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관광으로서의 유인도서 유형화를 통한 특성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양관광으로서의 유인도서 유형화를 통한 특성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1) 연구의 범위 ………………………………………………………………4
2) 연구의 방법 ………………………………………………………………5

제2장 이론적 고찰………………………………………………………… 6
1. 용여 정의 …………………………………………………………7
1) 해양관광의 정의…………………………………………………………7
2) 도서의 정의 ………………………………………………………………9
3) 도서관광의 개념 ……………………………………………………11
4) 도서의 구분 ……………………………………………………………13
5) 도서종합개발사업 ……………………………………………………16
2. 선행연구 분석 …………………………………………………17
1) 도서관광 관련 선행연구 분석……………………………………17
2) 도서 유형화 관련 선행연구 분석………………………………21

제3장 도서 현황 분석 ……………………………………………………24
1. 전국 도서분포 및 현황 ……………………………………25
2. 유인도서 분포 및 현황………………………………………28
1) 지역별 유인도서 현황………………………………………………28
2) 면적 규모별 유인도서 현황……………………………………29
3) 인구 규모별 유인도서 현황……………………………………30



제4장 해양 관광자원으로서의 유인도서별 유형 분류……… 32
1. 연구에 사용된 분석기법 ………………………………… 33
1) 요인분석(Factor Analysis)………………………………… 33
2)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33
2. 분석자료 및 변수의 설정………………………………… 34
3. 요인분석……………………………………………………… 35
1) 요인공통성 …………………………………………………………… 36
2) 변수들의 총분산 …………………………………………………… 36
3) 고유치의 스크리 도표…………………………………………… 37
4) 요인부하량…………………………………………………………… 38
4. 군집분석에 의한 도서별 유형화………………………… 41


제5장 유인도서 유형별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 47
1. 유형별 특성 분석………………………………………………48
2. 도서관광의 활성화 방안……………………………………49
1) 도서관광을 지원하는 연계교통체계 구축………………… 49
2) 관광요소별 중요도에 따른 개발방안………………………… 51


