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심정맥관 간호(central venous catheter, CVC)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심정맥관 간호(central venous catheter, CVC)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중심정맥관 간호(central venous catheter, CVC)
1. 적응증
2. 금기
3. 합병증
4. 준비물품
5. 환자준비
6. 기대되는 결과(expected outcomes)
7. 기대되지 않은 결과(unexpected outcomes)
8. 간호기록

본문내용

쇄골의 중앙과 내측 1/3junction을 확인한다. 바늘은 1-2cm 외측으로 삽입해야 한다. 경계를 확실히 하는데 도움이 된다. 흉곽천자를 막기 위해서 오른쪽이 선호된다.
2) 반대편 손의 집게손가락을 sternal notch의 2cm상방에 둔 채로 엄지로 junction부위를 아래로 1-2cm 정도 누른다. 쇄골하 동맥을 피하려면, 찌르는 위치를 최대한 정맥의 외측경로로부터 떨어지게 잡고 너무 뒤쪽으로는 시도하지 않는다.
3) 국소마취를 시행하고 20-30도 각도로 집게손가락 방향으로 21-25G 바늘로 정맥을 찌른다. 환자에게 편안감을 주고 삽입 시 용이하게 하고 환자의 협조를 돕는다. 거치를 용이하게 하려면 정맥을 확장시킨다.
4) 환자의 머리를 삽입부위 반대편으로 돌리도록 교육한다. 경계를 확실히 하는데 도움이 된다. 환자 스스로 못할 경우 인위적으로 환자의 머리를 돌린다.
5) 환자를 15-20도 정도 trendelenburg 자세로 위치시킨다. 공기색전증의 위험을 줄인다. 정맥이 확장되어 정확한 위치를 아는데 도움이 된다.
6) 주사기에 음압을 가하면서 피가 역류될 때까지 쇄골의 아래로 계단을 내려가듯 미끄러지듯이 바늘을 삽입한다. 기흉의 위험성을 줄인다. 약간의 음압은 정맥속에 도관이 들어가는 것을 확인시켜주면서 공기색전증이나 기흉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기흉을 막기 위해 45도 각도로 삽입한다. 바늘을 아래로 향하게 누르는 것이 어렵다면 곡선에 맞게 바늘을 휘게 할 수도 있다. 노인의 경우 쇄골하정맥은 보다 아래쪽에 있다. 바늘을 지나치게 외측을 향하거나 바늘을 깊이 찌르는 것을 피함으로써 기흉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7) 피가 역류되면 바늘축을 3시 방향으로 돌린다. 일단 정맥 안에 들어갔으면 주사기를 빼고 환자에게 숨을 참거나 “흠” 소리를 내라고 얘기하면서 가이드와이어의 유연한 끝부분을 넣는다. 피가 역류되는 것은 바늘이 혈관 안에 들어갔음을 의미한다. 바늘축을 돌림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가이드 와이어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숨을 참고 “흠” 소리를 내는 것은 공기색전증의 위험을 줄여준다.
8) 바늘을 통해 가이드와이어를 10-15cm 삽입한다. 깨끗한 4x4 거즈로 와이어를 잡고 바늘을 뺀다. 가이드와이어를 거즈로 잡는 것은 조작을 쉽게 해준다.
9) 약간 방향을 틀어 가이드와이어를 통해 정맥 안으로 dilator을 넣는다. 이는 도관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피하조직을 확장하는데 도움을 주면서 잘못된 다른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막는다. 가이드와이어의 삽입이 부드럽지 않다면 내경정맥으로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
10) 가이드와이어로부터 dilator를 뺀다.
11) 가이드와이어로 선택된 도관을 삽입한 후 가이드 와이어를 뺀다.
12) 생리식염수로 각 port에서 피를 흡인, 역류시킨다. 혈액을 재주입하고 개방성을 유지한다.
13) 삽입위치에 봉합을 한다. 도관을 안전하게 한다.
