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경계 건강사정
2. 진단을 위한 검사에 따른 간호
3. 특수장치 및 치료에 따른 간호
4. 약물요법
2. 진단을 위한 검사에 따른 간호
3. 특수장치 및 치료에 따른 간호
4. 약물요법
본문내용
를 해야 한다.
②삼투압성 이뇨제
-약품 : mannitol, glycerol, urea등이 있고, 이 중 mannitol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작용기전 및 약리작용 : 신장의 사구체에서 여과되어 뇨세관에서 재흡수되지 않는 물질은 뇨세관의 삼투압을 상승시켜 뇨세관에 있어서 물의 재흡수를 제한하여 뇨량을 증가시킨다. 삼투압성 이뇨제는 사구체에서 쉽게 여과되며 세뇨관에서 재흡수되지 않은 물질이 그 삼투압에 의해 물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Na+재흡수를 감소시키는 점을 이용한다.
-성분 : mannitol 20%
-용법 및 용량 : 1회 1~3g/kg를 15%, 20%, 25%액으로 점적 투여하고 1일 최대 200g, 투여속도는 100ml/3~10분 정도로 한다.
-투약 시 간호사의 역할 : 급성 두 개내 혈종, 심한 울혈성 심부전, 심한 탈수 상태, 폐부종, 폐울혈, 대사성 부종, 무뇨 환자에게는 금기이므로 이를 투약 전에 미리 확인한다.
③근육이완제
-임상약물 : galexin 10mg/2ml 가렉신, neexin 60mg/2ml 닉신
-효능 및 효과 : 근골격계 질환에 수반하는 동통성 근육연축→척추근염, 허리활액낭염, 섬유조직염, 척추염에 의한 요통 및 사경통, 관절질환, 신경계 질환에 의한 근육연축의 효과가 있으며 근골격의 통증상태 완화의 보조를 한다.
-용법 및 용량 : galexin은 3일간 1회 10~20mg을 8~12시간마다 근주 또는 정주하고 neexin은 1회 60mg을 정주 또는 근주하며 12시간마다 반복이 가능하다.
-투약 시 간호사의 역할 : galexin은 투약 전에 중증 근무력증, shock, 신장애, 청각과민, 심부전, 고혈압 환자인지 투약 전에 확인한다. neexin은 신생아, 미숙아, 녹내장, 수유부인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투약하여야 한다.
④항고혈압제
-작용기전 : 말초 혈관 확장과 심박출량 저하
-종류 : 이뇨제, β-blocker, ACE inhibitor, Calcium channel blocker
-임상약물 : 이뇨제로는 furosemide, bumetanide, spironolactone이 있다. β-blocker에는 propranole, timolol등이 있으며 ACE inhibitor에는 angiotensin Ⅱ생성을 억제하며 captopril, enalapril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Calcium channel blocker에는 nifedipine, felodipine등이 있다.
-부작용 : ototoxicity, dry cough, fatigue, 저혈압
-투약 시 간호사의 역할 : β-blocker는 기관지를 확장시키므로 천식환자들에게는 금기이다.
⑤항응고제
혈액응고를 저해하는 물질의총칭. 생리적인 것과 병적인 것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4종류로 분류한다
-혈액에 첨가함으로써 응고를 저지하는 항응혈제가 있다. 주로 옥살산염, 시트르산염으로 이들은 Ca2+과결합하여 응고를 저지한다. 그 밖에 이온교환수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등을 사용한다.
-혈액에 존재하는 활성형 혈액응고인자에 대한 혈액의 생리적 항응혈소로서,트롬빈 등 여러 혈액응고인자의 작용을 저지하는 항트롬빈 Ⅲ및 그것들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헤파린 등이 있다.
-병적상태에서 후천적으로 출현하여 가역적, 비가역적으로 혈액응고인자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응혈물질이다. 제Ⅷ인자에 대한저지물질이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일종의 항체라고 생각하고있으며 혈우병환자에게 수혈을 한 후 만들어진다. 그 밖에 제Ⅸ인자, 제Ⅴ인자, 제Ⅶ인자, 제ⅩⅢ인자에 대한 항체가 알려져있다. 또한 자가면역질환환자에서는 특이적 또는 비특이적 항응혈물질에 의한 혈액응고 장애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경구 투여에 의해 응혈인자의 활성을 저해하는 항응혈약제이다. 쿠마린계(예: 와파린), 인단디온계 등의 약제를 경구 투여하면 비타민 K의 환원을 저해함으로써 간세포에서 비타민K의존성 응혈인자인 제Ⅱ인자, 제Ⅶ인자, 제Ⅸ인자, 제Ⅹ인자들의 합성을 저하시킨다.
-부작용 : 비정상적인 출혈(위장출혈이나 요도계의 출혈), 탁하고 검거나 붉은 오줌, 알레르기 반응, 열이나 오한, 피부괴사가 사지끝, 여성의 유방, 남성의 남근에 오게 됨,청색이나 자줏빛 발가락, 얼굴과 입술, 눈가가 붓는 수종
-투약 시 간호사의 역할 : 의사 처방대로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저녁식사 후나 잠자기 전)
출혈여부 사정(잇몸출혈, 코피, 멍, 대변, 소변, 위장관 배출물), 환자 식이의 비타민 K함유량을 조사
②삼투압성 이뇨제
-약품 : mannitol, glycerol, urea등이 있고, 이 중 mannitol이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작용기전 및 약리작용 : 신장의 사구체에서 여과되어 뇨세관에서 재흡수되지 않는 물질은 뇨세관의 삼투압을 상승시켜 뇨세관에 있어서 물의 재흡수를 제한하여 뇨량을 증가시킨다. 삼투압성 이뇨제는 사구체에서 쉽게 여과되며 세뇨관에서 재흡수되지 않은 물질이 그 삼투압에 의해 물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Na+재흡수를 감소시키는 점을 이용한다.