제6장 결론………………………………………………………………… 53

본문내용

안면도
충남
태안군
12.074
12
울릉도
경북
울릉군
10.788
13
압해도
전남
신안군
6.501
14
창선도
경남
남해군
6.073
15
백령도
인천
웅진군
5.052
16
거금도
전남
고흥군
4.976
17
노화도
전남
완도군
4.935
18
고금도
전남
완도군
4.570
19
영흥도
인천
옹진군
4.002
20
평일도
전남
완도군
3.962
자료: 행정안정부, 대한민국 도서백서, 2011
제4장 해양 관광자원으로서의 도서 유형 분류
1. 연구에 사용된 분석기법
2. 분석자료 및 변수의 설정
3. 요인분석
4. 군집분석에 의한 도서별 유형화
1. 연구에 사용된 분석기법
본 연구에서는 해양 관광자원으로서의 도서별 유형화를 위하여 다변량 분석기법 중 요인분석(FactorAnalysis)과 군집분석(ClusterAnalysis)을 사용하였다. 도서 유형화에 앞서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1) 요인분석(FactorAnalysis)
요인분석은 알지 못하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문항이나 변인 간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여 상관이 높은 문항이나 변인들을 묶어서 몇 개의 요인으로 규명하고 그 요인의 의미를 부여하는 통계 방법이다.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에 포함되지 않거나 포함되더라도 중요도가 낮은 변수들은 제거된다. 관련된 변수들이 묶여 요인을 이루지만 상호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게 되어 변수들의 특성을 알 수 있다.따라서 요인분석은 변수의 감축으로서 변수가 종속변수인지 독립변수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변수 간의 상호 종속적인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즉, 원래 변수들 간의 일대일 상관관계의 행렬을 검토함으로써 각 요인이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들을 잘 나타내는 방법으로 각 요인 내에 있는 변수들은 상관관계가 큰 것끼리 모이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요인에 포함된 변수들과는 상관관계가 낮아지는 것이다.
요인분석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원래 변수들이 가지고 있었던 정보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상관관계가 높은 원래 변수들을 묶어 대표할 수 있는 새로운 요인을 찾아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2) 군집분석(ClusterAnalysis)
군집분석은 요인분석과는 달리 분석대상들을 상호 관련성에 의해 서로 동질적인 집단으로 묶어주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분석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변수나 질문문항을 가지고 서로 유사한 특징을 지닌 혹은 유사한 답변을 한 대상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묶어주게 된다.
그러면 집단내부에 존재하게 되는 분석대상자들을 서로 동질적인 군집을 만들 수 있고 집단 간은 당연히 서로 이질적인 특징을 가지게 된다.
분석 대상을 분류기준변수에 근거하여 군집화하는 데에는 유사성 혹은 거리를 이용한 방법을 가지고 구하게 되는데 유사성이라 함은 분류하고자 하는 변수에 의해서 분석대상 사이의 비슷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분석대상 사이의 서로 떨어진 거리를 재는 방법으로는 유클리드 거리, 가중 유클리드 거리, 제곱된 유클리드 거리, 맨해튼거리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군집분석은 분류할 집단에 특정대상을 배정하여 같은 집단에 속한 대상이 유사성을 갖게 함으로써 집단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는 데 이용되는 통계기법이다.
이 같은 군집분석은 전체 케이스에 대하여 분류할 집단 수를 사전에 알 수 없으며 절대적인 집단수가 존재하지도 않는다. 군집분석은 동질적인 집단이나 군집을 분류하는데 쓰이지만 요인분석은 유사한 변수를 하나로 묶어 주는 데서 두 분석기법은 차이점을 가진다.
2. 분석자료 및 변수의 설정
관광자원으로서의 도서별 유형화에 앞서 분석을 위한 변수를 설정해야 한다. 분석에 사용된 변수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1차적으로 4개 지표 25개의 변수를 설정하였다.
<표 4-1> 1차 변수의 분야와 내용
지표
분석변수
기본현황
인구 수, 면적, 해안선길이
생활기반
1차 산업 비중, 2차 산업 비중, 3차 산업 비중,
급수 보급률, 전기 보급률, 차량 수, 어선 수, 선박 보유 수,
일일 정기항로 선박 획수, 어항 및 항만 수, 도로 포장률
문화복지기반
문화시설 수, 의료시설 수, 체육 시설 수
관광기반
체험관광자원 수, 자연관광자원 수, 문화관광자원 수.
인공시설관광 자원 수, 천념기념물 수, 육지와의 거리,
식품위생업소 수, 숙박시설 수
1차 변수 중 선행연구의 신뢰성이 낮거나, 관광적 성격을 나타내지 못하는 변수는 제외하였고,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상관관계가 매우 높거나 너무 낮은 지표들을 다시 한 번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3개 지표 12개의 변수를 설정하였다. 상관광계 분석은 한 변수가 다른 변수와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분석으로 이는 요인분석의 전 단계로서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변수가 중복되거나 상관관계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변수를 제외하는 단계로 사용된다.
다음은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최종 선정된 분석 변수이다.
<표 4-2> 최종 분석변수의 분야와 내용
지표
최종 분석변수
기본현황
인구 수, 면적, 해안선연장
생활기반
3차 산업 비중, 차량 수, 어항 및 항만 수
관광기반
체험관광자원 수, 자연관광자원 수, 문화관광자원 수.
인공시설관광 자원 수, 천념기념물 수,
식품위생업소 수, 숙박시설 수
3. 요인분석
요인분석이란, 두 개의 변수 간에 상관이 있는 경우, 그들 변수는 무엇인가 공통적인 것을 측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변수가 서로 복잡하게 상관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들의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몇 가지의 공통적인 성분을 생각하여, 개개의 변수를 그러한 공통적인 성분을 반영하는 부분과 각각의 변수에 독자적인 부분으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요인분석의 목적은 변수간의 상관행렬로부터 공동요인을 끄집어내어 그 공동요인을 이용하여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공통요인과의 관계에 의하여 각 변수의 성질을 간결한 형태로 기술하는 것이다.
1) 요인 공통성
요인공통성은 초기값과 추출 값으로 나타나며, 초기값은 항상 1이므로 큰 의미를 가지지 않지만 추출 값은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진다.
추출 값은 각 변수들이 다른 변수들에 얼마나 많이 영향을 받는가를 측정하는 값으로 각 변수에 대하여 나머지 변수들로 희귀분석을 수행했을

키워드

  • 가격9,900
  • 페이지수57페이지
  • 등록일2017.08.24
  • 저작시기201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