14) 혈역학적 감시장치나 iv 수액을 연결한다. 압력모니터 혹은 line 개방성 유지에 필수적이다.
15) 삽입위치에 무균의 폐쇄드레싱을 한다. 감염의 위험을 줄인다.
16) 모니터가 가능하다면 적절한 파형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17) 호흡음을 확인하고 흉부 x-ray를 한다. 기흉의 여부를 평가하고 위치를 확인한다.
18) 사용한 도구를 버리고 손을 씻는다.
상지정맥
1) median basilic 정맥을 확인한다. 도관 삽입을 위한 위치를 확인한다. basilic 정맥은 심부에 있으며 상완의 ulnar 표면을 따라 올라와 팔꿈치 앞쪽에서 median cubital과 연결된다.
2) 환자 준비에 정맥이 나타나도록 토니켓을 적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된 팔을 30-45eh 외전시키고 표면을 안정시킬 수 있는, 편평하고 푹신한 팔 받침대를 팔 밑에 댄다. 정맥을 확장시킨다.
3) 도관 삽입은 셀딩거 테크닉이 이용된다. 이 테크닉은 중심정맥 도관을 삽입 때 선호되는 방법이다. 이 테크닉에는 dilator와 가이드 와이어가 사용된다.
4) 상지에 정맥 토니켓을 묶는다. 한손으로는 아래쪽으로 피부를 견인한다. 바늘베벨을 약 15-20도 정도 각도로 해서 정맥을 찌른다. 정맥을 보다 쉽게 볼 수 있게 한다.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바늘이 너무 깊이 들어가 정맥을 뚫지 않게 막아준다. 보이지 않거나 만져지지 않는 정맥 안에 중심정맥관을 확보하지 않는다.
5) 바늘에 피가 보이면 가이드 와이어를 바늘 끝보다 약2-4cm 더 정맥 안으로 삽입한다.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한다. 저항이 느껴지면 도관을 삽입하려고 힘을 가하지 않는다. 2-3cm 정도 뺀 다음 도관을 돌려보고 다시 전진시켜 본다.
6) 토니켓을 풀고 몇cm 더 와이어를 전진한다. 바늘을 빼고 깨끗한 4x4 거즈로 가이드 와이어를 잡는다.
7)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선택된 도관을 삽입한다. 가이드 와이어를 제거한다. 피부에 cm을 표시해둔다.
8) 생리식염수로 포트를 흡인, 역류시킨다.
9) 제 위치에 봉합한다. 도관을 안전하게 한다.
10) iv 수액을 연결한다. line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11) 삽입위치에 폐쇄드레싱을 한다.
12) 팔에 부목을 대어 고정한다. 도관과 sheath가 최소한으로 움직이게 한다.
13) 사용한 도구들을 버리고 손을 씻는다.
9) 시술 전후와 환자의 상태에 따른 심혈관계, 말초혈관계 및 혈역학적 사정을 수행한다. 간호중재를 시행함에 불구하고, 의식수준의 변화, 활력징후의 변화, 비정상적인 파형 또는 압력이 지속시 보고해야한다.(공기색전증은 불안을 동반한다. 도관이 경동맥에 있을 때 환자는 의식수준 저하를 보일 수 있다.)
10) 혈종 또는 출혈이 있는지 삽입부위를 감시한다. 환자가 응고장애가 있으면 압박드레싱이 요구된다.
11) 심음과 폐음을 사정한다. 비정상적인 심음과 폐음은 기흉, 유미흉증(chylothorax), 혈흉을 나타낸다.
12) 흉부 x-ray의 결과를 사정한다.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는지 확인하고 기흉여부를 확인한다.
13) 합병증의 증후를 감시한다.
14) CVC교환을 위한 지침을 따른다. CVC는 감염이 의심되거나 대퇴동맥에 있을 때, 또는 응급으로 시행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7.05.25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6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