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청각장애-1. 청각장애의 정의
2. 청각 장애아동의 특성
3. 아동 청각장애의 원인
4. 청각장애청소년의 개념 및 특성5. 발생부위에 의한 청각장애 분류
6. 청각장애 판정방법
7, 청각장애 아동 교육
지체 및 건강장애-
1. 건강장애의 정의2, 건강장애학생의 특성3. 지체장애 및 건강장애의 원인과 판별
4, 교육방안
참고자료
청각장애-
1. 청각장애의 정의 청각장애(Hearing Impairment)란 청각기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상(Impairment)을 입어 음성언어를 비롯하여 소리를 듣는 능력에 결함(Disability)을 지니게 됨으로써 일상적인 의사소통 기능이 제한되는 정도(handicap)를 말한다(손희정, 2003). 일반적으로 ‘청각장애’를 정의할 때 공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미국 농학교 집행위원회(The Conference of Executive of American School Deaf :CEAD)의 용어제정위원회에서 1975년에 내린 다음의 정의이다. “청각장애는 가벼운 것에서부터 심한 정도에 이르기까지의 청각불능을 지칭하는 일반적 개념으로 이는 ‘농’과 ‘난청’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농(聾)은 보청기를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Linguistic)의 성공적 절차가 불가능한 자이고, 난청(難聽)은 일반적으로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의 활용이 가능한 자이다.” Moores(1987) 또한 청각장애를 농과 난청으로 나누고, 각각을 dB(데시벨: 음의크기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척도) 수준을 사용하여 정의하였는데, 농(Deaf)은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귀로만 말을 들어서는 이해할 수 없을 정도(보통은 70dB)로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난
청각장애-1. 청각장애의 정의
2. 청각 장애아동의 특성
3. 아동 청각장애의 원인
4. 청각장애청소년의 개념 및 특성5. 발생부위에 의한 청각장애 분류
6. 청각장애 판정방법
7, 청각장애 아동 교육
지체 및 건강장애-
1. 건강장애의 정의2, 건강장애학생의 특성3. 지체장애 및 건강장애의 원인과 판별
4, 교육방안
참고자료
청각장애-
1. 청각장애의 정의 청각장애(Hearing Impairment)란 청각기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손상(Impairment)을 입어 음성언어를 비롯하여 소리를 듣는 능력에 결함(Disability)을 지니게 됨으로써 일상적인 의사소통 기능이 제한되는 정도(handicap)를 말한다(손희정, 2003). 일반적으로 ‘청각장애’를 정의할 때 공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미국 농학교 집행위원회(The Conference of Executive of American School Deaf :CEAD)의 용어제정위원회에서 1975년에 내린 다음의 정의이다. “청각장애는 가벼운 것에서부터 심한 정도에 이르기까지의 청각불능을 지칭하는 일반적 개념으로 이는 ‘농’과 ‘난청’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농(聾)은 보청기를 사용여부와 상관없이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Linguistic)의 성공적 절차가 불가능한 자이고, 난청(難聽)은 일반적으로 청각을 통한 언어적 정보의 활용이 가능한 자이다.” Moores(1987) 또한 청각장애를 농과 난청으로 나누고, 각각을 dB(데시벨: 음의크기를 비교할 때 사용되는 척도) 수준을 사용하여 정의하였는데, 농(Deaf)은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귀로만 말을 들어서는 이해할 수 없을 정도(보통은 70dB)로 청각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다. 난
본문내용
diometry)는 음차에서 발생되는 것과 같은 순음을 전기적으로 발생시켜 각 주파수에 따라 음의 강도를 조절하여 청력역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측정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기도청력검사 (air conduction audiometry)
방음실에서 기계의 조작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 피검자를 앉게 하고 이어폰을 귀에 잘맞게 댄 후 각 주파수에 따른 최소가청역치를 측정한다.
② 골도청력검사 (bone conduction audiometry)
골도진동기(bone vibrator)를 유양돌기부분에 고정시키고 250, 500, 1000, 2000, 4000㎐에서 역치를 측정하며 검사요령은 기도청력검사와 같다. 골도청력검사시에는 반드시 반대쪽 귀에 음차폐(masking)를 해야 한다.
