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간호력(Nursing History)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3.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re)
<참고문헌>
2.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3.대상자의 간호과정(Nursing Process for this care)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을 의미한다.
SEG
50.0-75.0 %
80.7 ↑
원인 : 바이러스성 질환, 약물, 방사선요법
65.8
LYMPHO
20.0-44.0 %
14.7 ↓
면역결핍질환, 면역억제 약물, 영양불량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28.3
MONO.
2.0-9.0 %
4.5
4.2
EOSINO
1.0-5.0 %
0.0
1.4
BASO
0.0-2.0 %
0.1
0.3
NEUT(절대치)
1.90-8.00 천/uL
7.95
4.28
MCV
81-96 fL
84.4
MCH
27.0-33.0 pg
29.5
33.1
MCHC
32.0-36.0 g/dL
34.9
PT sec TEST
10.0-13.0 SEC
12
PT % TEST
75 - 115 %
84.5
PT INR TEST
0.90 - 1.20
1.08
PTT sec TEST
20-38 sec
23.6
<생화학검사>BUN
6월 11일
(POD 1)
7-25 mg/dl
18.4
Creatinine
0.5-1.2 mg/dL
0.96
MDRD GFR
㎖/min/1.73㎡
85.81
Glucose
70-110 mg/dL
166 ↑
Total protein
6.3-8.3 g/dL
7
Albumin
3.5-5.3 g/dl
4.3
A/G Ratio
1.2 ~ 2.2
1.6
GOT(AST)
0-40 IU
18
GPT(ALT)
0-40 IU
20
Alkaline phosphatase
40-130 U/L
50
Bilirubin, total
0.2-1.2 mg/dL
0.6
Amylase
22-80 U/L
64
Na
135-145 mEq/l
135
K
3.5-5.5 mEq/l
4
Cl
98-110 mEq/l
104
PH
6월 10일
(OP DAY)
7.350-7.450
7.403
PC02
35-45 mmHg
36.7
PO2
80-90 mmHg
160.9 ↑
과환기증후근,대사성 acidosis, 산소공급 등
HCO3
22-26 mEq/L
22.4
TCO2
22-29 mmol/L
23.5
BEecf
-2 - 2 mEq/L
-2.4
sO2c
96-97 %
98.6 ↑
GLU
70-110 mg/dL
138 ↑
HCT
36-52 %
44
NA
135-145 mEq/L
137.1
K
3.5-5.5 mEq/L
4.01
IONIZED Ca
1.13-1.32mmol/L
1.13
BEb
-2 - 2 mEq/L
-1.8
CL
98-110 mEq/L
110
Anion gap
14-18 mmol/L
8.7 ↓
<응급검사 ABGA>
3) 대상자의 약물치료
6월 10일
Alfentanil, Lidocaine, Botropase, Aloxi, Pyridostigmine, Glycopyrrolate, Pyridostigmine, Glycopyrrolate, Labesin, Labesin, Cefazedone, Gaster, Glycopyrrolate, Ketolan, N/S, Mucopect, Tridol, N/S, H/S, H/S, 5% D/W Nak2, Beecomhexa, Ascorbic acid, 5% D/W Nak2, 5% D/W, Theo-Esberiven F, N/S IR codon
6월 11일
Ketolan, N/S, Mucopect, 5% D/W, Theo-Esberiven F, Beecomhexa, Ascorbic acid, Torhes-F, Magmil, AMARYL M-2, Januvia
6월 12일
Tridol, N/S, Torhes-F, Magmil, AMARYLM-2, Januvia, IR codon
6월 13일
Tohes-F, AMARVLM-2, Magmil, IR codon, Januvia
6월 14일
Tohes-F, AMARVLM-2, Magmil, IR codon, Januvia, Bisacodyl
6월 15일
Tohes-F, IR codon, Januvia, AMARVLM-2, Magmil
6월 16일
Tohes-F, IR codon, Januvia, AMARVLM-2, Magmil
6월 17일
Tohes-F, IR codon, Januvia, AMARVLM-2, Magmil
6월 18일
퇴원 약 : Tohes-F, Magmil, IR codon (5일 치)
일반명
화학명
분류
투여용량 및 방법
투여목적 및 간호
부작용
Alfentanil
염산알펜타닐
합성마약
용량은 연령, 체중, 신체상태, 병적상태, 다른 약물의 사용 여부, 수술 및 마취의 유형과 지속시간 등을 고려하여 개인에 따라 결정한다.