-성분 : mannitol 20%
-용법 및 용량 : 1회 1~3g/kg를 15%, 20%, 25%액으로 점적 투여하고 1일 최대 200g, 투여속도는 100ml/3~10분 정도로 한다.
-투약 시 간호사의 역할 : 급성 두 개내 혈종, 심한 울혈성 심부전, 심한 탈수 상태, 폐부종, 폐울혈, 대사성 부종, 무뇨 환자에게는 금기이므로 이를 투약 전에 미리 확인한다.
③근육이완제
-임상약물 : galexin 10mg/2ml 가렉신, neexin 60mg/2ml 닉신
-효능 및 효과 : 근골격계 질환에 수반하는 동통성 근육연축→척추근염, 허리활액낭염, 섬유조직염, 척추염에 의한 요통 및 사경통, 관절질환, 신경계 질환에 의한 근육연축의 효과가 있으며 근골격의 통증상태 완화의 보조를 한다.
-용법 및 용량 : galexin은 3일간 1회 10~20mg을 8~12시간마다 근주 또는 정주하고 neexin은 1회 60mg을 정주 또는 근주하며 12시간마다 반복이 가능하다.
-투약 시 간호사의 역할 : galexin은 투약 전에 중증 근무력증, shock, 신장애, 청각과민, 심부전, 고혈압 환자인지 투약 전에 확인한다. neexin은 신생아, 미숙아, 녹내장, 수유부인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투약하여야 한다.
④항고혈압제
-작용기전 : 말초 혈관 확장과 심박출량 저하
-종류 : 이뇨제, β-blocker, ACE inhibitor, Calcium channel blocker
-임상약물 : 이뇨제로는 furosemide, bumetanide, spironolactone이 있다. β-blocker에는 propranole, timolol등이 있으며 ACE inhibitor에는 angiotensin Ⅱ생성을 억제하며 captopril, enalapril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Calcium channel blocker에는 nifedipine, felodipine등이 있다.
-부작용 : ototoxicity, dry cough, fatigue, 저혈압
-투약 시 간호사의 역할 : β-blocker는 기관지를 확장시키므로 천식환자들에게는 금기이다.
⑤항응고제
혈액응고를 저해하는 물질의총칭. 생리적인 것과 병적인 것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4종류로 분류한다
-혈액에 첨가함으로써 응고를 저지하는 항응혈제가 있다. 주로 옥살산염, 시트르산염으로 이들은 Ca2+과결합하여 응고를 저지한다. 그 밖에 이온교환수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등을 사용한다.
-혈액에 존재하는 활성형 혈액응고인자에 대한 혈액의 생리적 항응혈소로서,트롬빈 등 여러 혈액응고인자의 작용을 저지하는 항트롬빈 Ⅲ및 그것들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헤파린 등이 있다.
-병적상태에서 후천적으로 출현하여 가역적, 비가역적으로 혈액응고인자의 활성을 억제하는 항응혈물질이다. 제Ⅷ인자에 대한저지물질이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일종의 항체라고 생각하고있으며 혈우병환자에게 수혈을 한 후 만들어진다. 그 밖에 제Ⅸ인자, 제Ⅴ인자, 제Ⅶ인자, 제ⅩⅢ인자에 대한 항체가 알려져있다. 또한 자가면역질환환자에서는 특이적 또는 비특이적 항응혈물질에 의한 혈액응고 장애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경구 투여에 의해 응혈인자의 활성을 저해하는 항응혈약제이다. 쿠마린계(예: 와파린), 인단디온계 등의 약제를 경구 투여하면 비타민 K의 환원을 저해함으로써 간세포에서 비타민K의존성 응혈인자인 제Ⅱ인자, 제Ⅶ인자, 제Ⅸ인자, 제Ⅹ인자들의 합성을 저하시킨다.
-부작용 : 비정상적인 출혈(위장출혈이나 요도계의 출혈), 탁하고 검거나 붉은 오줌, 알레르기 반응, 열이나 오한, 피부괴사가 사지끝, 여성의 유방, 남성의 남근에 오게 됨,청색이나 자줏빛 발가락, 얼굴과 입술, 눈가가 붓는 수종
-투약 시 간호사의 역할 : 의사 처방대로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저녁식사 후나 잠자기 전)
출혈여부 사정(잇몸출혈, 코피, 멍, 대변, 소변, 위장관 배출물), 환자 식이의 비타민 K함유량을 조사
키워드
추천자료
신경계에 대해서
말초신경계 장애 대상자 간호
외과 실습 - 무지외반증
신경계중환자실 지주막하출혈 케이스
신경계에 대한 고찰
신경계의 해부와 생리
신경학적 사정
[성인간호학][Fracture][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정형외과 실습)
성인간호학실습 간호력 진단 사정(담관암) - 간호력 health history, 신체 검진 기록지 Physi...
[신경계 질환] 신경계 질환의 종류(유형)와 치료방법 - 뇌졸중(뇌출혈,뇌경색), 간질, 치매, ...
[말초신경계] 뉴런의 구조와 기능, 뉴런의 분류, 유수신경섬유와 무수신경섬유, 신경의 변성...
[신경계 질환] 파킨슨씨병, 알츠하이머, 간질, 다발성 경화증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신...
근골격계 예습, 근골격계 사전학습, 정형외과 사전학습, 정형외과 실습 (정형외과 병동에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