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의 성분과 기능] 혈액의 성분(분류), 혈액의 기능(역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혈액의 성분과 기능] 혈액의 성분(분류), 혈액의 기능(역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혈액의 성분과 기능

I. 혈액의 성분
1. 혈장
2. 적혈구
3. 헤모글로빈
4. 혈소판
5. 백혈구

II. 혈액의 기능
1. 영양 물질의 운반
2. 노폐물의 운반
3. 기체의 운반
4. 호르몬의 운반
5. 체액의 pH 조절
6. 체액의 조절
7. 체온의 조절
8. 감염으로부터 생체 방어
9. 지혈작용

* 참고문헌

본문내용

od cell)는 모양, 크기, 세포질내의 과립의 유무와 염색성, 핵의 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호중구(neutrophil)는 세균의 감염을 방어하는 일을 한다. 조직에 염증이 생겼을 때에 그 수가 혈액 1mm3속에 10,000이 넘으며 혈관 밖으로 나와서 5-25개의 세균을 탐식하여 사멸한다.
호산구(eosinophil)는 에오신(eosin) 등의 산성 색소에서 붉은 색을 띄는 것으로서 이종(異種) 단백질의 소화, 분해, 해독작용, 기생충 감염이나 알레르기(allergy)성 질환이 있을 때에 증가한다.
호염기구(basophil)는 메틸렌 불루(methylene blue) 등의 염기성 색소에서 푸르게 염색되는 과립을 많이 가지는 백혈구이다. 호염기구의 과립 중에는 히스타민(histamine)과 혈액 응고를 방지하는 림프구가 있으며 염증 시에는 혈관 확장(충혈), 혈액 응고능의 저하에 관계 한다.
단핵구(monocyte)는 염증이 생겼을 때에 호중구와 더불어 왕성한 탐식작용을 한다. 조직 중에 떠다니는 단핵구를 대식세포(macrophage)라고 부른다. 세균이나 이물질을 포식할 뿐만 아니라 단백질과 지질을 분해하고, 그 이물질의 항원 정보를 림프구에 전해 준다.
임파구는 골수 이외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임파절, 비장, 흉선 등에서 만들어진다. 운동성이나 탐식작용은 거의 없으나 면역에 관계하는 항체를 생산하여 생체 방어에 관여한다.
이처럼 백혈구는 병원체의 침입에 대한 생체 방어가 주 기능이다. 그리고 백혈구는 모세혈관벽을 통과하여 혈관 밖에서 그 기능을 수행한다.
II. 혈액의 기능
혈액은 체내에서의 운반 조직이다. 따라서 혈액은 순환 도중 각 조직의 활동에 필요한 영양 물질과 기타 물질을 유리하기도 하고, 활동의 결과 생성된 노폐물을 받아서 배설 기관인 신장, 장, 폐 및 피부로 운반시켜 주기도 한다. 혈액의 일반적인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영양 물질의 운반
혈액은 장간막을 통해서 순환하는 도중 소화기관으로부터 소화흡수된 물질을 받아서 영양물이 필요한 각 조직으로 운반한다.
(2) 노폐물의 운반
유레아(Urea), 유린산(uric acid) 및 크레아티닌(creatinine) 같이 조직 대사 과정 증에 생성된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신장 등 배설기관으로 운반한다.
(3) 기체의 운반
호흡의 주목적은 산소를 흡입하여 필요로 하는 각 조직으로 운반하고, 조직에서 생성된 노폐물인 이산화탄소를 외재로 배출하는 것이다. 혈액의 구성성분인 혈색소(hemoglobin)는 폐순환 중 산소와 결합하고 폐 모세혈관을 거쳐 순환하는 도중에 조직으로 이동되어 음식물의 산화나 에너지 생성 과정에 산소를 공급한다. 이때 조직에서 산화 과정 중에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혈색소와 결합한 후 폐로 이동하여 외재로 배출된다.
(4) 호르몬의 운반
뇌하수체, 갑상선, 췌장, 난소 및 고환 등과 같은 내분비기관에서 분비된 호르몬을 혈액을 통하여 표적기관으로 운반한다.
(5) 체액의 pH 조절
조직의 대사 과정 중에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많은 물질들은 체액의 pH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유산(lactic acid), 구연산(citric acid), 중조 및 염화암모늄 등은 혈액이나 조직 속에서 pH를 정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완충계(buffer system)가 있어서 일정 범위로 PH가 유지된다.
(6) 체액의 조절
체액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혈액과 조직 간의 수분의 출입이 중요하다. 이것은 혈장의 교질삼투압이 관여한다.
(7) 체온의 조절
인체는 간장, 근육 등이 활발히 그 기능을 다하기 위하여서 열 생산기관에서 많은 열을 생산한다. 혈액은 이렇게 생산된 열을 전신을 돌면서 분산시킴과 동시에 피부로부터 방열하여 체온을 조절한다.
(8) 감염으로부터 생체 방어
혈액 중에는 많은 면역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백혈구는 식작용과 항체 생성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생체를 병원체로부터 보호한다.
(9) 지혈작용
창상 등으로 혈관이 상처를 입으면 혈소판이 그곳에 점착하며, 연이어 혈장 중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의 혈액 응고 인자가 혈전을 형성하여 출혈을 막는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5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4.18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