고령자나 쇠약한 환자는 감량하고, 비만 환자(표준체중의 20 % 이상)는 제지방체중(lean body weight)에 기초하여 용량을 결정한다.
투여 중 활력징후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1. 아산화질소/산소와 함께 마취 유지 시 점적 정맥주사로 투여하는 진통보조제
2. 감시마취관리시의 진통보조제
3. 기관내삽관이나 조절호흡이 필요한 전신수술에서 마취유도를 위한 1차 마취제
4. 바르비튜레이트/아산화질소/산소와 함께 마취유지 시 증량투여하는 진통보조제
1) 가장 일반적인 이상반응은 호흡억제, 무호흡, 서맥, 골격근강직(특히 체간근육)이다.
2) 소화기계 : 구역, 구토
3) 순환기계 : 부정맥, 빈맥, 고혈압, 저혈압 등
4) 근골격계 : 근강직(흉벽강직 포함), 골격근 운동, 간대성근경련
5) 중추신경계 : 졸림, 흐린 시력, 복시, 어지러움, 수술 후 진정, 두통, 수술 후 착란, 수술 후 이상황홀감 등
6) 호흡기계 : 때때로 성대문연축, 고탄산혈증, 반복적인 호흡억제, 기침
7) 전신 : 때때로 떨림, 발한이 나타날 수 있다.
8) 과민반응 : 가려움, 알레르기반응
9) 정신신경계 : 때때로 방향감각장애, 초조가 나타날 수 있다.
10) 기타 : 때때로 주사부위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Botropase
헤모코아귤라제
지혈제
보통 성인 1일 1~2KU(Klobusitzky Unit), 소아는 0.3~1KU를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출혈, 1차 및 2차 출혈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폐출혈, 비출혈, 구강내 출혈, 성기출혈, 신출혈, 창상으로부터의 출혈 등)
쇼크, 과민반응, 주사부위 발진
Aloxi
팔로노세트론염산염
SEG
50.0-75.0 %
80.7 ↑
원인 : 바이러스성 질환, 약물, 방사선요법
65.8
LYMPHO
20.0-44.0 %
14.7 ↓
면역결핍질환, 면역억제 약물, 영양불량 등에서 나타날 수 있다.
28.3
MONO.
2.0-9.0 %
4.5
4.2
EOSINO
1.0-5.0 %
0.0
1.4
BASO
0.0-2.0 %
0.1
0.3
NEUT(절대치)
1.90-8.00 천/uL
7.95
4.28
MCV
81-96 fL
84.4
MCH
27.0-33.0 pg
29.5
33.1
MCHC
32.0-36.0 g/dL
34.9
PT sec TEST
10.0-13.0 SEC
12
PT % TEST
75 - 115 %
84.5
PT INR TEST
0.90 - 1.20
1.08
PTT sec TEST
20-38 sec
23.6
<생화학검사>BUN
6월 11일
(POD 1)
7-25 mg/dl
18.4
Creatinine
0.5-1.2 mg/dL
0.96
MDRD GFR
㎖/min/1.73㎡
85.81
Glucose
70-110 mg/dL
166 ↑
Total protein
6.3-8.3 g/dL
7
Albumin
3.5-5.3 g/dl
4.3
A/G Ratio
1.2 ~ 2.2
1.6
GOT(AST)
0-40 IU
18
GPT(ALT)
0-40 IU
20
Alkaline phosphatase
40-130 U/L
50
Bilirubin, total
0.2-1.2 mg/dL
0.6
Amylase
22-80 U/L
64
Na
135-145 mEq/l
135
K
3.5-5.5 mEq/l
4
Cl
98-110 mEq/l
104
PH
6월 10일
(OP DAY)
7.350-7.450
7.403
PC02
35-45 mmHg
36.7
PO2
80-90 mmHg
160.9 ↑
과환기증후근,대사성 acidosis, 산소공급 등
HCO3
22-26 mEq/L
22.4
TCO2
22-29 mmol/L
23.5
BEecf
-2 - 2 mEq/L
-2.4
sO2c
96-97 %
98.6 ↑
GLU
70-110 mg/dL
138 ↑
HCT
36-52 %
44
NA
135-145 mEq/L
137.1
K
3.5-5.5 mEq/L
4.01
IONIZED Ca
1.13-1.32mmol/L
1.13
BEb
-2 - 2 mEq/L
-1.8
CL
98-110 mEq/L
110
Anion gap
14-18 mmol/L
8.7 ↓
<응급검사 ABGA>
3) 대상자의 약물치료
6월 10일
