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병태생리 ---------------------------------------------------- 1p
이미알고있는사실 ------------------------------------------ 20p
가설/해결안 ------------------------------------------------- 21p
더 알아야 할 사항 ----------------------------------------- 23p
간호과정 보고서 -------------------------------------------- 25p
참고문헌 ---------------------------------------------------- 31p
이미알고있는사실 ------------------------------------------ 20p
가설/해결안 ------------------------------------------------- 21p
더 알아야 할 사항 ----------------------------------------- 23p
간호과정 보고서 -------------------------------------------- 25p
참고문헌 ---------------------------------------------------- 31p
본문내용
유지하기 위해 심부전의 증상에 대한 호흡상태를 모니터한다.
7. 신장관류 및 수분 정체를 관찰하기 위해 수분 균형 상태를 모니터한다.
- 섭취/배설량, 매일 체중 측정
(근거: 과잉 수분 섭취는 울혈성 심부전을 의미하며, 핍뇨는 부적절한 신장 관류와 쇼크를 암시한다.)
8. 대상자는 침상안정을 유지한다.
(근거: 안정은 손상된 심장에 산소화를 돕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안정된 후 의자에 앉는 자세는 정맥정체를 막고, 장과 방광 및 호흡 기능을 증진시킨다.)
9.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증상, 약물, 식이에 대해 교육 한다.
(근거: 질병에 대해 지식을 가짐으로써 질병을 예방, 응급 처치를 시행 할 수 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는 정상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산소요법 후 호흡이 편해짐을 표현하였다.(9/3)
대상자는 흉통이 사라졌다고 표현하였다.(9/3)
EKG f/u 상 정상소견으로 나타났다.(9/3)
대상자 청진 시 심잡음이 들리지 않을 것이다.
상승된 Troponin - I의 수치가 0.237으로 감소되었다.(9/3)
대상자는 심근경색의 증상과 약물을 이해하고, 식이에 대해 나열할 수 있을 것이다.
#2. 심박출량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진단명
의미있는 자료
목표계획
간호중재
평가
심박출량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9/1)
O data:
약간의 호흡곤란
9/1
dyspnea
09:30AM 호흡수: 26회/ 분
11:30AM 호흡수: 22회/ 분
EKG : ST elevation
9/2
Echo: ischemic insult of LAD territory
대상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정상 호흡양상을 보인다.
대상자의 말초순환계는 정상양상을 보인다.
1.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사정한다.
(근거: 호흡상태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호흡수, 호흡음, 리듬, 깊이, 노력정도를 모니터해야한다.)
2. 침상에서 휴식하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근거: 안정은 손상된 심장에 산소화를 돕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3. 대상자를 Fowler\'s 자세를 취하게 한다.
(근거: Fowler자세는 횡경막이 하강되어 폐의 확장과 환기를 증진시킨다.)
4.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근거: 동맥혈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비침습적 장치로 저산소혈증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7. ABGA 수치를 모니터하여, 비정상적인 결과를 보고한다.
(근거: 모니터링은 조직 관류와 산화의 충분함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
8. 처방된 산소를 투여한다.(O2 2L/min inhalation)
(근거: 심근경색에서는 혈액 내 산소분압이 감소되므로 산소를 공급한다. 산소는 호흡곤란, 흉통, 쇼크, 창백증 폐수종을 경감시킨다.)
9. 대상자의 피부, 모세혈관 재충만, 의식수준은 2~4 시 간마다 또는 필요시 계속 사정한다.
10. 산소처치 후 SpO2를 사정한다.
(근거: 산소투여 후 대상자의 호흡양상의 전후상태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11. 처방에 따른 혈관확장제를 투여한다.
9/1 Nitroglycerin 1 SL 투여 Isoket 1 + N/S 500cc mix IV.
대상자의 호흡횟수는 12-20회/분을 유지할 것이다.
산소공급을 중단하여도 호흡양상의 변화가 없을 것이다.
산소공급 후 산소포화도 수치가 96%로 나타났다. (9/1)
ABGA검사 결과가 정상수치를 나타낼 것이다.
항목
정상치
pH
7.35~7.45
PaO2
80~100
PaCO2
35~45
HCO3
22~26
대상자의 EKG 모니터 결과 ST 분절의 상승이 발견되지 않았다.
대상자의 모세혈관 재충전 속도가 2~3초 이내이다.
진단명
의미있는 자료
목표계획
간호중재
평가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9/1)
O data
(9/1)
C.C : chest pain
20~30분 간격으로 쥐어 짜는듯한 답답함 호소
7:45 출근 중 한차례의 흉통. ibuprofen 한 알 복용.