③ 청력도 (audiogram)
각 주파수에 따른 최소가청역치를 도표로 표시한 것을 청력도라 한다. 주파수는 기도청력은 125㎐에서 8000㎐까지 나타내며 골도청력은 250㎐에서 4000㎐까지를 표시한다. 강도는 기도청력검사에서는 -10㏈에서 시작하여 125㎐는 75㏈까지, 250㎐와 8000㎐는 90㏈까지, 나머지 주파수는 110㏈까지의 음을 측정하여 표시하며, 골도청력검사는 주파수와 청력계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65~70㏈까지의 음을 측정한다.
(3) 언어청력검사
순음청력검사는 청력손실의 정도, 청력계도형, 난청형(전음성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이에 비하여 언어청력검사(speech audiometry)는 의사소통의 한 방법인 어음에 대한 청취 및 이해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극음으로서 어음 자체를 사용하는 검사이다. 기본적인 검사는 어음에 대한 청취능력의 측정(어음청취역치)과 이해능력의 측정(어음명료도, 어음판별력)에 대한 검사가 있다.
① 어음청취역치검사 (speech reception threshold test : SRT)
어음청취역치란 검사어음의 50%를 정확히 청취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언어강도를 말하며, 검사어음은 전통적으로 강도가 같은 2음절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어음청취역치와 순음평균역치는 거의 일치하며 대개 10㏈ 이내의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순음평균역치와 어음청취역치가 15㏈ 이상 차이를 보일 경우 검사자체의 신뢰도가 없거나 기능성 난청을 의심할 수 있다.
② 어음명료도검사 (speech discrimisation test)
어음에 대한 이해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병변의 부위, 보청기의 적응 및 선택, 의사소통의 장애정도, 언어치료의 계획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어음 명료도검사는 단음절을 사용하는데, 이들은 음성학적으로 균형을 이루어야 하고 일상회화에서 사용되는 어음의 빈도와 같은 구성을 가져야 하며 친숙한 어음을 사용하여야 한다. 어음명료도검사는 역치상(above threshold)에서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어음강도, 즉 최적안정역치(most comfortable level of loudness : MCL)에서 검사어음을 얼마나 정확히 이해하는가를 측정한다. 정상 또는 전음성 난청에서는 어음명료도가 양호하나 감각신경성 난청에서는 경우에 따라 매우 불량한 어음명료도를 보이며, 특히 청신경종양 등의 청신경 병변에서는 가장 현저한 어음판별 손실이 있다.
(4) 유소아 청력검사
어린이의 언어습득은 정상청력에 의하여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어린이의 청력을 측정하는 기술의 발전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난청이 있는 어린이의 특수교육 및 교정교육을 조기에 실시하여 사회생활에 대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난청에 대한 조기발견이 절실하다. 12~18개월에 말을 하지 못하면 자연히 부모는 청력장애의 가능성에 대하여 불안하게 되고 청력측정의 필요를 느끼게 된다. 과거에는 취학연령에 도달할 때까지는 청력검사가 불가능하였으나 검사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든 어린이에 대한 청력측정이 어느 정도 가능해졌다.
7, 청각장애 아동 교육
1) 통합 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1) 통합교육의 문제점
일반교사의 청각장애 학생에 대한 낮은 이해 및 부정적 태도 개별화 수업을 받기 어려운 과밀학급 입시 위주의 수업 진행은 통합교육의 기본 가치와 효과는 청각장애 아동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므로 보다 적극적으로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법적 모색이 필요하다
(2) 교육지원 학교 내에서의 지원특수학급 교사, 보조원, 통합학급교사를 통합지원학급 내에서의 지원수화 통역사, 노트 대필자교사 자문 서비스청각장애 전문교사, 언어치료사로부터의 자문학교 내의 협력적 팀 운영특수교사, 심리학자, 학교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협력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팀이다
(3) 배려할 점들
청각장애 아동의 좌석은 소음으로부터 멀고 교육활동이 직행되는 곳과 가까워야 한다. 수화통역사가 교실에 있는 경우 청각장애 아동이 잘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말하는 사람이 빛을 등지고 서지 않도록 한다. 교실 안팎의 소음을 가능한 한 줄인다. 아동의 나이가 어린 경우 교실 내의 물건에 이름을 써 붙여 어휘발달을 돕는다.