Alfentanil, Lidocaine, Botropase, Aloxi, Pyridostigmine, Glycopyrrolate, Pyridostigmine, Glycopyrrolate, Labesin, Labesin, Cefazedone, Gaster, Glycopyrrolate, Ketolan, N/S, Mucopect, Tridol, N/S, H/S, H/S, 5% D/W Nak2, Beecomhexa, Ascorbic acid, 5% D/W Nak2, 5% D/W, Theo-Esberiven F, N/S IR codon
6월 11일
Ketolan, N/S, Mucopect, 5% D/W, Theo-Esberiven F, Beecomhexa, Ascorbic acid, Torhes-F, Magmil, AMARYL M-2, Januvia
6월 12일
Tridol, N/S, Torhes-F, Magmil, AMARYLM-2, Januvia, IR codon
6월 13일
Tohes-F, AMARVLM-2, Magmil, IR codon, Januvia
6월 14일
Tohes-F, AMARVLM-2, Magmil, IR codon, Januvia, Bisacodyl
6월 15일
Tohes-F, IR codon, Januvia, AMARVLM-2, Magmil
6월 16일
Tohes-F, IR codon, Januvia, AMARVLM-2, Magmil
6월 17일
Tohes-F, IR codon, Januvia, AMARVLM-2, Magmil
6월 18일
퇴원 약 : Tohes-F, Magmil, IR codon (5일 치)
일반명
화학명
분류
투여용량 및 방법
투여목적 및 간호
부작용
Alfentanil
염산알펜타닐
합성마약
용량은 연령, 체중, 신체상태, 병적상태, 다른 약물의 사용 여부, 수술 및 마취의 유형과 지속시간 등을 고려하여 개인에 따라 결정한다.
고령자나 쇠약한 환자는 감량하고, 비만 환자(표준체중의 20 % 이상)는 제지방체중(lean body weight)에 기초하여 용량을 결정한다.
투여 중 활력징후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1. 아산화질소/산소와 함께 마취 유지 시 점적 정맥주사로 투여하는 진통보조제
2. 감시마취관리시의 진통보조제
3. 기관내삽관이나 조절호흡이 필요한 전신수술에서 마취유도를 위한 1차 마취제
4. 바르비튜레이트/아산화질소/산소와 함께 마취유지 시 증량투여하는 진통보조제
1) 가장 일반적인 이상반응은 호흡억제, 무호흡, 서맥, 골격근강직(특히 체간근육)이다.
2) 소화기계 : 구역, 구토
3) 순환기계 : 부정맥, 빈맥, 고혈압, 저혈압 등
4) 근골격계 : 근강직(흉벽강직 포함), 골격근 운동, 간대성근경련
5) 중추신경계 : 졸림, 흐린 시력, 복시, 어지러움, 수술 후 진정, 두통, 수술 후 착란, 수술 후 이상황홀감 등
6) 호흡기계 : 때때로 성대문연축, 고탄산혈증, 반복적인 호흡억제, 기침
7) 전신 : 때때로 떨림, 발한이 나타날 수 있다.
8) 과민반응 : 가려움, 알레르기반응
9) 정신신경계 : 때때로 방향감각장애, 초조가 나타날 수 있다.
10) 기타 : 때때로 주사부위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Botropase
헤모코아귤라제
지혈제
보통 성인 1일 1~2KU(Klobusitzky Unit), 소아는 0.3~1KU를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출혈, 1차 및 2차 출혈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폐출혈, 비출혈, 구강내 출혈, 성기출혈, 신출혈, 창상으로부터의 출혈 등)
쇼크, 과민반응, 주사부위 발진
Aloxi
팔로노세트론염산염
키워드
추천자료
골관절염 case study
<정형외과>추간판탈출증 case study
정신분열증 CASE STUDY
성인간호 CASE STUDY - 당뇨(DM)
소아과 case study - 황달, 과빌리루빈혈증
위암 case study
간호과정중심 Case study -장염(gastroenteritis)
천식 case study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연분만 후 산욕기 간호
폐렴 case study [호흡기 내과 실습 - 폐렴 컨퍼런스 ( 문헌고찰 약물 진단 간호과정 ) 완벽 ...
폐결핵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폐결핵 컨퍼런스 자료 - 문헌고찰, 약물, 진단검사, 과...
결장암 case study
정신간호학 case study-schizophrenia
Acute hepatitis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