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연분만 후 산욕기 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연분만 후 산욕기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Contents)
Ⅰ. 서론
1. 자연분만에 대한 문헌고찰. ------------------------------- Page 1
1) 정의. ---------------------------------------------------------- Page 1
2) 분만과정. ------------------------------------------------------- Page 1
3) 산욕기. --------------------------------------------------------- Page 2
4) 산후간호. ------------------------------------------------------- Page 2
2. Case 선정이유. --------------------------------------------- Page 3

Ⅱ. 본론
1. 간호사정. ---------------------------------------------------- Page 3
1) 일반적 사항. ----------------------------------------------------- Page 3
2) 건강사정. -------------------------------------------------------- Page 3
3) 신생아 상태. ----------------------------------------------------- Page 3
4) 약물조사. -------------------------------------------------------- Page 3
2. 간호과정. ---------------------------------------------------- Page 4
1) 간호진단. -------------------------------------------------------- Page 4

Ⅲ. 결론
1. 실습 후 소감. ----------------------------------------------- Page 9
2. 참고내용 출처. ---------------------------------------------- Page 9

본문내용

------------------------------------ Page 3
2. 간호과정. ---------------------------------------------------- Page 4
1) 간호진단. -------------------------------------------------------- Page 4
Ⅲ. 결론
1. 실습 후 소감. ----------------------------------------------- Page 9
2. 참고내용 출처. ---------------------------------------------- Page 9
Ⅰ. 서론
1. 자연분만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 태아 및 부속물이 자궁수축으로 인하여 자궁경관이 개대되고 거상됨으로써 산도를 따라 질강 밖으로 만 출되는 전 과정을 뜻 한다. 그러나 현대의 자연분만이란 어떤 종류의 약물에도 의존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것을 의미한다. 여자의 신체는 아무 도움 없이도 스스로 분만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있고, 태아 스스로도 산도를 통하여 새로운 세상에 접하기 위해 노력을 하기 때문에 자연분만은 아주 자연스러운 행위이다.
분만 1기
- 자궁 수축 ~ 자궁 경관의 완전 개대.
- 자궁 경관이 반쯤 열릴 때까지는 비교적 느긋하게 진행. 진통도 심하지 않고 간격도 상당 히 오래 지속.
- 이 시기에는 임산부와 아기에게 위험이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음.
- 진통의 시작과 지금의 상태를 문진하며, 내진을 통해 경관 개대 정도, 파수, 조기출혈 등 이 있는지 검진.
- 분만 감시 장치를 부착.
- 태아 심음과 자궁 수축 정도를 사정.
- 자궁 경관이 반쯤 개대 될 때부터 진통이 심해짐.
- 진통 지속 시간도 길어지고 몇 분간의 간격을 두고 일어남. 분만의 전 과정에서의 하나의 고 비이며 임부에게는 몹시 괴로운 때. (진통이 심할 경우에는 복식 호흡, 마사지, 압박법 등의 동작을 취함)
분만 2기