2)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청각장애 아동을 가르치기 위해서 일반학급 교사가 특수한 기술을 익힐 필요는 없다. 장애 아동의 욕구를 잘 파악하고, 특수 교육 전문가로부터 적절한 교수 방법을 고안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제 8장
구체적인 제안 시각적 지원 시각적 자료를 부가적으로 제시(예:칠판에 과제물 적기, 노트 빌려주기) 청각적 지원 독화나 보청기를 통하여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주변 환경과 교사의 행동을 조절 (예:소음 줄이기, 교사의 입이 가려지지 않도록 하기) 독화나 청음이 불가능하거나 비효율적인 경우에는 수화 통역사가 필요하다. 수화 통역이 보편화 되어 있음. 교육권 보장을 위해 국가에서 수화 통역사를 제공 미국의 경우 가르치는 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시각적 자료를 많이 사용. 이야기를 할 때 자연스럽게 몸짓을 이용하여 얼굴을 마주보며 말하도록 한다. 보청기 착용을 독려하고 상태를 확인하고 OHP를 사용하여 필기와 교사의 얼굴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독화와 동시에 필기를
① 기도청력검사 (air conduction audiometry)
방음실에서 기계의 조작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 피검자를 앉게 하고 이어폰을 귀에 잘맞게 댄 후 각 주파수에 따른 최소가청역치를 측정한다.
② 골도청력검사 (bone conduction audiometry)
골도진동기(bone vibrator)를 유양돌기부분에 고정시키고 250, 500, 1000, 2000, 4000㎐에서 역치를 측정하며 검사요령은 기도청력검사와 같다. 골도청력검사시에는 반드시 반대쪽 귀에 음차폐(masking)를 해야 한다.
③ 청력도 (audiogram)
각 주파수에 따른 최소가청역치를 도표로 표시한 것을 청력도라 한다. 주파수는 기도청력은 125㎐에서 8000㎐까지 나타내며 골도청력은 250㎐에서 4000㎐까지를 표시한다. 강도는 기도청력검사에서는 -10㏈에서 시작하여 125㎐는 75㏈까지, 250㎐와 8000㎐는 90㏈까지, 나머지 주파수는 110㏈까지의 음을 측정하여 표시하며, 골도청력검사는 주파수와 청력계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65~70㏈까지의 음을 측정한다.
(3) 언어청력검사
순음청력검사는 청력손실의 정도, 청력계도형, 난청형(전음성 또는 감각신경성 난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준다. 이에 비하여 언어청력검사(speech audiometry)는 의사소통의 한 방법인 어음에 대한 청취 및 이해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극음으로서 어음 자체를 사용하는 검사이다. 기본적인 검사는 어음에 대한 청취능력의 측정(어음청취역치)과 이해능력의 측정(어음명료도, 어음판별력)에 대한 검사가 있다.
① 어음청취역치검사 (speech reception threshold test : SRT)
어음청취역치란 검사어음의 50%를 정확히 청취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언어강도를 말하며, 검사어음은 전통적으로 강도가 같은 2음절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어음청취역치와 순음평균역치는 거의 일치하며 대개 10㏈ 이내의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순음평균역치와 어음청취역치가 15㏈ 이상 차이를 보일 경우 검사자체의 신뢰도가 없거나 기능성 난청을 의심할 수 있다.
② 어음명료도검사 (speech discrimisation test)
어음에 대한 이해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병변의 부위, 보청기의 적응 및 선택, 의사소통의 장애정도, 언어치료의 계획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어음 명료도검사는 단음절을 사용하는데, 이들은 음성학적으로 균형을 이루어야 하고 일상회화에서 사용되는 어음의 빈도와 같은 구성을 가져야 하며 친숙한 어음을 사용하여야 한다. 어음명료도검사는 역치상(above threshold)에서 가장 잘 들을 수 있는 어음강도, 즉 최적안정역치(most comfortable level of loudness : MCL)에서 검사어음을 얼마나 정확히 이해하는가를 측정한다. 정상 또는 전음성 난청에서는 어음명료도가 양호하나 감각신경성 난청에서는 경우에 따라 매우 불량한 어음명료도를 보이며, 특히 청신경종양 등의 청신경 병변에서는 가장 현저한 어음판별 손실이 있다.
