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목차
(1)서론
1.응급실의 상황
2.응급실환자의 우선순위
-동공사정
-심폐소생술
-의식수준
-GCS (Glasgow Coma Scale)
3.검사
-심전도검사
-정맥 신우 조영술 또는 요로 조영술
-소변 검사물
-혈액 검사물
-각종 균배양 검사물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 가스 분석
-CBC (Complete Blood Count)
-자기 공명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 (Computed tomography)
-내시경 검사 (Endoscopic procedure)
-X-Ray (방사선 검사)
-핵의학 (nuclear medicine 검사)
-드레싱
4.응급실check list
5.응급환자 간호 시 사용기기
6.호흡을 도와주는 간호
7.산소 요법
8.비상약품 종류와 작용
9.emergency car
10. 진단명
-간성 혼수
-간경화
-기흉
-기관지 천식
-위궤양
-급성 충수염 (Acute Appendicitis)
-요로결석증 (Urolithiasis)
- 척추와 척수의 외상
-급성 경막하 출혈 및 혈종
-두개골 골절
-심부전 (Heart Failure)
(2) 본론(Cb, infarction . Left MCA)
case study
1.문헌고찰
2.간호과정
(3) 결론
1.응급실의 상황
2.응급실환자의 우선순위
-동공사정
-심폐소생술
-의식수준
-GCS (Glasgow Coma Scale)
3.검사
-심전도검사
-정맥 신우 조영술 또는 요로 조영술
-소변 검사물
-혈액 검사물
-각종 균배양 검사물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 동맥혈 가스 분석
-CBC (Complete Blood Count)
-자기 공명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 (Computed tomography)
-내시경 검사 (Endoscopic procedure)
-X-Ray (방사선 검사)
-핵의학 (nuclear medicine 검사)
-드레싱
4.응급실check list
5.응급환자 간호 시 사용기기
6.호흡을 도와주는 간호
7.산소 요법
8.비상약품 종류와 작용
9.emergency car
10. 진단명
-간성 혼수
-간경화
-기흉
-기관지 천식
-위궤양
-급성 충수염 (Acute Appendicitis)
-요로결석증 (Urolithiasis)
- 척추와 척수의 외상
-급성 경막하 출혈 및 혈종
-두개골 골절
-심부전 (Heart Failure)
(2) 본론(Cb, infarction . Left MCA)
case study
1.문헌고찰
2.간호과정
(3) 결론
본문내용
riculation)
- 의식 확인 : D
의식이 명료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증 환자의 경우는 환자를 한번만 보고도 1차 사정을 간단히 마칠 수 있다. 그러나 중증외상이나 무의식 환자인 경우는 1차 사정부터 자세히 실시하며 이때 기도폐색이나 상당량의 출혈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면 이들 문제부터 해결한 뒤 다음단계의 환자사정을 진행해야 한다.
2) 2차 사정(secondary survey)
1차 사정을 마치고 이때 발견된 문제를 중재한 다음에는 환자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사정하는데 이것은 경미한 문제라도 질병에 관련된 손상이나 징후를 발견해내는 사정을 의미한다.
(1) 외모 (general appearance)
2차사정의 첫 단계는 환자의 전반적 외모와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다. 환자모습이 안정감이 있는지? 불안해 보이는지? 놀란 모습인지? 특히 의식수준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한다. 의식 변화는 흔히 환자상태변화를 알려주는 가장 중요한 단서가 된다. 특히 중증외상, 심폐기능 장애 또는, 약물 중독 시에 의식수준 사정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양쪽사지가 대칭적으로 반응하는지 알아보려면, 양쪽 사지를 동시에 자극해야한다.
(2) 활력징후 (vital sign)
- 맥박
- 혈압
- 호흡
- 체온
(3) 피부사정 ( examination of the skin)
피부색이 흰 사람은 피부색에 의하여 혈중산소포화상태뿐 아니라 피부의 혈액순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피부색이 검은 사람은 눈의 결막 등의 점막검사를 통하여 이런 변화를 사정한다. 피부혈관이 수축하거나 심 박출량이 감소하면 피부색은 창백하고 얼룩덜룩해지거나 파란색으로 변한다.
