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간호학 실습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방간호학 실습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방약제과>
<한방검사실>
1. 수양명경 경락기능검사
2. 양도락 검사
3. 맥전도
4. 체성분 검사
<기체조>
<침구과>
<자연요법실(뜸)>
<한방재활요법(추나)>
<혈자리>
<경혈지압 손 마사지>
<설진>

본문내용

한방간호학 실습보고서
<한방약제과>
한방약제과란?
한방 약제를 연구하고 보관하며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의 탕약을 만들고 그것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부서이다. 두 가지 파트로 나뉘어져있는데 하나는 예제파트로 제재연구를 담당하는 곳이고, 다른 하나는 조제파트로 엑기스를 조제하고 투약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다. 조제파트가 70-80%로 구성되어 있고 18층에는 탕전실이 있다.
한약 약제를 보관하고 있는 곳에는 약 380종류의 제제를 보관하고 있고, 감초, 인삼, 쑥, 당귀 같은 식물성 제재뿐만 아니라 사향(최고가), 거북이, 녹용과 같은 동물성약재, 석고 같은 광물성 약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었다. 여기서 50까지 정도만 보험처리가 된다. 그 외에도 약재의 형태는 탕약, 환, 포, 캡슐, 트로키, 젤리, 연고 등 다양하게 있다.
18층 탕전실은 환자의 탕약을 만드는 곳으로 입원환자와 외래환자를 구분해 놓고 환자 개인에 맞는 약을 각각 만든다.(즉 환자가 100명이면 탕약도 각각 100개를 우려내야 함) 만드는 과정은 약재에다가 정제수를 1.5L가량 부은 다음 30분내지 2시간 정도 전기스토브에서 가열한다. 일정시간이 되면 열이 차단되고 1일 치 투여량이 완성된다. 잘 드시지는 못하는 분은 60ml로 농축하여 준다. 농축의 차이가 있어 외래가 좀 더 진해서 약 맛이 다르다.
=> 약제과 견학을 통해 느낀 것은 굉장히 정성이 많이 들어 가는구나! 였다.
어떻게 약재들이 보관되고 어떻게 약을 만들고 어떻게 환자들에게 전달되는 지를 아니 그렇게 느낄 수 밖에 없었다. 가족들이 같이 약을 먹는 경우를 따로 표시하고 기억했다 주의사항을 말해주고, 환자들의 치료방침에 맞게 똑 같은 재료여도 다르게 쓰이는 것을 보았을 때 하나하나가 모두 정성이었다.
한방의 약재에 대해서 보게되었는데 식물성과 동물성 약재들은 많이 봤었는데 광물도 약재로 쓰이는게 있다는 것을 보고 신기하였다.
약재보관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먹을 수 있게 사탕이나 젤리같이 새로운 제재들을 연구하는 것들을 알고 한방이 시대에 걸맞춰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 느낀점
여러 약제를 보고 탕약을 만드는 과정도 보는 등 흥미로운 동시에 단시간에 너무 많은 정보가 들어와서 약간의 혼란스러움도 있었지만, 그러한 것들을 보고 들으면서 뭔가 인위적이지 않고, 모든 재료들이 자연에서 온다는 것에 친숙함을 느꼈다. 또한 환자에게 약이 전해지기까지 굉장한 정성이 필요하단 것을 느꼈다. 그 외에 한약의 단점은 농약이란 것을 듣고 한약도 좋다고 함부로 먹어선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방검사실>
1. 수양명경 경락기능검사
정의
수양명경 경락 기능 검사는 측정부위가 수양명경 기시부인 상양혈(검지 손가락 끝)이기 때문에 그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그런데 많은 경우가 왼쪽발목과 양쪽 손목부위에서 측정한다. 이 검사는 자율신경의 안정도, 활성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이인데, 맥의 빠르기가 얼마만큼 일정한지에 관한 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한다. 즉 “자율신경계 검사”라 할 수 있다.
원리
이 검사의 원리는 심장박동이 동방결절의 자발적 흥분과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조절되므로 심박변동을 분석하여 자율신경계의 교감 및 부교감신경간의 균형상태 및 각각의 활동도를 알 수 있다.
측정항목
심박수 변이도 측정 항목은 평균 심박수, SDNN 및 RMSSD 등의 시간영역과, TP(total power; VLF,LF,HF를 포함한 전체 power를 의미), LF(low frequency; 0.031-0.141Hz의 강도) 및 HF(high frequency; 0.141-0.391Hz의 강도) 등 주파수 영역이 있다.
MEAN HRT는 평균분당 심박동수를 의미하고, SDNN과 RMSSD는 건강한 사람일수록 이 수치가 크고, 이 수치가 감소되어 있으면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 및 전반적인 건강이 저하 되어 있다고 본다. TP는 자율신경계의 전체적인 능력을 뜻하며 LF는 교감신경, HF는 부교감신경을 LF/HF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을 알 수 있는 지표이다.
2. 양도락 검사
정의
좌우 12경락의 대표 측정점에서 피부 전기 저항을 측정하여 경락의 기능을 변별하는 검사이다. 양도락은 내장 역할을 지배하고 있는 자율신경 통로에 미량의 전기를 통과시켜 그 흐름의 정도를 보아 병의 유·무를 판단하며 이 자율신경 통로는 신경에 연결되어 있어 다른 부위 보다 전류가 잘 흐르기에 良導絡이라 한다. 즉, 양도락이란 한의학에서의 12경락의 유주노선과 일치한다.
진단기의 임상적 의의
인체의 장부 각 기관도 정상적인 생리활동과 비정상적인 병리활동 등의 상태가 체표로 전달되고 있으므로 체표의 일정 반응점을 전자기적으로 측정, 분석함으로써 그 생리적, 병리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양도락상의 생리·병리적 상태
양도락의 좌우선이 마치 DNA이중나선구조모양으로 서로 엇갈리면서 교차되는 상태를 가장 이상적으로 보며 이런 경우는 생리적으로 원활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만일에 좌·우선이 서로 겹쳐(閉塞)져 있거나 격차가 난다면 일단은 병리적 상황으로 판단한다. 즉 좌·우선의 겹침(閉塞)은 장부의 만성적 병리상태를, 좌·우선의 격차(좌우격차가 40이상일 경우)는 해당 장기의 급성 병리상태를 의미한다.
양도락상의 삼초경과 담경
양도락의 수경과 족경에서 가장 중시해야 할 부분은 삼초경과 담경의 곡선이다. 삼초경과 담경은 양도락상에서 원기를 의미하므로 삼초경과 담경의 항진과 저하는 다른 경락의 항진과 저하보다 그 생리병리적 의미가 크다.
특히 양도락상의 삼초경은 기능적, 정신적 원기를, 담경은 기질적, 육체적 원기를 나타내며 삼초경은 여성에 있어서는 근원적 힘의 발현인 자궁, 좌우난소상태와 남성에 있어서는 원초적인 힘인 양기를 나타내며 담경은 원기의 발휘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
양도락검사의 진행순서
진행순서는 약 15분동안 안정후 양말과 신발, 전자 기기들을 온몸에 빼 놓은 다음 환자 정보 입력 후 오른손으로 BAR를 가볍게 잡는다. 좌측 수족의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7.03.12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1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