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론
본 론
결 론
본 론
결 론
본문내용
② 준비된 음식은 따뜻한 물에 중탕하거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방안 온도 정도로 데운다. 집에서 만들어온 음식은 한번 먹을 수 있는 양만 데운다. 많은 양을 데운 후 남은 음식은 상하기 쉽기 때문이다. 너무 차갑거나 뜨거운 음식을 고무관을 통해 주입하면 위장을 자극하여 설사를 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③ 환자의 침상머리를 올려서 반좌위를 취하게 한 후 환자의 목에 수건을 두르고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여서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④ 주사기 내관을 빼고 고무관에 주사기를 연결하고 주사기의 내관을 뒤로 빼 보아 음식물이 빠져 나오면 그 전에 먹었던 음식이 소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1시간정도 기다린 후 식사를 주는 것이 좋겠다.
⑤ 식사할 때 무의식 환자에게도 \"김00씨, 지금 아침 식사시간입니다. 자 물을 먼저 마시고, 식사합시다\" 등과 같이 식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먼저 물을 20∼30㏄ 준 후 음식을 준다. 식사를 하면서 환자에게 식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소화액(타액, 위액 등)이 조건반사적으로 분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식사를 다 준 후에 다시 물 20-30㏄를 준다. 식사하기 전 그리고 식사 후에 물을 주는 것은 음식물 찌꺼기가 고무관에 끼어 고무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⑥ 고무관에 연결된 주사기(또는 깔대기)를 통해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절기로 고무관을 막은 후 주사기 속에 음식물을 붓고 조절기를 열며, 고무관을 30cm 정도의 높이로 들어 음식물이 천천히 흘러 들어가도록 한다(중력에 의해 흐른다). 이때 주사기를 너무 높이 들어 내용물이 지나치게 빨리 들어가면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가 날 수 있다.
⑦ 주사기(또는 깔대기)가 완전히 비워지기 전에 준비된 음식을 계속 채워서 고무관을 통해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위 속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들어가면 헛배가 부를 수도 있다(복부팽만). 소량의 공기는 괜찮다.
⑧ 준비된 음식물이 다 들어가면 고무관에 음식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30∼60cc 물을 준다. 물이 전부 내려가기 전에 고무관을 조절기로 막아 위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⑨ 식사가 다 끝난 후 30분 정도 반좌위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 체위는 토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화가 잘 되도록 한다.
⑩ 사용한 물품을 치우고 주위를 정돈해준다.
그 후 섭취한 음식의 종류, 양, 시간, 그리고 환자의 반응 등을 기록한다.
3) 비위관(고무관) 관리
고무관을 삽입할 때 기도로 삽입되기 쉬우므로 의사나 간호사의 도움으로 삽입하는 것이 좋다. 만약 고무관이 기도로 삽입된다면 기침이 나오거나 환자의 얼굴이 창백해지거나 호흡장애가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후가 없어도 고무관을 삽입한 후에 위 속으로 삽입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고무관이 위 속으로 삽입되었다면 고무관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주사기 내관을 밖으로 빼 보면 위액이 나오거나, 고무관을 물 속에 넣어보면 공기방울이 생길 것이다.
고무관을 위 속까지 삽입할 수 있는 길이는 입에서 귀까지의 길이 + 귀에서부터 위까지의 길이이며, 약 60∼65cm 정도 된다. 고무관이 정확하게 위 속에 들어갔으면 실크 반창고로 고무관을 한번 돌려 감은 후 코 아래와 윗입술 사이에 고정한다. 만약 고무관을 콧등에 고정하면 코 속이 잘 헌다. 실크 반창고는 하루에 한번씩 갈아준다. 이때 반창고를 붙였던 피부를 비누로 닦고, 물수건으로 닦은 후 말린다.
고무관을 잘 관리하지 못하면 고무관이 막힐 수 있다. 고무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다 준 후 음식물 찌꺼기가 고무관내에 남아있지 않도록 반드시 물을 30∼60cc 정도 준다.
< 비위관을 통한 음식물 투여방법 >
(4) 당뇨병(diabetesmellitus : DM)
1) 원인
-유전과 환경의 요인으로 제1형 당뇨병 유발인자로 보고 있다.