(4) 두 경부 사정 ( examination lf the head & neck )
외상환자는 두피의 열상이나 좌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머리카락에 피가 묻었는지와 출혈부위는 어디인지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다.
* 동공사정 *
동공반응을 관장하는 신경은 시신경과 동안신경이다. 동공평가는 중추신경계의 정상 혹은 비정상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①동공의 크기, ② 동공 모양, ③ 빛에 대한 반응을 사정하게 된다. 양쪽의 동공을 반드시 비교하고 차이점을 기록하여야 한다.
1) 동공의 크기
mm로 표현하며 정상적으로는 좌우 동일하다. 대개 2-6mm이며 평균 3.5mm정도이다. 동공크기를 기록할 때는mm와 서술적 용어 (descriptive term)로 기록한다.
① pinpoint pupil : 뇌교 병변 또는 마약과용에서 나타나는 바늘끝처럼 작아서 잘 보이지 않는 축소된 동공이다.
② small pupil : 축동제 점안, 마약남용, 양측성 간뇌병소, 대사성 혼수, pontine hemorrage에서 보여지며 평균치보다는 작고 pinpoint 보다는 크다.
③ midposition : 정상적인 위치이며 중뇌손상시 대광반사가 소실된다. 동공 크기는 홍체직경의 절반정도의 크기이다.
④ large pupil : 어두운 방에서는 정상적인 반응이며 약물남용, 산동제 점안, 안구손상시 나타나며 평균보다 크지만 홍체는 보인다.
⑤ dilated pupil : 뇌허혈의 말기나 사망시 보이며 비정상 상태이다. 홍체는 얇은 띠로 보이거나 동공만 크게 보인다.
2) 동공의 모양
정상적으로 동공 모양은 둥글며(round), 동공은 단순히 동공의 외형 윤곽을 봄으로써 사정한다. 비정상적모양은 ovoid, keyhole, 또는 불규칙(irregular)한 모양으로 표현된다.
① 원형(round pupil) : 정상 형태로 둥근 모양
② 난형(ovoid pupil) : 대부분 두개내압 상승을 나타내며 정상과 full dilated pupil 사이 중간단계를 나타낸다. 이것은 초기 transtentorial hemiation 징후이기도 하며 타원형(oval) 모양이다.
③ 열쇠구멍 모양(keyhole pupil) : 백내장 수술시 행해지는 홍체 적출술(iridectomy)를 환자에게서 보여지는 열쇠구멍 모양을 나타내는 동공이다.
④ 불규칙 동공(irregular pupil) : 외상상 안구손상환자에게서 보여지며 들쭉날쭉한 톱니 모양의 동공이다.
3) 빛에 대한 동공반응
직접대광반사(direct light reflex)는 한쪽 동공에 불을 비추면 빛에 대한 동공의 반응으로 동공은 빠르게 수축하게 되고 빛을 치우면 동공은 곧 원래대로 돌아온다. 교감대광반사(consensual light reflex)는 빛을 한 동공에 비추게 되면 빛을 비추지 않은 반대쪽 동공도 수축을 하게 되고 및을 제거하면 동공은 곧 원래대로 돌아온다. 동공반응은 즉각적인 반응(brisk), 느린반응(sluggish), 무반응(nonreactive) 또는 고정(fized)이라는 서술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① 즉각적인 반응 동공(brisk, prompt pupil) : 정상반응으로 ‘p\'라고 기록한다.
② 느린반응 동공(sluggish pupil) : 동안신경이 약간 눌릴때 나타나며 뇌부종이나 transtentorial hemiation의 경우 나타나는 반응으로 ‘s\'라고 기록한다.
③ 반응없는 동공(nonreactive)혹은 고정된 동공(fixed pupil) : 동안신경이 심하게 눌렸을 때, transtentorial hemiation, 심한 뇌허혈, 사망직전에 나타나며 ‘f\'라고 기록한다.
④ 부종으로 닫혀진 동공(swollen closed pupil) : 한쪽 또는 양쪽이 심한 안검부종으로 감겨져 있어 대광반사를 사정할 수 없을 경우 ‘c\'라고 기록한다
⑤ Hippus phenomenon : 산동과 축동이 모두 보이는 상태로 동안신경 장애나 초기 transtentorial hemiation의 경우 보여지는 반응이며 ‘h\'라고 기록한다.
