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case study,정신, 조현병, 우울증, depressive disorder, schizophrenia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case study,정신, 조현병, 우울증, depressive disorder, schizophreni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주요 정신질환의 이해 : (조현병, 우울증)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

Ⅱ. 간호력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8

Ⅲ. 정신건강상태 사정 (2015, 5, 13. 기준)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3

Ⅳ. 치료요법과 효과 및 느낀점(피드백)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5

Ⅴ. 사례에 대하여 간호과정 적용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5

Ⅵ. 간호진단과 간호계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0

Ⅹ. 참고문헌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본문내용

-)
stereotypy (-)
obsessive behavior (-)
mutism (-)
negativism (-)
tics (-)
aggression (-)
acting out (-)
6. 지남력(orientation)의 장애 시간 (+) 장소 (-) 사람 (-)
즉각기억(immediate) (-)
기억상실 amnesia (-)
최근기억(recent) (+)
: 어제 무엇을 했는지 기억 못함
기억과다 hyperamnesia (-)
과거기억(remote) (+)
: 25~59세(현재)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함
기억착오 paramnesia (-)
7. 기억력(memory)
8. 판단력(judgement) - 존재
9. 의식(consciousness)confusion (-)
clouding of consciousness (-)
dream state (-)
coma (-)
deterioration (-)
10. 집중력(concentration)장애decreased attention (-)
preoccupation (-)
fluctuation (-)
distractibility (-)
11. 병식
: 자신이 건망증이 심한 것은 알고 있으나 정신병은 아니라고 생각하며, 또한 자신은 정신병으로 입원 해 있는 것이 아니고, 위, 피로, 피곤 등의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 해 있어서 다 치료 되면 퇴원 할 수 있다고 생각 하고 있음
Ⅳ. 치료요법과 효과 및 느낀점(피드백)
치료요법
치 료 요 법
활동요법 : 산책
- 효과 : 운동량을 산책을 통해 건강 및 체력증진을 도모하고 기분을 전환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정신, 신체 두 가지의 상승 효과를 가짐
진행 방법 : 오전과 오후에 나눠서 산책을 진행 하며 하루 2번씩 진행한다. 오전 30분 오후 30분씩 자유롭게 일정한 공간 안에서 운동 또는 걷기를 한다.
- 느낀 점 : 대상자들이 산책시간을 기다릴 만큼 반응이 좋지만 병동에서 참여를 계속 하지 않는 대상자들을 격려해서 참여 하도록 하는 것은 아니라 단순히 참여를 희망 하는 대상자들만 받고 있음으로 참여 하지 않는 대상자의 신체 정신 건강 증진을 도모 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한다.
활동요법 : 민요
효과 : 환우분들과 북장단에 맞춰 전통 음악을 부르고, 소리로 표현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시킴
진행 방법 : 사회자가 민요(1~8절)를 처음부터 끝까지 북장단에 맞춰 합창 한 뒤 4~5명을 혼자 한절씩 부르게 하는 방식으로 4~5개의 민요를 부름
느낀 점 : 전체적으로 환자들이 잘 참여 하며 평소보다 환자들이 활발한 모습을 보임. activity poor 한 환자들에게 정신, 신체적으로 많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함
Ⅴ. 사례에 대하여 간호과정 적용
건강기능양상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객관적 자료)
참고문헌과의 비교
해석 및 평가
건강관리
Subjective
(5. 12, 4. 3) “소화가 안되서 천천히 걸어다녀요”
(5. 12) “소화가 안되서 밥을 반 정도도 안먹어요”
(5. 12) “소화도 안되고 배가 아파요”
(4. 19) “속이 안 좋아서 불편해요”
(4. 4) 속이 좋지 않고 토했어요
개인과 집단 모두에서 인간은 4가지 적응양식에서 각 적응수준의 유지활동과 대처과정을 가진 인간 적응체계로 정의한다. 이것은 개인과 집단의 생리적, 신체적, 자기개념, 집단 정체성, 역할기능 및 상호의존 양식에 관한 행동반응을 산출한다. 이 반응은 적응적이어서 인간체계의 총체성 혹은 통합성을 증진시키거나 또는 비효과적이어서 인간체계의 목표과 관련되지 않는다. 인간체계기능의 각 측면이 상호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총체적 양상이라는 신념에 근거한다.
비효율적 자가 건강 관리
Objective
(5. 12 ~ )소화가 안 된다고는 하지만 야외 활동인 산책에는 참여 하지 않으며, 10m 정도의 병동을 천천히 몇 번 걷고 있다.(대상자가 관찰 하기 전에는 야외활동인 산책에 참여 했다고 함)
(5. 11 ~ )소화제(itopvide) 복용 중
(5. 6) 소화불량으로 점심 저녁 연식 복용
(3. 11) 소화기 내과 외전 다녀옴(이상 없음)
활동/운동
Subjective
(5. 12)“ 밖에 나가면 추워서 안나가요”
(5. 12)“기운이 없고 몸이 아파서 움직일 수가 없어요”
신체적 안녕은 증상 조절과 완화, 기능 유지 및 독립성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 신체적 기증과 다양한 일상활동의 수행능력 저하는 피로를 나타내는 것이다. 기능상태 저하는 삶의 질 저하의 예측인자이다. 피로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활동 기능이 제한되면 질병이 낫거나 치료가 종료된 후에도 활동 제한은 지속될 수 있다.
여가 활동 부족
Objective
(5. 12 ~ ) 병동에 있는 요법들에 대해 참여 하지 않음
(5. 12 ~ ) 10m정도 되는 병동만 몇 번 돌아다닐 뿐 다른 행동은 전혀 하지 않음
(5. 12 ~ ) 아무 말도 없이 가만히 앉아 있는 경우가 많음
Subjective
(5. 12) “몸이 아파서 잘 씻을 수가 없어요”
(5. 12) “꼭 안씻어도 되는거 같아요”
(5. 14) “언제 씻었는지 기억이 잘 안나요
자가 간호 결핍
Objective
(5. 12 ~ )머리에 비듬이 있고 손발톱이 김
(5. 12 ~)의복은 깨끗하나 옆 침대 환자가 속옷을 세탁 해준다고 함
역할관계
Subjective
(5. 12 ~ )“다른 환자들한테 말을 잘 안걸어요”
(5. 12 ~ )“혼자 있는게 편해요”
(5. 12 ~ )“25~59세 까지 집에만 있고 어머니와 이야기를 많이 했어요”
사회적 고립
Objective
(4. 23 ~ )같은 병동 환자들과 대화를 하지 않음
(5. 11 ~ )간호사, 직원, 실습생 들이 질문을 할 때만 답변을 함
지각, 인지
Subjective
(5. 12)“어머니가 작년에 돌아가셨어요” (실제 어머니 사망년도 2012년)
(5. 12)“이모가 저번달에 면회 왔었어요” (실제 면회 일 2014년 12월)
(5. 12)“어제 병동에서 무슨 요법이 있었는지 기억이 안나요”
(5. 12)“25~59세(현재) 까지 기억이 잘 안나요”
(5. 12)“오늘이 몇 년 몇월 몇일인지 전혀 모르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7.02.20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6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