- 특정질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가면역반응이 원인으로 췌장, 간장, 신장, 악성질환 등
-의원성으로 의료인이 원인이 되는 요소를 교정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질환
2) 유발요인
-비만
-거대아를 분만하거나 비정상적인 산과력이 있는 사람
-동맥경화증
-만성적 감염을 자주 받는 환자(담낭질환, 신우신염, 췌장염)
-스트레스중에 glucose tolernce(포도당내인)의 일시적인 감소가 있는 사람
-이뇨제나 glucocorticoids, estrogen 등의 약물요법 중에 포도당 내인이 증가하는 환자
-안질환, 신질환, 신경질환 또는 다른 혈관 징후가 있는 환자
3) 당뇨병의 분류
*제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췌장 랑게르한스 섬의 베타세포의 파괴에 의한 절대적 인슐린 결핍에 의한 것으로 체장 랑게르한스 섬의 90%이상 소실 될 때 발생한다.
*제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인슐린이 절대적이 아닌 상대적 결핍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의 증가와 인슐린 분비 저하가 당뇨병 발병에 관여한다.
인슐린의 투여가 보통 필요하지 않으나 혈당 조절을 위하여 구강혈당하강제를 투여하나 인슐린의 투여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투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케톤산증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발생한다하더라도 감염과 같은 스트레스상황 하에서 발생한다.
4) 병태생리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랑겔한스섬의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한 염증과 관련이 있다. 인슐린염(insulitis)이라고 부르는 이과정은 자가면역 반응이 되는 것 같다. coxsackie바이러스 B형의 감염은 감염에 민감한 다른 원인적 요인이 있더라도 자가면역 반으의 촉진제가 되는 것 같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베타세포는 항원으로 부적절하게 인식되어 순환하는 T세포에 의해 파괴된다. 세포파괴과정은 심세포 항체가 나타나므로써 더 심해진다.
섬샘세포항체는 새로 진단된 제1형 당뇨병의 85% 이상에서 나타나며 베타세포에 이어 알파세포도 파괴된다. 그러므로 인슐린 부족과 비교적 과다한 글루카곤이 있게 된다. 때로 췌장은 초기 진단 후 혈당을 정상 수준이나 거의 정상에 가깝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간은 6개월 정도 지속할 수 있고 결국 진성 당뇨병이 되어 고혈당을 나타낸다.
제2형 당뇨병은 세포막 수
③ 환자의 침상머리를 올려서 반좌위를 취하게 한 후 환자의 목에 수건을 두르고 고개를 약간 앞으로 숙여서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④ 주사기 내관을 빼고 고무관에 주사기를 연결하고 주사기의 내관을 뒤로 빼 보아 음식물이 빠져 나오면 그 전에 먹었던 음식이 소화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1시간정도 기다린 후 식사를 주는 것이 좋겠다.
⑤ 식사할 때 무의식 환자에게도 \"김00씨, 지금 아침 식사시간입니다. 자 물을 먼저 마시고, 식사합시다\" 등과 같이 식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먼저 물을 20∼30㏄ 준 후 음식을 준다. 식사를 하면서 환자에게 식사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은 소화액(타액, 위액 등)이 조건반사적으로 분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식사를 다 준 후에 다시 물 20-30㏄를 준다. 식사하기 전 그리고 식사 후에 물을 주는 것은 음식물 찌꺼기가 고무관에 끼어 고무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⑥ 고무관에 연결된 주사기(또는 깔대기)를 통해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조절기로 고무관을 막은 후 주사기 속에 음식물을 붓고 조절기를 열며, 고무관을 30cm 정도의 높이로 들어 음식물이 천천히 흘러 들어가도록 한다(중력에 의해 흐른다). 이때 주사기를 너무 높이 들어 내용물이 지나치게 빨리 들어가면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가 날 수 있다.
⑦ 주사기(또는 깔대기)가 완전히 비워지기 전에 준비된 음식을 계속 채워서 고무관을 통해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위 속으로 많은 양의 공기가 들어가면 헛배가 부를 수도 있다(복부팽만). 소량의 공기는 괜찮다.
⑧ 준비된 음식물이 다 들어가면 고무관에 음식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30∼60cc 물을 준다. 물이 전부 내려가기 전에 고무관을 조절기로 막아 위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⑨ 식사가 다 끝난 후 30분 정도 반좌위를 그대로 유지한다. 이 체위는 토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화가 잘 되도록 한다.
⑩ 사용한 물품을 치우고 주위를 정돈해준다.
그 후 섭취한 음식의 종류, 양, 시간, 그리고 환자의 반응 등을 기록한다.
3) 비위관(고무관) 관리
고무관을 삽입할 때 기도로 삽입되기 쉬우므로 의사나 간호사의 도움으로 삽입하는 것이 좋다. 만약 고무관이 기도로 삽입된다면 기침이 나오거나 환자의 얼굴이 창백해지거나 호흡장애가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후가 없어도 고무관을 삽입한 후에 위 속으로 삽입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고무관이 위 속으로 삽입되었다면 고무관에 주사기를 연결하여 주사기 내관을 밖으로 빼 보면 위액이 나오거나, 고무관을 물 속에 넣어보면 공기방울이 생길 것이다.