4) 비정상적인 동공반응
① 동안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한쪽 동공이 다른 쪽보다 크며 대광반사가 없어진다. 이완된 동공(dilated)또는 고정된 동공(fized pupil)과 같은 쪽에 발생한 혈종, 종양, 뇌부종 등의 병소로 인해 동안신경이 눌려 발생되는 현상이다.
② 양측성 간뇌손상시 동공은 작지만 양쪽 크기는 같다.
- 의식 확인 : D
의식이 명료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증 환자의 경우는 환자를 한번만 보고도 1차 사정을 간단히 마칠 수 있다. 그러나 중증외상이나 무의식 환자인 경우는 1차 사정부터 자세히 실시하며 이때 기도폐색이나 상당량의 출혈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면 이들 문제부터 해결한 뒤 다음단계의 환자사정을 진행해야 한다.
2) 2차 사정(secondary survey)
1차 사정을 마치고 이때 발견된 문제를 중재한 다음에는 환자의 머리부터 발끝까지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사정하는데 이것은 경미한 문제라도 질병에 관련된 손상이나 징후를 발견해내는 사정을 의미한다.
(1) 외모 (general appearance)
2차사정의 첫 단계는 환자의 전반적 외모와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다. 환자모습이 안정감이 있는지? 불안해 보이는지? 놀란 모습인지? 특히 의식수준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한다. 의식 변화는 흔히 환자상태변화를 알려주는 가장 중요한 단서가 된다. 특히 중증외상, 심폐기능 장애 또는, 약물 중독 시에 의식수준 사정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양쪽사지가 대칭적으로 반응하는지 알아보려면, 양쪽 사지를 동시에 자극해야한다.
(2) 활력징후 (vital sign)
- 맥박
- 혈압
- 호흡
- 체온
(3) 피부사정 ( examination of the skin)
피부색이 흰 사람은 피부색에 의하여 혈중산소포화상태뿐 아니라 피부의 혈액순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피부색이 검은 사람은 눈의 결막 등의 점막검사를 통하여 이런 변화를 사정한다. 피부혈관이 수축하거나 심 박출량이 감소하면 피부색은 창백하고 얼룩덜룩해지거나 파란색으로 변한다.
(4) 두 경부 사정 ( examination lf the head & neck )
외상환자는 두피의 열상이나 좌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머리카락에 피가 묻었는지와 출혈부위는 어디인지에 대한 사정이 필요하다.
* 동공사정 *
동공반응을 관장하는 신경은 시신경과 동안신경이다. 동공평가는 중추신경계의 정상 혹은 비정상 상태를 파악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①동공의 크기, ② 동공 모양, ③ 빛에 대한 반응을 사정하게 된다. 양쪽의 동공을 반드시 비교하고 차이점을 기록하여야 한다.
1) 동공의 크기
mm로 표현하며 정상적으로는 좌우 동일하다. 대개 2-6mm이며 평균 3.5mm정도이다. 동공크기를 기록할 때는mm와 서술적 용어 (descriptive term)로 기록한다.
① pinpoint pupil : 뇌교 병변 또는 마약과용에서 나타나는 바늘끝처럼 작아서 잘 보이지 않는 축소된 동공이다.
② small pupil : 축동제 점안, 마약남용, 양측성 간뇌병소, 대사성 혼수, pontine hemorrage에서 보여지며 평균치보다는 작고 pinpoint 보다는 크다.
③ midposition : 정상적인 위치이며 중뇌손상시 대광반사가 소실된다. 동공 크기는 홍체직경의 절반정도의 크기이다.
④ large pupil : 어두운 방에서는 정상적인 반응이며 약물남용, 산동제 점안, 안구손상시 나타나며 평균보다 크지만 홍체는 보인다.
⑤ dilated pupil : 뇌허혈의 말기나 사망시 보이며 비정상 상태이다. 홍체는 얇은 띠로 보이거나 동공만 크게 보인다.
