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음운론-‘없다’의 어간 기저형을 설정하는 과정을 참고하여 명사 ‘닭’의 기저형을 설정해 보시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음운론-‘없다’의 어간 기저형을 설정하는 과정을 참고하여 명사 ‘닭’의 기저형을 설정해 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 고려하는 경제성에 따라 \'닭\'의 기저형은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없다\'의 어간 \'없-\'이 \'없써, 업쓰니, 업꼬, 엄는, 업찌\'와 같이 닭+각 다른 환경들\'도 교체환경에 대한 일반화가 어느 정도 가능한 상태이다. 이처럼 음운론적 환경에 의한 기저형 설정은 각기 다른 활용 패러다임들을 참고하여 결정해야 할 것이다. 다만, \'닭+과\'에서 [닥꽈]로 발음되는 것을 보면 \'닭+과\'에서 경음화와 자음군단순화에 의해 \'닥꽈\'가 도출되는 것으로 보아 \'닭\'의 기저형이 \'달\'이라고 하는 것이 형태적으로나 의미적으로나 전혀 유연하지 않음은 확실하다. 따라서 \'닭\'의 기저형을 중립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의미로 \'닭\'을 설정한다면 합리적인 설명이 될 것이다.
Ⅳ. 참고문헌
<논문>
이진호. 국어의 기저형 설정 조건. 2007
김봉국. 복수기저형의 설정과 그 타당성 검토. 2003
김현. 어휘부와 국어음운론. 2013
서보월. 음운현상과 제약. 1991
김형수. 국어 음성상징어의 형태·음운적 확장과 축소. 2014
<단행본>
성철의. 음성 음운 형태론 연구. 태학사. 2008
전상범. 음운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나찬연. 표준 발음법의 이해. 월인. 2013

키워드

  • 가격3,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7.09.21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4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