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2. 도덕발달의 7단계
3. 교육적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2. 도덕발달의 7단계
3. 교육적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해서 참가자들이 인지적 갈등을 일으키게 되면 도덕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아동들은 하나의 문제에 관해 자신의 단계보다 더 높은 단계의 사고에 접하게 되면, 자신의 의견을 발표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수정 보완함으로써 자신의 본래 입장의 과연 적절한 것인지를 검토해 보게 된다고 하였다.
이렇게 되면 자신의 도덕적 추론을 재구성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도덕적 딜레마 토의의 핵심 사항은 딜레마에 대하여 아동들이 내린 특정한 선택의 내용보다는 아동들의 추론, 즉 그들이 그러한 판단을 내리게 된 도덕적 이유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는 아동들로 하여금 도덕적 행위의 준칙이 되는 절대적인 도덕적 가치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하므로 도덕적 규범의 맹목적인 주입이나 가치 상대주의적인 입장을 배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아동들이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가치갈등의 해결책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문제 사태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다른 아동들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딜레마 토의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배울 수 있다.
토의식 수업을 비롯하여 콜버그 발달이론은 도덕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토의식 수업은 몇 가지 효과를 가정해볼 수 있다. 첫째, 도덕 딜레마에 직면하여 도덕적 토의를 하는 동안 학급 동료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되는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둘째, 가치 갈등수업은 바깥으로 드러난 행위보다는 그 행위의 의도를 중시한다. 셋째, 아동들에게 가치 갈등을 일으키고 그 아동의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도덕적 사고를 제시해줄 때 학생의 도덕성이 가장 잘 발달한다. 여섯째, 가치 갈등 수업을 행함으로써 자기의 의견을 말하고 남의 의견을 이해하는 기술. 즉, 의사소통의 기능이 개발된다.
Ⅲ 결론
콜버그의 도덕발달론과 도덕교육론은 교육학계, 심리학계 및 윤리학계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콜버그의 도덕성의 본질과 원리를 밝힌 결과 콜버그의 도덕성이란 개인에 의해 내면화되어진 사회적, 문화적 행동규칙이자 갈등사태를 해결하는데 사용되는 판단의 근거나 이유의 특성으로서 교육에 점차 터득되어 발달되어 가는 것이다.
콜버그에 있어 도덕판단이란 상황을 인지적으로 정의하는 것을 구성하며, 이러한 정의는 어떤 도덕적 갈등사태에 있어서 이의 해결을 위한 가장 가능성 있는 수준의 선택을 결정한다는 데 토대를 두고 있다.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인간의 도덕적 행동은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발달계열을 통하여 발달한다고 하며 도덕발달의 단계는 분화와 통합의 정도에 따라 위계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분화란 단계가 높아질수록 도덕적 판단의 준거가 사실성으로부터 원리에로 변화되는 현상을 말하며, 통합이란 상위단계가 하위단계를 재구성하는 형식으로 변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참고문헌
문용린(2000),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아카넷
서강식(2007),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교육이론, 인간사랑
추병완(2007), 도덕교육탐구, 한국문화사
이렇게 되면 자신의 도덕적 추론을 재구성하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도덕적 딜레마 토의의 핵심 사항은 딜레마에 대하여 아동들이 내린 특정한 선택의 내용보다는 아동들의 추론, 즉 그들이 그러한 판단을 내리게 된 도덕적 이유에 놓여 있는 것이다. 이는 아동들로 하여금 도덕적 행위의 준칙이 되는 절대적인 도덕적 가치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게 하므로 도덕적 규범의 맹목적인 주입이나 가치 상대주의적인 입장을 배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아동들이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가치갈등의 해결책은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동일한 문제 사태에 노출되었을 때에도 다른 아동들은 다른 선택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딜레마 토의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배울 수 있다.
토의식 수업을 비롯하여 콜버그 발달이론은 도덕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주었다. 토의식 수업은 몇 가지 효과를 가정해볼 수 있다. 첫째, 도덕 딜레마에 직면하여 도덕적 토의를 하는 동안 학급 동료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게 되는 상호 작용을 하게 된다. 둘째, 가치 갈등수업은 바깥으로 드러난 행위보다는 그 행위의 의도를 중시한다. 셋째, 아동들에게 가치 갈등을 일으키고 그 아동의 수준보다 한 단계 높은 도덕적 사고를 제시해줄 때 학생의 도덕성이 가장 잘 발달한다. 여섯째, 가치 갈등 수업을 행함으로써 자기의 의견을 말하고 남의 의견을 이해하는 기술. 즉, 의사소통의 기능이 개발된다.
Ⅲ 결론
콜버그의 도덕발달론과 도덕교육론은 교육학계, 심리학계 및 윤리학계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콜버그의 도덕성의 본질과 원리를 밝힌 결과 콜버그의 도덕성이란 개인에 의해 내면화되어진 사회적, 문화적 행동규칙이자 갈등사태를 해결하는데 사용되는 판단의 근거나 이유의 특성으로서 교육에 점차 터득되어 발달되어 가는 것이다.
콜버그에 있어 도덕판단이란 상황을 인지적으로 정의하는 것을 구성하며, 이러한 정의는 어떤 도덕적 갈등사태에 있어서 이의 해결을 위한 가장 가능성 있는 수준의 선택을 결정한다는 데 토대를 두고 있다.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인간의 도덕적 행동은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발달계열을 통하여 발달한다고 하며 도덕발달의 단계는 분화와 통합의 정도에 따라 위계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분화란 단계가 높아질수록 도덕적 판단의 준거가 사실성으로부터 원리에로 변화되는 현상을 말하며, 통합이란 상위단계가 하위단계를 재구성하는 형식으로 변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참고문헌
문용린(2000),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아카넷
서강식(2007), 피아제와 콜버그의 도덕교육이론, 인간사랑
추병완(2007), 도덕교육탐구, 한국문화사
추천자료
[발달이론]프로이드, 에릭 에릭슨, 피아제, 콜버그, 비고츠키
도덕성발달과 교육<프로이드, 피아제, 콜버그 이론>
kohlberg의_도덕성_발달이론박종석
kohlberg의_도덕성_발달이론
정의지향적 도덕성과 배려지향적 도덕성- 콜버그와 길리건 중심으로
교육심리학의 개념과 발달의 의미 및 발달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인지행동이론(스키너 반두라 피아제 콜버그)
교육심리학4 공통)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과 콜버그의 도덕성발달 이론 및 교육적 시사점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콜버그 도덕이론의 3수준 7단계를 정리하시오 (도덕이론)
(인간과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
[인간과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
2017년 2학기 인간과교육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간관의 특징,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