(4) 유소아 청력검사
어린이의 언어습득은 정상청력에 의하여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어린이의 청력을 측정하는 기술의 발전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난청이 있는 어린이의 특수교육 및 교정교육을 조기에 실시하여 사회생활에 대비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난청에 대한 조기발견이 절실하다. 12~18개월에 말을 하지 못하면 자연히 부모는 청력장애의 가능성에 대하여 불안하게 되고 청력측정의 필요를 느끼게 된다. 과거에는 취학연령에 도달할 때까지는 청력검사가 불가능하였으나 검사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든 어린이에 대한 청력측정이 어느 정도 가능해졌다.
7, 청각장애 아동 교육
1) 통합 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1) 통합교육의 문제점
일반교사의 청각장애 학생에 대한 낮은 이해 및 부정적 태도 개별화 수업을 받기 어려운 과밀학급 입시 위주의 수업 진행은 통합교육의 기본 가치와 효과는 청각장애 아동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그러므로 보다 적극적으로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법적 모색이 필요하다
(2) 교육지원 학교 내에서의 지원특수학급 교사, 보조원, 통합학급교사를 통합지원학급 내에서의 지원수화 통역사, 노트 대필자교사 자문 서비스청각장애 전문교사, 언어치료사로부터의 자문학교 내의 협력적 팀 운영특수교사, 심리학자, 학교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협력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팀이다
(3) 배려할 점들
청각장애 아동의 좌석은 소음으로부터 멀고 교육활동이 직행되는 곳과 가까워야 한다. 수화통역사가 교실에 있는 경우 청각장애 아동이 잘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한다. 말하는 사람이 빛을 등지고 서지 않도록 한다. 교실 안팎의 소음을 가능한 한 줄인다. 아동의 나이가 어린 경우 교실 내의 물건에 이름을 써 붙여 어휘발달을 돕는다.
2)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청각장애 아동을 가르치기 위해서 일반학급 교사가 특수한 기술을 익힐 필요는 없다. 장애 아동의 욕구를 잘 파악하고, 특수 교육 전문가로부터 적절한 교수 방법을 고안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제 8장
구체적인 제안 시각적 지원 시각적 자료를 부가적으로 제시(예:칠판에 과제물 적기, 노트 빌려주기) 청각적 지원 독화나 보청기를 통하여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도록 주변 환경과 교사의 행동을 조절 (예:소음 줄이기, 교사의 입이 가려지지 않도록 하기) 독화나 청음이 불가능하거나 비효율적인 경우에는 수화 통역사가 필요하다. 수화 통역이 보편화 되어 있음. 교육권 보장을 위해 국가에서 수화 통역사를 제공 미국의 경우 가르치는 개념을 명확하게 하고 시각적 자료를 많이 사용. 이야기를 할 때 자연스럽게 몸짓을 이용하여 얼굴을 마주보며 말하도록 한다. 보청기 착용을 독려하고 상태를 확인하고 OHP를 사용하여 필기와 교사의 얼굴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독화와 동시에 필기를
추천자료
청각장애자의 의미
청각장애아 교수 학습방법
청각장애인의 특수교육사
[청각장애][청각장애 개념][청각장애 분류][청각장애 원인][청각장애 특성][청각장애아 의사...
유아특수교육의 내용과 유아특수교육의 특징에 관한 논의(유아특수교육 - 특수아교육)
[청각장애인][청각장애][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청각장애인 분류][청각장애 진단][청각장...
청각장애 아동의 학습특성
청각장애아동의 언어특성
청각 장애아동의교육
[청각장애인][청각장애아][청각장애아동][청각장애]청각장애인의 개념, 직업적 특성과 청각장...
지체부자유아동, 특수아동, 미숙아(미숙아동), 주의산만아(주의산만아동), 학습부진아(학습부...
<특수아상담, 특수교육론>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개념과 역사, 미술치료의 진행과정과 종류, ...
특수교육과 통합교육 - 특수아(장애아) 통합교육
특수아상담 - 지적장애상담 ( 지적장애의 정의, 분류, 진단, 지적장애의 원인과 특성, 지적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