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키고 심장 수축기 동안에 좌심실의 혈액 출구를 막아 대동맥으로의 혈액유출을 방해
수축기 초기에는 좌심실로부터 대동맥내로 혈액유출이 빠르게 일어나지만 수축기말에는 대동맥판구의 폐쇄로 혈액유출이 어렵게 됨
확장기 동안에는 심장이완 기능장애로 심실 이완기압이 상승되어 좌심방에서 좌심실로의 혈액유입에 방해를 받게되어 이완기가 연장됨
→ 좌심부전으로 좌심방압, 폐정맥압, 폐모세관압이 상승
※ 비후성 심근증의 4가지 주요 특성
① 광범위한 심실 비대
② 좌심실의 빠르고 강력한 수축
③ 이완 불능
④ 대동맥 분출의 폐색
증상과 징후
대동맥판 협착증에서 올 수 있는 증상을 보임
특별한 증상이 없으며 주된 증상은 호흡곤란
점차 비후된 심근의 수축력 약화로 심근허혈이 유발, 이로 인해 허약감, 피로, 우울, 운동 시 호흡곤란, 심계항진, 협심통, 현기증, 실신 등
심하면 폐 울혈로 호흡곤란, 기좌호흡, 심근 섬유화에 의한 부정맥, 심실세동이 올 수 있으며 맥박은 빠르고 급하며 강함
합병증 : 유두근 기능부전에 의한 승모판 폐쇄부전
치료와 간호
주로 propranolol같은 β 교감신경 차단제 사용
(심박동수 감소로 심근의 과부담을 줄이고 부정맥을 예방 효과)
증상경감을 위해 Verapamil과 같은 칼슘이온 차단제 투약
digitalis나 이뇨제 등은 좌심실의 전후 부하를 감소시키므로 사용안함
외과적 치료 : 심근절제술, 부분적 심실 중격근 절개술
(3) 제한성(억제성) 심근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RCM)
드물게 오는 질환으로 심실벽의 과잉경직이 특징임
병태생리
경직된 심실벽은 확장기에 심실로의 혈액 충만을 억제, 수축기 때의 심근수축력은 정상
심내막과 심내막하 및 심근층의 근섬유가 침범되며 섬유화
→확장기 때 심장의 신장성이 약화되므로 심박출량이 감소
(∵심실에 혈액을 받아들이지 못함)
증상과 징후
피로감, 운동 시 호흡곤란, 실신, 운동장애
우심부전 증상(말초부종, 복수, 간 울혈, 정맥압 상승)
기이맥(흡기시 혈압이 10mmgh 이상 감소) 촉지
치료와 간호
digitalis, 이뇨제, 혈관확장제 등이 투여, 염분 제한
특별한 중재방법이 없으며 울혈성 심부전 예방, 경감에 치료의 목표를 둠
(심장이식이 필요)
참고문헌
1.이향련 외(2010), 여섯째판 성인간호학1 서울:수문사, pp 752~754
2.전시자 외(2011). 제5판 성인간호학(상권) 서울 : 현문사, pp 704~708
수축기 초기에는 좌심실로부터 대동맥내로 혈액유출이 빠르게 일어나지만 수축기말에는 대동맥판구의 폐쇄로 혈액유출이 어렵게 됨
확장기 동안에는 심장이완 기능장애로 심실 이완기압이 상승되어 좌심방에서 좌심실로의 혈액유입에 방해를 받게되어 이완기가 연장됨
→ 좌심부전으로 좌심방압, 폐정맥압, 폐모세관압이 상승
※ 비후성 심근증의 4가지 주요 특성
① 광범위한 심실 비대
② 좌심실의 빠르고 강력한 수축
③ 이완 불능
④ 대동맥 분출의 폐색
증상과 징후
대동맥판 협착증에서 올 수 있는 증상을 보임
특별한 증상이 없으며 주된 증상은 호흡곤란
점차 비후된 심근의 수축력 약화로 심근허혈이 유발, 이로 인해 허약감, 피로, 우울, 운동 시 호흡곤란, 심계항진, 협심통, 현기증, 실신 등
심하면 폐 울혈로 호흡곤란, 기좌호흡, 심근 섬유화에 의한 부정맥, 심실세동이 올 수 있으며 맥박은 빠르고 급하며 강함
합병증 : 유두근 기능부전에 의한 승모판 폐쇄부전
치료와 간호
주로 propranolol같은 β 교감신경 차단제 사용
(심박동수 감소로 심근의 과부담을 줄이고 부정맥을 예방 효과)
증상경감을 위해 Verapamil과 같은 칼슘이온 차단제 투약
digitalis나 이뇨제 등은 좌심실의 전후 부하를 감소시키므로 사용안함
외과적 치료 : 심근절제술, 부분적 심실 중격근 절개술
(3) 제한성(억제성) 심근증(Restrictive Cardiomyopathy: RCM)
드물게 오는 질환으로 심실벽의 과잉경직이 특징임
병태생리
경직된 심실벽은 확장기에 심실로의 혈액 충만을 억제, 수축기 때의 심근수축력은 정상
심내막과 심내막하 및 심근층의 근섬유가 침범되며 섬유화
→확장기 때 심장의 신장성이 약화되므로 심박출량이 감소
(∵심실에 혈액을 받아들이지 못함)
증상과 징후
피로감, 운동 시 호흡곤란, 실신, 운동장애
우심부전 증상(말초부종, 복수, 간 울혈, 정맥압 상승)
기이맥(흡기시 혈압이 10mmgh 이상 감소) 촉지
치료와 간호
digitalis, 이뇨제, 혈관확장제 등이 투여, 염분 제한
특별한 중재방법이 없으며 울혈성 심부전 예방, 경감에 치료의 목표를 둠
(심장이식이 필요)
참고문헌
1.이향련 외(2010), 여섯째판 성인간호학1 서울:수문사, pp 752~754
2.전시자 외(2011). 제5판 성인간호학(상권) 서울 : 현문사, pp 704~708
추천자료
[간경화증]간경화증(Liver Cirrhosis) 심층 고찰(간경화의 정의, 간경화의 형태 및 원인, 간...
[뇌졸중]뇌졸중의 개념, 뇌졸중의 원인, 뇌졸중의 병태생리, 뇌졸중의 분류와 뇌졸중의 증상,...
위암(Gastric Cancer) &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정의 , 증상, 분류, 원인,...
[빈혈] 빈혈의 종류와 원인 - 빈혈의 정의 , 원인과 그에 따른 빈혈의 종류, 병태 생리, 임상...
[성인간호학] 고혈압과 췌장암 - 고혈압 (고혈압 정의 및 분류, 원인,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 성인간호학 - 당뇨병 ( 당뇨병의 병태생리,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의 종류, 당뇨병의 진단기...
★ 성인간호학 - 폐렴 ( 정의, 분류, 병태생리, 원인과 위험요인, 발생빈도, 임상증상, 진단, ...
백혈병 정의, 분류, 병태생리, 진단평가, 치료관리, 예후, 간호중재, 백혈병 환아의 간호진단...
동맥류 (동맥류 정의, 동맥류 병태생리, 동맥류 원인, 동맥류 분류, 동맥류 호발부위, 동맥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