고무관을 위 속까지 삽입할 수 있는 길이는 입에서 귀까지의 길이 + 귀에서부터 위까지의 길이이며, 약 60∼65cm 정도 된다. 고무관이 정확하게 위 속에 들어갔으면 실크 반창고로 고무관을 한번 돌려 감은 후 코 아래와 윗입술 사이에 고정한다. 만약 고무관을 콧등에 고정하면 코 속이 잘 헌다. 실크 반창고는 하루에 한번씩 갈아준다. 이때 반창고를 붙였던 피부를 비누로 닦고, 물수건으로 닦은 후 말린다.
고무관을 잘 관리하지 못하면 고무관이 막힐 수 있다. 고무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식물을 다 준 후 음식물 찌꺼기가 고무관내에 남아있지 않도록 반드시 물을 30∼60cc 정도 준다.
< 비위관을 통한 음식물 투여방법 >
(4) 당뇨병(diabetesmellitus : DM)
1) 원인
-유전과 환경의 요인으로 제1형 당뇨병 유발인자로 보고 있다.
- 특정질환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가면역반응이 원인으로 췌장, 간장, 신장, 악성질환 등
-의원성으로 의료인이 원인이 되는 요소를 교정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질환
2) 유발요인
-비만
-거대아를 분만하거나 비정상적인 산과력이 있는 사람
-동맥경화증
-만성적 감염을 자주 받는 환자(담낭질환, 신우신염, 췌장염)
-스트레스중에 glucose tolernce(포도당내인)의 일시적인 감소가 있는 사람
-이뇨제나 glucocorticoids, estrogen 등의 약물요법 중에 포도당 내인이 증가하는 환자
-안질환, 신질환, 신경질환 또는 다른 혈관 징후가 있는 환자
3) 당뇨병의 분류
*제1형 당뇨병(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췌장 랑게르한스 섬의 베타세포의 파괴에 의한 절대적 인슐린 결핍에 의한 것으로 체장 랑게르한스 섬의 90%이상 소실 될 때 발생한다.
*제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인슐린이 절대적이 아닌 상대적 결핍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의 증가와 인슐린 분비 저하가 당뇨병 발병에 관여한다.
인슐린의 투여가 보통 필요하지 않으나 혈당 조절을 위하여 구강혈당하강제를 투여하나 인슐린의 투여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2형 당뇨병은 인슐린 투여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케톤산증이 잘 발생하지 않으며 발생한다하더라도 감염과 같은 스트레스상황 하에서 발생한다.
4) 병태생리
제1형 당뇨병은 췌장의 랑겔한스섬의 자가면역 반응으로 인한 염증과 관련이 있다. 인슐린염(insulitis)이라고 부르는 이과정은 자가면역 반응이 되는 것 같다. coxsackie바이러스 B형의 감염은 감염에 민감한 다른 원인적 요인이 있더라도 자가면역 반으의 촉진제가 되는 것 같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베타세포는 항원으로 부적절하게 인식되어 순환하는 T세포에 의해 파괴된다. 세포파괴과정은 심세포 항체가 나타나므로써 더 심해진다.
섬샘세포항체는 새로 진단된 제1형 당뇨병의 85% 이상에서 나타나며 베타세포에 이어 알파세포도 파괴된다. 그러므로 인슐린 부족과 비교적 과다한 글루카곤이 있게 된다. 때로 췌장은 초기 진단 후 혈당을 정상 수준이나 거의 정상에 가깝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기간은 6개월 정도 지속할 수 있고 결국 진성 당뇨병이 되어 고혈당을 나타낸다.
제2형 당뇨병은 세포막 수
추천자료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대한 최신지견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다발성 골절)multiple fractures
[성인간호학]케이스스터디-경막하혈종(SDH)
성인간호학(암병동 케이스)
[성인간호학] 경막하혈종 (SDH : Subdural Hematoma)
[성인간호]GS병동-위암케이스(stomach cancer casestudy)
성인간호학 내과병동 췌장염 (R/O acute pancreatitis) case study
성인간호 소화기계 요약 및 문제
성인간호사례연구 -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뇌졸중 (Stroke.)
성인간호학케이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낙상위험성
방통 과제물 성인간호학 결장암 원인과 증상
성인간호학 협심증(angina pectoris) 케이스 스터디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