요산배설의 촉진과 통풍 발작의 예방
탄산수소나트륨으로서 1회 0.5-1g 1일 3-5g을 경구투여
심한 소화관궤양환자, 신장애환자, 심기능장애, 폐기능장애환자, 저클로르성알칼리증 등의 전해질실조 환자 주의
kalimate granule
고칼륨혈증
*경구: 1일 15-30g을 2-3회 분복, 30-50ml 물에 현탁하여 복용
*직장투여(enema): 1회 30g을 물또는 2% methylcellulose 100ml 또는 D5W등에 현탁시켜 관장, 30-1시간 장관내 방치
digitalis 병용환자, 고령자는 주의 요함
Lipitor tab
HDL-콜레스테롤치를 증가
MCHC ...............(L) 32.5 <정상수치 33- 37>(6월 18일 보다 ↓)
WBC Differential Count
Lymphocyte % ..................(L) 17 <정상수치 20- 44>(6월 18일 보다 ↑)
Eosinophil % ................(H) 16.1 <정상수치 1- 5>(6월 18일 보다 ↑)
Basophil % ......................(L) 0.3 <정상수치 1.4- 7.5>(6월 18일 보다 ↓)
Eosinophil ....................(H) 1.79 <정상수치 0-0.50>(6월 18일 보다 ↑)
Electrolyte Panel II (4 Test)
Urea Nitrogen .........(H) 44.1 <정상수치 8.0- 20.0>(6월 18일 보다 ↑)
Creatinine ...........(H) 6.3 <정상수치 0.6-1.2>(6월 18일 보다 ↑)
6/21
Urine Chemistry Panel II (8 Test)
Osmolality .............(L) 224 <정상수치 300- 900>(6월 13일 보다 ↓)
6/22
Urine Chemistry Panel II (8 Test)
Protein(Total) ..............(H) 5930.6 <정상수치 25-150>(6월 11일 보다 ↑)
Osmolality .............(L) 224 <정상수치 300- 900>(6월 11일 보다 ↓)
6/23
Chemistry Panel (9 Test)
protein .........(L) 5.1 <정상수치 5.8- 8.1>(6월 16일 보다 ↑)
Albumin .........(L) 2.7 <정상수치 3.1- 5.2>(6월 16일 보다 ↑)
A/G Ratio .........(L) 1.1 <정상수치 1.5- 2.5>(6월 16일과 동일)
Electrolyte Panel II (4 Test)
Urea Nitrogen .........(H) 48.1 <정상수치 8.0- 20.0>(6월 20일 보다 ↑)
Creatinine ...........(H) 6.5 <정상수치 0.6-1.2>(6월 20일 보다 ↑)
CBC and WBC Differential Count
WBC Count ...............<정상수치 4.0- 10.8>(6월 20일 보다 ↓)
RBC Count ..........(L) 3.26 <정상수치 4.5-6.1>(6월 20일 보다 ↑)
Hemoglobin ...........(L) 9.8 <정상수치 13.0-18.0>(6월 20일 보다 ↑)
Hematocrit ...............(L) 30.5 <정상수치 38.0-52.0>(6월 20일 보다 ↑)
MCHC ...............(L) 32.1 <정상수치 33- 37>(6월 20일 보다 ↓)
WBC Differential Count
Lymphocyte % ..................(L) 18 <정상수치 20- 44>(6월 20일 보다 ↑)
Eosinophil % ................(H) 14.4 <정상수치 1- 5>(6월 20일 보다 ↓)
Basophil % ......................(L) 0.5<정상수치 1.4- 7.5>(6월 20일 보다 ↑)
Eosinophil ....................(H) 1.54 <정상수치 0-0.50>(6월 20일 보다 ↓)
약품명
효능 및 작용
표준용량
이상반응 및 금기사항
Aprovel
신장 보호효과있는 고혈압약, 사구체 신염이상의 고혈압을 낮추어준다.
1일1회 150mg을 식사와 상관없이 투여(1일 300mg 까지 증량가능)
혈류량 손실이 있는 환자, 신혈관성 고혈압, 신기능이상및 신장이식환자, 과칼륨혈증, 대동맥 및 승모판협착/폐색, 비후성 심근증 환자, 원발성알도스테론증 환자, 혈관의 탄력과 신기능이 특별히 레닌안지오텐신계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 환자의 경우(중증의 울혈성 심부전 또는 신동맥협착과 같은 신질환), 허혈성 심질환이나 허혈성 심혈관질환 환자
Adalat oros
관상 동맥성 심질환의 초기 및 장기치료, 본태성 및 이차성 고혈압, 레이노증후군
1회 30mg 또는 60mg 씩 1일 1회 7-14일간 투여 (최대량: 120mg/day)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협착증환자, 혈액투석요법 중인 순환혈액량감소를 동반한 고혈압환자(혈관확장으로 인해 과도한 혈압강하가 나타날 수 있다.)폐고혈압 환자, 중증의 간, 신장애환자(간기능자애 호나자에게 이약을 투여할때는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중증 간기능 장애 환자에게는 투여량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특히 고도의 좌심실 수축기능 장애환자), 고령자, 당뇨병환자 주의 요함.
Dilatrend
[Carvedilol]
본태성 고혈압
만성 안정형협심증
의사의 지시없이 용량을 증가시키거나 복용을 중단하여서는 안되며, 용량에 따라 본제의 타 용량제제(카르베딜롤정 6.25mg, 카르베딜롭정 25mg)를 사용 할 것이 권장된다.
1.당뇨병환자: 이약은 당뇨병환자에게 투여시 급격한 혈당강하가 은폐되거나 적게 나타날 수 있고, 혈당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복용을 시작할 때, 혈당강하요법을 적절할 때 규칙적으로 혈당을 모니터링 해야 한다.
Tasna tab 500mg
산성혈증,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산과다에서의 제산작용, 요산배설의 촉진과 통풍 발작의 예방
탄산수소나트륨으로서 1회 0.5-1g 1일 3-5g을 경구투여
심한 소화관궤양환자, 신장애환자, 심기능장애, 폐기능장애환자, 저클로르성알칼리증 등의 전해질실조 환자 주의
kalimate granule
고칼륨혈증
*경구: 1일 15-30g을 2-3회 분복, 30-50ml 물에 현탁하여 복용
*직장투여(enema): 1회 30g을 물또는 2% methylcellulose 100ml 또는 D5W등에 현탁시켜 관장, 30-1시간 장관내 방치
digitalis 병용환자, 고령자는 주의 요함
Lipitor tab
HDL-콜레스테롤치를 증가
키워드
추천자료
신장내과 간호학 케이스
두개내 출혈, 지주막하 출혈 에 대한 case study (중환자실)
[논문] 만성 신부전(Chronic Renal failure) 케이스
임신과 관련된 질환
임상포트폴리오
Clinical Portfolio Scenario(Nursing Narratives)
대사증후군
[간호학] 뇌경색 투약, 임상결과
인슐린 종류
오랄테스트와 혈액투석케이스
양성전립선비대증(BPH : Benign prostate hypertrophy)과 하부요로증상(LUTS)
케이스 스터디 - CRF 만성신부전환자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및 간호진단
정신간호학 case study-Schizophrenia(SPR) 정신분열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