통증의 정도가 경감되었다고 말로 표현하거나 NRS척도가 4점 미만으로 내려간다.
EKG에서 정상 리듬을 보인다.
긴장이 완화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한다.
1. 흉통의 위치, 기간, 질, 강도, 방사 여부, 악화와
완화요인과 관련 증상을 포함한 흉통의 특성을
사정한다
(근거 : 허혈의 진행을 예방하고 치료,
평가하기 위해)
2. 통증을 0~10에서 점수를 매기도록 하고 결과를 기록한다.
3. 흉통이 있을 때의 호흡, 혈압, 심박수, 심장리듬을 사정한다.
(근거 : 호흡은 통증에 의해 의해 증가될 수 있으
며 불안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4. EKG를 모니터링한다.
(근거 : 흉통 발작이 있을 때마다 주기적으로 심전도(12유도)를 체크함으로써 심근허혈의 부위와 손상정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5. 심근의 산소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강 캐뉼라를 통해 2~4L/분 산소를 공급한다.
(근거 : 심근조직의 산소화를 높이고 더 이상의
허혈을 감소시켜 흉통을 경감시킨다)
6. 심장의 작업부하 및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증을 완화시키는 약물을 투여(ibuprofen 1 )
7. 대상자를 안심시키고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침착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간호를 제공한다.
7.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시 활동을 제한한다.
산소요법 후 호흡이 편해짐을 표현하였다(9/3)
EKG f/u 상 정상소견(9/3)
통증 없이 휴식을 취한다.
#3.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참고문헌
Donna Ignatavicius, M. Linda Workman 저, 『성인간호학Ⅱ』, 엘스비어코리아, 2013
Joyce M.Black 외 3인 저, 『성인간호학II』, 정담미디어, 2007
Lwis 외 3인 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9
차영남, 장효순 외 3명 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김금순, 김영숙 외 3명 저,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2
조경숙, 김희경 외 3명 저,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3
전두수 『심장과 혈관』, 대한의학, 2013
송경애 외 12 저,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2014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7. 신장관류 및 수분 정체를 관찰하기 위해 수분 균형 상태를 모니터한다.
- 섭취/배설량, 매일 체중 측정
(근거: 과잉 수분 섭취는 울혈성 심부전을 의미하며, 핍뇨는 부적절한 신장 관류와 쇼크를 암시한다.)
8. 대상자는 침상안정을 유지한다.
(근거: 안정은 손상된 심장에 산소화를 돕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안정된 후 의자에 앉는 자세는 정맥정체를 막고, 장과 방광 및 호흡 기능을 증진시킨다.)
9.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증상, 약물, 식이에 대해 교육 한다.
(근거: 질병에 대해 지식을 가짐으로써 질병을 예방, 응급 처치를 시행 할 수 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는 정상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대상자는 산소요법 후 호흡이 편해짐을 표현하였다.(9/3)
대상자는 흉통이 사라졌다고 표현하였다.(9/3)
EKG f/u 상 정상소견으로 나타났다.(9/3)
대상자 청진 시 심잡음이 들리지 않을 것이다.
상승된 Troponin - I의 수치가 0.237으로 감소되었다.(9/3)
대상자는 심근경색의 증상과 약물을 이해하고, 식이에 대해 나열할 수 있을 것이다.
#2. 심박출량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진단명
의미있는 자료
목표계획
간호중재
평가
심박출량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9/1)
O data:
약간의 호흡곤란
9/1
dyspnea
09:30AM 호흡수: 26회/ 분
11:30AM 호흡수: 22회/ 분
EKG : ST elevation
9/2
Echo: ischemic insult of LAD territory
대상자는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
대상자는 정상 호흡양상을 보인다.
대상자의 말초순환계는 정상양상을 보인다.
1. 대상자의 호흡상태를 사정한다.
(근거: 호흡상태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호흡수, 호흡음, 리듬, 깊이, 노력정도를 모니터해야한다.)
2. 침상에서 휴식하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근거: 안정은 손상된 심장에 산소화를 돕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3. 대상자를 Fowler\'s 자세를 취하게 한다.
(근거: Fowler자세는 횡경막이 하강되어 폐의 확장과 환기를 증진시킨다.)
4. 산소포화도를 측정한다.
(근거: 동맥혈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비침습적 장치로 저산소혈증을 감지하기 위함이다.)
