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장애] 우울증의 정의와 증상 및 원인, 우울증진단, 우울증 치료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울장애] 우울증의 정의와 증상 및 원인, 우울증진단, 우울증 치료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정의

II. 진단 및 증상

III. 원인
가. 유전
나. 신경학적 영향
다. 가족의 영향
라. 인지적 왜곡
마. 스트레스가 많은 생활사건

IV. 치료
가. 약물치료
나. 인지행동치료
다. 놀이치료
라. 가족치료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아동들에게 있어 놀이는 성인의 언어와 유사하다. 어른은 언어를 통해 심리적 어려움을 표현하지만 아동들은 놀이를 통해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고 놀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정화해 나간다. 아동에게 있어서 이와 같은 놀이의 특징은 치료적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다. Schaefer(1993)는 놀이의 치료적 요인으로 놀이를 통한 감정의 정화와 함께 심신의 이완을 촉진해서 자기능력에 대한 욕구를 자극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게 하고, 억압된 감정으로부터 자유롭게 함으로써 외상을 통제할 수 있게 하며, 긍정적 정서를 갖게 함으로써 자아고양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놀이치료는 무기력하고 활동하기를 싫어하는 우울증 아동에게 자연스럽게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게 함으로써 심리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라. 가족치료
가족치료는 개인의 문제를 가족의 체계, 구조 혹은 관계 내에서 파악하고 가족 전체를 변화시킴으로써 문제해결을 돕는 상담방법이다. 우울증 아동에 대한 가족치료에서 가족구성원들은 지지적 기능으로 활용된다. 아동들이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전략을 조장하기도 하고, 아동의 우울증을 유지시키는 사건과 환경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또한 가족들의 비관적인 피드백과 부모-자녀 간의 처벌적이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은 아동에게 부정적인 사고와 감정을 초래하기 때문에 가족 내부의 부적응적인 도식을 수정하는 것도 가족치료의 목표가 된다. 부모와 가족들의 인지 및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부모에게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행동관리기법과 민주적 훈육방법, 분노를 관리하는 방법, 가족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방법, 역기능적인 인지를 변화시키는 방법, 그리고 가족 간의 즐거운 활동을 증가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또한 전체 가족의 중계는 협상기술 및 갈등해결기술, 레크리에이션의 계획, 효과적인 문제해결방법, 그리고 가족의사소통에 대해 훈련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8.19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4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