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H case study 11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AH case study 1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문헌고찰



III. 간호과정
1. 응급환자 정보

2. 병력기록

3. 신체검진

4. 진단검사 결과와 해석

5. 응급환자 처치현황/예상되는 치료

6. 약물치료

7. 간호진단

8. 결론


IV. 출처

본문내용

를 IV로 주었다. (달성)
③ 체온 상승 시에 ICE BAG을 적용하였다. (미달성)
④ 진토제, 진해제, 배변완화제를 사용하였다. (달성)
⑤ 이뇨제 mannitol 20% 100ml를 투여하였다. (달성)
<교육적>
① 보호자에게 두 개내압 상승의 증상을 교육한다. (달성)
② 갑작스러운 체위변경은 삼가도록 환자에게 교육하였다. (달성)
③ 두 개내압 상승시 초래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였다. (달성)
④ 두 개내압 상승의 원인을 교육하였다. (달성)
날짜: 2016년 11월 28일
④ 간호진단: 재 출혈(합병증)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성
사정
주관


객관

BP: 170/90
검사항목
검사결과
Brain Angio CT
SAH (obliteration with slinght hypo-/isodensity of basal cisterns, fissure & sulci) by ruptured. Lt. anterior communicationg artery aneurysm
Brain and Post.
Fossa CT
obliteration with slight hyper-/isodensity of basal cisterns, fissure & sulci
=> IMP: SAH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재 출혈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혈압이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계획
<진단적>
① Brain CT를 촬영한다.
② 혈압을 30분마다 측정하고 기록한다.
③ 재 출혈의 증상을 관찰한다.
<치료적>
① 혈압 하강제 Labesin 20mg/4ml/A 투여한다.
② 배변완화제를 사용한다.
③ 출혈 예방 및 치료제 Botropase 1 IV/1ml/A , Tranexamic acid 500mg/5ml 투여한다.
<교육적>
①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외과적 치료에 대해 설명한다.
② 안정을 취하도록 설명한다.





<진단적>
① Brain CT를 통해 어떤 부위에 출혈이 나타났는지 알 수 있다.
② 혈압의 급격한 상승과 하강이 재 출혈의 원인이 된다.
③ 재 출혈의 증상은 극심한 두통, 구토, 경련발작이다.
<치료적>
①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막기 위해 혈압 조절제를 투여한다.
② 배변완화제를 사용하여 배변 시에 힘을 주면서 발생할 수 있는 혈압 상승을 막을 수 있다.
③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출혈 예방 및 치료제를 투여한다.
<교육적>
① 외과적 치료를 통해 재 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② 최초 출혈 후 24시간까지는 무리한 활동을 하지 않도록 해야 재 출혈을 방지 할 수 있다.
수행
<진단적>
① Brain CT를 촬영하고 판독하였다.
② 혈압을 30분마다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시간
맥박
호흡
혈압
체온
7:45
80
20
170/90
37.6℃
8:29
82
20
138/81
37.4℃
8:55
95
17
145/95
37.2℃
9:25
98
27
157/91
37.2℃
9:37
75
26
158/99
37.2℃
9:54
81
24
153/87
37.6℃
③ 재 출혈의 증상인 극심한 두통, 구토, 경련발작을 관찰하였다.
<치료적>
① 혈압 하강제 Labesin 20mg/4ml/A 를 IV로 투여하였다.
② 배변 보러갈 때 배변완화제를 사용하였다.
③ 출혈 예방 및 치료제 Botropase 1 IV/1ml/A , Tranexamic acid 500mg/5ml 투여하였다.
<교육적>
① 외과적 치료법에는 동맥류 결찰술과 동맥류안에 코일 삽입하여 폐색시키는 방법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② 대상자는 침상안정을 하도록 설명하였다.
평가
<진단적>
① Brain CT 판독한 결과 SAH A-com aneurysm이 나타났다.(달성)
② 혈압을 30분간격으로 측정한 결과 급격한 상승은 나타나지 않았다.(달성)
③ 재 출혈의 증상이 관찰 되지 않았다. (달성)
<치료적>
① 혈압 하강제 Labesin 20mg/4ml/A 를 IV로 투여하였다. (달성)
② 배변 보러갈 때 배변완화제를 사용하였다.(달성)
③ 출혈 예방 및 치료제 Botropase 1 IV/1ml/A , Tranexamic acid 500mg/5ml 투여하였다. (달성)
<교육적>
① 대상자와 보호자는 외과적 치료법에 대해 인지하였으며, 의사와 상의하여 수술 날짜를 잡았다.(달성)
② 대상자는 침상안정을 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달성)
8. 결론
두통을 호소하시며 응급실을 내원하시 분이 계셨다. 계속해서 두통이 어젯밤부터 지속된다고 하였는데, CT를 찍어본 결과 SAH, 동맥류 A-com이 나와서 3차병원으로 전원가서 외과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하였다. 지금은 응급사항이 아니지만 재출혈을 하게되면 크게는 사망까지 일으킬 수 있는 심각한 질병이었다.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분은 다행이 의식소실의 증상도 없으시고 두통만 호소하셔서 엄청 심각한 상황은 아니지만 혈압의 갑작스런 상승으로 인해 언제 다시 출혈이 나타날지도 모르기 때문에 빨리 외과적 치료를 받으시는 편이 좋을 것 같다.
이 대상자는 통증을 계속 호소하셨기에 첫 번째 간호진단으로 뇌혈관수축과 관련된 통증을 잡았고, 두 번째는 고혈압이 있으신 것도 모르시고 관리를 하지 않았기에 고혈압과 관련된 지식부족, 세 번째는 뇌내출혈과 관련된 뇌압상승의 위험성, 네 번째는 재출혈과 관련된 잠재적 위험성으로 간호진단을 잡고 SAH 질병에 대한 간호 사정, 계획, 수행, 평가까지 적용하였다.
신경계 수업 때 배웠던 SAH의 임상증상을 직접 관찰할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었고 문헌고찰을 통해서 책에서 배웠던 내용을 더 자세히 깊이 있게 질병을 파악할 수 있어서 좋았고, SAH의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있어서 공부가 많이 되었다.
IV. 참고문헌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 수문사. 2012
이영휘 외.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2013
김정애 외, 진단적 검사와 간호, 수문사(2013)
송경애 외 共著, 최신 기본 간호학 (하), 수문사(2014)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현문사 (2013)
http://www.health.kr/drug_info/basedrug/show_detail.asp?idx=41014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7.06.28
  • 저작시기201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8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