7. ABGA 수치를 모니터하여, 비정상적인 결과를 보고한다.
(근거: 모니터링은 조직 관류와 산화의 충분함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
8. 처방된 산소를 투여한다.(O2 2L/min inhalation)
(근거: 심근경색에서는 혈액 내 산소분압이 감소되므로 산소를 공급한다. 산소는 호흡곤란, 흉통, 쇼크, 창백증 폐수종을 경감시킨다.)
9. 대상자의 피부, 모세혈관 재충만, 의식수준은 2~4 시 간마다 또는 필요시 계속 사정한다.
10. 산소처치 후 SpO2를 사정한다.
(근거: 산소투여 후 대상자의 호흡양상의 전후상태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11. 처방에 따른 혈관확장제를 투여한다.
9/1 Nitroglycerin 1 SL 투여 Isoket 1 + N/S 500cc mix IV.
대상자의 호흡횟수는 12-20회/분을 유지할 것이다.
산소공급을 중단하여도 호흡양상의 변화가 없을 것이다.
산소공급 후 산소포화도 수치가 96%로 나타났다. (9/1)
ABGA검사 결과가 정상수치를 나타낼 것이다.
항목
정상치
pH
7.35~7.45
PaO2
80~100
PaCO2
35~45
HCO3
22~26
대상자의 EKG 모니터 결과 ST 분절의 상승이 발견되지 않았다.
대상자의 모세혈관 재충전 속도가 2~3초 이내이다.
진단명
의미있는 자료
목표계획
간호중재
평가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9/1)
O data
(9/1)
C.C : chest pain
20~30분 간격으로 쥐어 짜는듯한 답답함 호소
7:45 출근 중 한차례의 흉통. ibuprofen 한 알 복용.
통증의 정도가 경감되었다고 말로 표현하거나 NRS척도가 4점 미만으로 내려간다.
EKG에서 정상 리듬을 보인다.
긴장이 완화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한다.
1. 흉통의 위치, 기간, 질, 강도, 방사 여부, 악화와
완화요인과 관련 증상을 포함한 흉통의 특성을
사정한다
(근거 : 허혈의 진행을 예방하고 치료,
평가하기 위해)
2. 통증을 0~10에서 점수를 매기도록 하고 결과를 기록한다.
3. 흉통이 있을 때의 호흡, 혈압, 심박수, 심장리듬을 사정한다.
(근거 : 호흡은 통증에 의해 의해 증가될 수 있으
며 불안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4. EKG를 모니터링한다.
(근거 : 흉통 발작이 있을 때마다 주기적으로 심전도(12유도)를 체크함으로써 심근허혈의 부위와 손상정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5. 심근의 산소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강 캐뉼라를 통해 2~4L/분 산소를 공급한다.
(근거 : 심근조직의 산소화를 높이고 더 이상의
허혈을 감소시켜 흉통을 경감시킨다)
6. 심장의 작업부하 및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통증을 완화시키는 약물을 투여(ibuprofen 1 )
7. 대상자를 안심시키고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침착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간호를 제공한다.
7.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시 활동을 제한한다.
산소요법 후 호흡이 편해짐을 표현하였다(9/3)
EKG f/u 상 정상소견(9/3)
통증 없이 휴식을 취한다.
#3.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참고문헌
Donna Ignatavicius, M. Linda Workman 저, 『성인간호학Ⅱ』, 엘스비어코리아, 2013
Joyce M.Black 외 3인 저, 『성인간호학II』, 정담미디어, 2007
Lwis 외 3인 저, 『성인간호학』 현문사, 2009
차영남, 장효순 외 3명 저,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3
김금순, 김영숙 외 3명 저, 『성인간호학1』, 수문사, 2012
조경숙, 김희경 외 3명 저,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2013
전두수 『심장과 혈관』, 대한의학, 2013
송경애 외 12 저,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2014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키워드
추천자료
골관절염 case study
<정형외과>추간판탈출증 case study
정신분열증 CASE STUDY
성인간호 CASE STUDY - 당뇨(DM)
소아과 case study - 황달, 과빌리루빈혈증
위암 case study
간호과정중심 Case study -장염(gastroenteritis)
천식 case study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연분만 후 산욕기 간호
폐렴 case study [호흡기 내과 실습 - 폐렴 컨퍼런스 ( 문헌고찰 약물 진단 간호과정 ) 완벽 ...
폐결핵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폐결핵 컨퍼런스 자료 - 문헌고찰, 약물, 진단검사, 과...
결장암 case study
정신간호학 case study-schizophrenia
Acute hepatitis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