2) 동공의 모양
정상적으로 동공 모양은 둥글며(round), 동공은 단순히 동공의 외형 윤곽을 봄으로써 사정한다. 비정상적모양은 ovoid, keyhole, 또는 불규칙(irregular)한 모양으로 표현된다.
① 원형(round pupil) : 정상 형태로 둥근 모양
② 난형(ovoid pupil) : 대부분 두개내압 상승을 나타내며 정상과 full dilated pupil 사이 중간단계를 나타낸다. 이것은 초기 transtentorial hemiation 징후이기도 하며 타원형(oval) 모양이다.
③ 열쇠구멍 모양(keyhole pupil) : 백내장 수술시 행해지는 홍체 적출술(iridectomy)를 환자에게서 보여지는 열쇠구멍 모양을 나타내는 동공이다.
④ 불규칙 동공(irregular pupil) : 외상상 안구손상환자에게서 보여지며 들쭉날쭉한 톱니 모양의 동공이다.
3) 빛에 대한 동공반응
직접대광반사(direct light reflex)는 한쪽 동공에 불을 비추면 빛에 대한 동공의 반응으로 동공은 빠르게 수축하게 되고 빛을 치우면 동공은 곧 원래대로 돌아온다. 교감대광반사(consensual light reflex)는 빛을 한 동공에 비추게 되면 빛을 비추지 않은 반대쪽 동공도 수축을 하게 되고 및을 제거하면 동공은 곧 원래대로 돌아온다. 동공반응은 즉각적인 반응(brisk), 느린반응(sluggish), 무반응(nonreactive) 또는 고정(fized)이라는 서술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① 즉각적인 반응 동공(brisk, prompt pupil) : 정상반응으로 ‘p\'라고 기록한다.
② 느린반응 동공(sluggish pupil) : 동안신경이 약간 눌릴때 나타나며 뇌부종이나 transtentorial hemiation의 경우 나타나는 반응으로 ‘s\'라고 기록한다.
③ 반응없는 동공(nonreactive)혹은 고정된 동공(fixed pupil) : 동안신경이 심하게 눌렸을 때, transtentorial hemiation, 심한 뇌허혈, 사망직전에 나타나며 ‘f\'라고 기록한다.
④ 부종으로 닫혀진 동공(swollen closed pupil) : 한쪽 또는 양쪽이 심한 안검부종으로 감겨져 있어 대광반사를 사정할 수 없을 경우 ‘c\'라고 기록한다
⑤ Hippus phenomenon : 산동과 축동이 모두 보이는 상태로 동안신경 장애나 초기 transtentorial hemiation의 경우 보여지는 반응이며 ‘h\'라고 기록한다.
4) 비정상적인 동공반응
① 동안신경이 압박을 받으면 한쪽 동공이 다른 쪽보다 크며 대광반사가 없어진다. 이완된 동공(dilated)또는 고정된 동공(fized pupil)과 같은 쪽에 발생한 혈종, 종양, 뇌부종 등의 병소로 인해 동안신경이 눌려 발생되는 현상이다.
② 양측성 간뇌손상시 동공은 작지만 양쪽 크기는 같다.
추천자료
성인간호학-중환자실실습-폐렴(pneumonia),복부대동맥류 (AAA)
성인간호학실습_onco병동선행학습보고서
성인간호학 실습- 갑상선암 케이스 ,Thyroid cancer ,간호사례연구
[성인간호학][Thyroid cancer][갑상선암][thyroidectomy]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성인간호학][Renal pelvic stones ][신우결석]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신루관(Nephrostom...
[성인간호학][간내결석][간내담석][Intrahepatic duct stone][IHD stone] 케이스 스터디(Case...
[성인간호학][길랭바레 증후군][Gillian-Barre syndrome]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
[성인간호학][LC][간경화][liver cirrhos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간호진단,간호과정
[성인간호학][견인][traction][골절][fracture]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정형외과],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실습 : 정형외과, 척추전방전위증, OS, spondylolisthesis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 os 척추협착증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 간호과정, 출처 등 기...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 방광암 케이스입니다. 문헌고찰,간호진단 포함
성인간호학실습 고혈압과 당뇨 문헌고찰입니다.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성인간호학 실습 간호과정 식도염을 동반한 위식도역류병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