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NATO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북대서양조약기구)


Ⅰ. 서론

Ⅱ. 본론1 - 나토의 조직구성과 성격
 1. NATO(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북대서양조약기구)
 2. 창설 목적과 성격 및 회원국
  1) 목적
  2) 성격
  3) 회원국
 3. NATO의 구성 및 역할  
  1) 북대서양위원회(North Atlantic Council)  
  2)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  
  3) 방위기획위원회(Defense Planning Committee)  
  4) 국제참모(International Staff)  
  5) 군사위원회(Military Committee)  
  6) 국제군사참모(International Military Staff)  
  7) 핵 기획단  
  8) 군 지휘부(Military Commands)
  9) 유럽(최고)동맹사령부  
  10) 대서양(최고)동맹사령부  
 4. NATO의 변천
  1) 연혁
  2) 주적(主敵)의 문제
  3) 구 러시아와 공산권 국가들 문제  
  4) 군사적 활동  
  5) 러시아와의 관계  

Ⅲ. 본론2 - 나토 제 1의 시기 (생성에서 냉전종식까지)
 1. 나토 시기 구분의 기준
 2. 이 시기 나토의 성격

Ⅳ. 본론3 - 나토 제2의 시기 (냉전종식 이후부터 유고 코소보사태 이전까지)
 1. 이 시기 나토의 움직임
 2. 이 시기 나토의 성격
 3. 걸프전 참고자료
 4. 로마선언의 참고자료
 5. 나토의 y2k 문제 참여

Ⅴ. 본론4 - 유고 코소보 사태
 1. 개요
 2. 코소보 전쟁비용
  1) 나토 전쟁비용 추정액
  2) 유고 피해상황
  3) 난민상황
 3. 나토의 유고공습원인분석
  1) 미국의 유고공습, 그 정당성여부
  2) 나토를 통한 미국의 서유럽 정치경제경영
  3) 나토의 존립과 확대의 정당성부여
  4) 미국의 군사전략과 경제적 이익을 위한 전쟁
  5) 독일의 뱃길 확보  
  6) 그 밖의 국가들의 이익 챙기기
  7) 종합
 4. 의미 및 영향

Ⅵ. 본론5 - 나토 제3의 시기 (유고 코소보사태 이후부터 현재까지)
 1. 이 시기 나토의 성격
 2. 러시아와 손잡은 나토
  1) 나토 '러시아 포용' 급진전(2002.2.25)  
  2) 나토-러시아 '꽉잡은 손'(2002.5.27)  
  3) 로마 선언서 주요 내용
 3. 기존 미국에 러시아까지­ 긴장하는 유럽국들
  1) 러시아, 나토에서 입김 세진다 (2002.4.25)
  2) EU, 對美 방위 의존 줄이기
 4. 나토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는 미국
  1) 나토 '존재의 이유' 고민 (2002.5.28)
 5. 나토 제 3시기

Ⅶ. 결론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NATO(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조직 구성, 나토 조직 성격, 나토 창설 목적, 나토 성격, 나토 회원국, 나토 구성, 나토 역할, 나토 변천, 나토 연혁, 나토 군사적 활동, 나토 러시아 관계]


Ⅰ. 서론

 세계사회는 자연과학의 발달, 그리고 다른 많은 이유로 인해 점점 그 지리적 거리를 좁혀갔으며, 이로 인해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에는 범 국가적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이런 문제들의 원만한 해결을 위해, 혹은 각 국가들의 사적 이익을 위해 국제기구의 창설이 시작되었다.
 최근 발발했던 코소보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나토 역시 이러한 목적으로 창설된 국제 기구이다. 나토는 공산국가에 대항하여, 서구 자본주의국가의 체제수호가치로 내걸었던, 긴 냉전시기의 한 축을 구성하였던 국제 기구였으나, 이념대립의 종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제사회에서 존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존속을 위해 또 다른 역할을 자임하며, 새로운 존재목적을 찾아가고 있다.
본 자료에서는, 나토라는 국제기구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창립 반세기를 넘긴 나토의 활동기간을 크게 세 범주로 나누어, 세계정세의 변화와, 앞서 언급했던, 그에 따른 나토의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Ⅱ. 본론1 - 나토의 조직구성과 성격

1. NATO(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북대서양조약기구)

 제2차 세계대전 후 동유럽에 주둔하고 있던 소련군과 군사적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체결한 북대서양조약의 수행기구.

 설립연도 : 1949년
 목적 : 소련에 대한 집단안전보장
 주요활동 : 서유럽 내 군사적경제적 원조 보조
 본부소재지 : 벨기에 브뤼셀 근교 카스토

2. 창설 목적과 성격 및 회원국

 1) 목적
  2차 대전 이후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전승국(戰勝國)들은 전후 세계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유엔을 통한 국제적인 분쟁과 갈등에 대한 의제선정 및 의사결정에 있어 합의를 도출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인식한 영국과 미국은 러시아와 그 위성 국가들의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서유럽을 방위하기 위해 1949년 4월 4일 북대서양조약기구를 창설하였다. 북대서양조약기구는 각 국가가 집단 방위동맹을 결성하여 독자적인 방위를 할 수 있도록 인정한 유엔헌장 51조에 창설은 러시아와 공산국가들에 대해서 유럽 국가들을 방위한다는 대전제 이외에 추가적으로 두 가지 목적을 지니고 있었는데, 우선은 서유럽의 방위를 위해 미국과 미국군대를 유럽에 지속적으로 주둔시키고, 둘째는 독일의 재무장을 억제하여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 가격3,2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5.01.19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10419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