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뇌경색 간호과정, 뇌경색 간호진단, 뇌졸중 케이스, 뇌졸중 간호과정)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뇌경색 간호과정, 뇌경색 간호진단, 뇌졸중 케이스, 뇌졸중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②발병은 돌발적으로 일어나고, 특히 의식장애가 수십분에서 수시간에 걸쳐 진행하는 급속 진행형을 취한다. 뇌졸중이 경련으로 발전하는 경우는 적으나 뇌색전 때에는 볼 수 있다.
③뇌혈전의 경우에는 증상이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단계적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그 러나 실제는 뇌내 출혈과 뇌경색을 임상 증상으로만 감별하는 경우는 곤란할 때가 많아 CT 등에 의한 진단을 필요로 한다.
④지주막하 출혈도 발병하면 급속한 두통, 구토 혹은 의식장애 등의 특이한 증상이 나타난 다. 지주막하 출혈의 대부분과 뇌내 출혈의 일부는 외과적 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지주막하 출혈시 뇌동맥류 크립핑(cripping)과 만발성 뇌혈관 연축에 의한 뇌경색의 합병 증 때문에 뇌내 출혈의 혈종 제거술(removal of hematoma) 후에도 신체 및 정신 장애가 남는 경우가 많고 재활을 필요로 한다.
⑤만성 경막하 혈종이나 뇌종양 등은 노인의 경우 뇌졸중처럼 편마비가 나타나는 경우가 종 종 있다.
5)검사
검사의 선택과 순위는 환자의 실제 상태나 증상에 따라 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증상의 발현 초기의 검사는 환자의 병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치료를 병행하여 순서 있게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①일반 검사
뇌졸중 이외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시한다.
②방사선 검사
-CT 촬영
-MRI 촬영
-뇌혈관 조영술(CT가 없었던 때에는 뇌혈관 조영이 널리 시행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뇌 출혈, 지주막하 출혈등의 경우에 제한된 환자에게 시행되고 있다)
-핵의학적 검사
③보조적 검사
-요추 천자
-뇌파 검사
-혈관 조영술
6) 진단
①뇌혈전과 뇌색전의 감별 진단은 명백한 심질환(심장판막증 등)을 가진 젊은 환자일 경우 어렵기 때문에 양자를 모두 \'뇌경색\'이라고 진단하는 경우가 보통이다.
②일반적으로 뇌내 출혈은 비교적 젊은 사람에게 많고 급격한 의식장애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뇌혈전은 비교적 나이든 사람에게 많고 의식장애보다는 편마비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CT에 의해 의식장애가 거의 없는 뇌내 출혈이나 역으로 급격한 의식장애가 발병하 는 뇌경색이 드문 것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져 있다. 또한 MRI에 의해 뇌간부의 미세 병 변이나 동맥류의 진단이 용이하게 되었다.
③임상 진단
의식장애, 편마비, 병적 반사 등에 의한 평가를 한다.
④CT에 의한 병형 진단
CT에 의해 뇌경색의 병소는 저흡수역(low density area; LDA)으로 검게 나타난다. 반면 뇌내 출혈의 병소는 하얀 고흡수역(high density area; HDA)으로 나타난다. 다만 발병 직후(수시간~수일 이내)의 CT로는 뇌경색의 병소는 추출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 가 필요하다. 또한 뇌내 출혈의 병소는 발병 1개월 이후에는 혈종의 흡수로 인해 저흡수 역으로 검게 나타나게 된다. 그시점에서는 출혈과 경색의 감별은 때로는 곤란하다. 또한 발병 직후의 지주막하 출혈은 CT상 지주막하공을 널리 덮는 고흡수역으로 나타나지만 뇌 동맥 자체로 나타내는 경우는 드물다.
⑤MRI
CT 등과 함께 뇌병변 부위의 진단에 유효하며, 특히 뇌동맥류의 진단에 효과적이다.
⑥뇌혈관 촬영
뇌동맥 폐쇄, 뇌동맥류, 뇌동정맥 기형, 뇌저 이상 혈관망증 등 뇌혈관 병변의 유무나 경 부동맥의 경화성 변화를 알 수 있으며, 뇌종양이나 만성 경막하혈종 등의 감별에 중요하 다.
7) 치료와 간호
-호흡 관리
의식장애 환자의 호흡 관리의 기본은 기도의 확보, 환기, 폐합병증 예방의 3가지이다.
의식장애 환자는 뇌의 장애 부위에 따라 여러 가지 호흡의 형태가 나타난다.
*필요성
a. 심한 의식장애는 혀가 말려들어가므로 기도가 폐쇄되어 질식이 일어날 수도 있다.
b. 구토시 토물로 인해 기도가 폐쇄되는 경우도 있다.
c. 기도 확보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뇌의 산소 결핍을 초래하고, 뇌부종이 현저하게 유발된다.
*방법
a. 체위 : 베개를 빼고 얼굴을 옆으로 향하거나 건측을 밑으로 한 반측위를 취한다.
b. 이상 호흡 : 설근침하(tongue swallowing)에 의한 코골이성 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어깨 밑에 베개나 방석을 넣어 경부를 신전(extension)한 체위를 한다.
c. 혀가 말려 들어갈 경우 인공 기도(airway)를 삽입한다(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연하반사를 유발 하므로 부적당하다).
d. 천명(stridor)에 주의하여 충분히 흡인한다(천명이 없는 경우에도 가래가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구강 내를 잘 관찰하여 대처한다).
e. 혈액가스 분석의 결과와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적절한 양의 산소를 공급한다.
f. 필요시 기관삽관이나 기관절개술을 시행한다.
-의식 상태의 사정
*뇌졸중 발생 초기에는 의식이 명료한 환자가 2%도 안 되므로 GCS(glasgow coma scale)등의 기준으로 의식상태를 사정한다. 의식수준은 예후나 예측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 근무시에 자주 관찰한다.
*깨어 있어 말을 할 수 있다면 의식이 명료하다고 판단하기 쉬우나 경증 의식장애의 유무를 관찰한다.
*중등도 이상의 의식장애 환자 또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체위 변경은 2~3시간 간격으로 시행한다.
*경증 및 중등도 이상의 의식장애의 환자도 침대 위에서 움직이는 경우에는 낙상과 같은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혈압 관리
수축기 혈압이 높을수록(200 mmHg 이상) 사망률은 높고 발작 후 조기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 뇌졸중 급성기에는 정상인에서 볼 수 있는 자동조절이 상실되어 혈압 강하제에 의한 혈압 하강은 뇌혈류량의 감소를 초래하여 뇌부종을 증가시키고 병상 악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 급성기에는 1시간마다 혈압을 측정하며, 뇌출혈에는 170/110mmHg, 지주막하 출혈에는 수축기 혈압이 150mmHg전후, 뇌경색에는 220/120mmHg 이상의 경우 처방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혈압은 좌우 차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처음에는 좌우 모두 측정한다.
-증상에 따른 치료
*발열 : 요로 감염, 기도 감염, 폐렴 등으로 나타나며 원인을 찾고 항생제를 정맥 투여한 다.
*두통, 구토 : 뇌내압 상승 증상으로서 출현하는 경우가 있기
  • 가격1,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7.03.03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