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완대체요법 음악요법/ 보완대체/ 음악/ 요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완대체요법 음악요법/ 보완대체/ 음악/ 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선택한 보완대체 요법
2. 보완대체 요법 선택 이유
3. 논문요약
III. 결론
1. 논문 결론
2. 소감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하여 두 집단 간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음
(2) 가설 검증
제 1가설 : ‘음악요법을 이용한 실험군이 이용하지 않은 실험군보다 수술 후 동통정도가 낮을 것이다.’ 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동통 점수는 3.36 대조군의 점수 3.9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음악요법 이용이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줌
제 2 가설 : ‘음악요법을 이용한 실험군이 음악요법을 이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불쾌감 정도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불쾌감점수 2.67 대조군의 점수 3.47로서 음악요법 이용이 수술 후 불쾌감 경감에 도움이 되었음을 입증함
제 3 가설 : ‘음악요법을 이용한 실험군이 음악요법을 이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진통제 사용 횟수가 적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사용횟수는 1.75 대조군 2.88로 자료상으로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음
제 4 가설 : ‘음악요법을 이용한 실험군이 음악요법을 이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후 비언어적 동통 표현 점수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발한정도, 안면변화정도, 신체 자세변화 및 성음 변화 영역 중 안면변화영역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냄
제 5 가설 : ‘음악요법을 이용한 실험군이 음악요법을 이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술 전후 활력증후의 변화가 적을 것이다.’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음
III. 결론
논문 결론
본 연구는 수술 후 동통을 완화시키기 위한 간호중제 전략의 하나 방안으로 음악요법 이용이 수술 후 동통 경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 하였다.
제 1,2,4, 가설은 지지되었으며 이상의 결과로 음악요법은 수술환자의 동통과 그로인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고 사료되나 음악중재가 수술환자의 진통제 사용횟수와 활력증후의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렇지만 본 연구 결과는 간호중재로서 음악요법 이용이 동통감소와 불쾌감 경감에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이를 동통을 완화시키는 독자적인 간호중재로서 이용할 수 도 있다고 보아 앞으로 음악 요법에 대한 추후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하리라고 사료된다.
2. 소감
논문을 요약하면서 음악요법이 정말로 통증이 심한 환자들에게 부담이 없으면서 고통을 감소시키는 데에 큰 효과를 가져 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내가 만약 임상에 나가서도 이 요법은 활용하기 좋을 거 같다는 생각을 하였다. 비용의 부담도 없으며 장소와 시간의 제약도 받지 않는 이 요법은 정말 보완대체 요법 중에서 훌륭한 요법이라고 생각을 한다.
IV. 출처
홍미순 성인간호학회지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989년 57-71(15쪽)
이은옥, 김수진, 이경숙, 환자의 수술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동통 정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제 14권 제1호 1984, 60-68
진성태, 음악의 생리적 심리적 효과에 대해서, 임상예술,Vol. 1, 1985, 83-89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4.24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