- 완전 개대 ~ 태아 만출
- 자궁 경관이 완전 개대되면 난막이 터져 양수가 흘러나옴. (파수)
- 태아의 심음을 들어 이상 여부를 확인.
- 수의적인 힘을 줌. 숨이 계속 되지 않으면 중도에 한번 숨을 내쉬고 다시 숨을 들이쉬는 것을 반복. 머리의 형태를 산도의 형태에 맞추어 되도록 저항을 적게 하고 돌면서 나옴.
- 아기의 머리가 산도로 내려와 직장을 압박하므로 배변 때와 같이 배에 힘을 주게 됨.
- 세균의 감염을 막기 위해 회음부와 허벅지를 소독.
- 회음절개 실시.
- 아기의 머리가 나온 후 몸이 나옴. 목에 탯줄이 감기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잡아 당김. 머 리가 빠져나오면 자연적으로 힘을 주지 않아도 몸이 나옴.
- 아기는 태아난 후 자가 호흡을 하고 입 속의 이물질을 흡인 후 울음을 터트림.
분만 3기
- 태아 만출 ~ 태반 만출.
- 탯줄을 자름.
- 태반은 아기가 태어날 때까지는 단단히 자궁에 부착되어 있으나, 아기가 태어난 후 5~6 분 후에 태반이 저절로 떨어짐. 이 때 다시 통증이 미약하게 있음. (후진통)
- 태반이 나온 후 태반이나 양막의 일부가 남아있지 않은지 확인.
- 회음 절개 부분을 봉합.
분만 4기
- 분만 후 1 ~ 2시간.
- 모성과 신생아에게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신체적인 회복뿐 아니라 여러 가족 구성원과도 친숙 하게 되는 시기.
- 모성과 신생아의 회복을 모니터링 하고, 정상 과정에서 벗어나게 될 경우 즉시 확인/관리 하며 부모/영아의 애착관계를 촉진.
- 모유수유를 시작하기 좋은 시점. (영아의 수유 준비가 되어있기 때문)
2) 분만과정.
3) 산욕기.
- 분만 후부터 모든 생식 기관이 임신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기까지의 기간.
- 보통 산후 6주간을 말하며, 출산 후 6개월이 지나도 임신전의 상태로 완벽하게 돌아가기 어려움.
- 산욕초기에는 극적인 생리적 변화가 초래되고, 분만 후 첫 1주일이 지나면서 점진적인 속도로 변화가 나타남.
- 산욕기는 산모뿐 아니라 아기와 가족들 모두가 신체적, 심리적으로 다양한 측면의 적응을 필요로 하는 시기이기도 함.
- 자가간호와 관련된 교육이나 부모와 신생아간의 관계 발달, 역할변화 등에 대한 요구를 사정하여 충족 시켜 주어야 함.
4) 산후간호.감염예방
- 깨끗한 환경 유지. (침상교환, 일회용패드 교환)
- 회음부의 불편감을 완화하고 감염 예방.
- 하루에 2회 좌욕실시 Or 전등 15~20분 건열요법 시행.
- 소변이나 대변을 본 후 앞에서 뒤로 닦도록 교육.
과도한 출혈 예방
- 자궁 긴장도의 유지. (자궁이 단단해 질 때까지 저부를 마사지 함)
- 방광팽만을 예방. (가능한 빨리 스스로 방광을 비울 수 있도록 격려)
안위, 조기이상 증진
- 통증이 심할 때는 약물요법(진통제)사용하고, 통증이 비교적 적다면 심호흡, 상상요법, 이완요법을 격려하여 안위를 도움.
- 적절한 보행을 권장 및 격려. (혈전 색전증의 발생을 감소)
영양증진
- 분만 후 산후가 필요한 열량, 단백질, 광물질, 비타민 등은 산후 산모의 회 복과 유즙분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하루 2,600~2,800(보통 보다 500Kcal 증가)Kcal 섭취 권장.
- 최소 2L이상의 수분 섭취 권장.
- 지속적인 철분 섭취. (수유로 인한 부족함과 철분결핍성 빈혈 예방)
배뇨와 배변 양상 증진
- 출산 후 8시간 이내에 자가 배뇨 격려.
- 변비 예방법 교육. (수분섭취 및 운동 시행)
모유 수유 증진
- 모유수유 방법 교육 및 유방 상태 사정. (분만 후 처음 2시간은 모유수유를 시행하기 가장 좋은 시기)
2. Case 선정이유.
- 순회지도 때 교수님께서 부인과 보다는 산과 위주의 Case Stuyd를 하라고 하셔서 20개 가까이 정도 되 는 간호차트를 뒤져봤다. 거의 제왕절개 환자가 대부분 이였고, 부인과는 자궁근종과 관련된 질환이 많았 다. 처음에는 둔위로 인해 제왕절개를 한 대상자를 하려고 했으나, 자연분만이 제왕절개 보다 더 알게 많 다고 느껴서 자연분만 대상자로 바꿨다. 솔직히 말하면 제왕절개만 몸에 칼을 대는지 알았는데, 자연분만 도 회음에 절개를 한다는 것도 모르고 있다가 Case Study 사정을 하면서 알게
  • 가격3,9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8.23
  • 저작시기202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9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