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식] 치료식의 개념(정의)과 종류 - 일반치료식과 특별치료식, 경관영양법, 식사처방 및 식단작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료식] 치료식의 개념(정의)과 종류 - 일반치료식과 특별치료식, 경관영양법, 식사처방 및 식단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치료식

I. 치료식의 개념

II. 치료식의 종류
1. 일반치료식
1) 상식(보통식)
2) 연식
3) 유동식
(1) 맑은 유동식
(2) 전유동식
2. 특별치료식
3. 특별치료식의 종류
1) 영양소 조절상으로 본 치료식
2) 음식물 형태로 본 치료식
4. 경관영양법
5. 식사처방
6. 식단 작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체 장애로 음식을 삼키기 곤란하거나 혼수상태인 경우, 또는 정신이상으로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 영양 혼합물을 튜브를 통해서 체내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영양혼합물을 유입시키는 부위에 다라 튜브의 크기가 다르고 영양혼합물의 내용(처방)이 다르다. 경관영양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구배해야 한다. 환자의 연령, 체중, 신장을 기준으로 각 영양소의 필요량과 균형을 고려해서 제외한다. 경관영양은 액체형태이지만 각 영양소는 권장량만큼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 단백질은 총 열량의 15%, 지질은 20-30%, 당질은 50-60% 정도로 구성되는데, 환자의 조건에 따라 내용을 조정한다. 보통 혈관내 영양법으로는 하루에 10Kcal/Kg 체중 이하의 열량밖에 공급할 수 없으나, 경관영양에 의하면 하루에 40kcal/Kg 체중까지도 보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1,500kcal의 열량이 되도록 한다. 주입속도는 100~120ml/hr 정도가 적당하며 속도가 너무 빠르면 복부팽만, 설사, 구토 등이 일어나게 된다. 만약 환자에게 이러한 증상이 일어나면 주입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주입을 일단 중지해야 한다. 그리고 조섬유질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당근분말 10~20g을 50-100L의 물과 혼합해서 하루에 1-2번 주입시에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 설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식용유나 버터 대신 중쇄지방산의 triglyceride를 사용하거나 종합 소화효소를 사용한다. 경관 영양에 쓰이는 영양혼합물은
(1) 투여하기 쉬운 액체이며 충분한 수분을 공급한다.
(2) 변비, 설사, 또는 헛배가 부르지 않아야 한다.
(3) 메시겁지 않아야 한다.
(4) 사용하기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면 더욱 좋다.
5. 식사처방(dietary prescription)
환자의 치유를 목적으로 약물 투여 내용을 처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의사는 환자의 병태에 따라 식사처방을 작성한다. 이때 환자의 1일 에너지 권장량(Kcal)을 연령, 성별, 활동정도에 따라서 결정하고, 다음으로 단백질, 지질 및 당질의 양을 결정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mineral(Na, K, Fe 등), 또는 vitamin의 양도 정해서 식사 처방전에 기입한다. 환자의 영양소 필요량은 건강인에게 권장되는 영양소의 섭취량과는 다르므로 다음을 고려하여 야 한다.
(1) 환자가 아프기 전의 상태
(2) 현재 않고 있는 병의 성질과 그 정도
(3) 않고 있는 병으로 말미암아 손상되고 있는 영양성분과 영양소의 양.
6. 식단 작성
환자식의 총 energy와 각 영양소의 양이 결정되면, 다음 단계로 식단을 작성하게 되는데, 영양내용을 충족시키고 보다 쉽게 식단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식품교환표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식품교환표는 식품의 영양소 조정이 비슷한 것끼리 같은 군으로 묶어서 곡류군, 어육류군(고지방 어육류군, 중지방 어육류군, 저지방 어육류군), 채소군, 과일군, 우유군, 지방군외 여섯 중류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각 식품군의 1교환란위는 대체로 비슷한 당질, 지질, 단백질, 열량을 함유하고 있어서 환자의 기호나 식품 수급사청에 따라 교환할 수 있다. 이 식품교환표는 대한영양사협회에서 작성하여 여러 차례 수청 보완한 것으로서 현재 대부분의 병원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다.
*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4.18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