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누리과정유아평가의 이해
1. 누리과정의 의미
2. 누리과정」유아평가 척도의 의미
B.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1. 유아교육평가의 의미
2. 유아교육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의 의미
참고문헌
1. 누리과정의 의미
2. 누리과정」유아평가 척도의 의미
B.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1. 유아교육평가의 의미
2. 유아교육평가에 기초한 교육과정 운영의 의미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실무자 및 지역교육청이 이행해야 할 구체적인 규정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기초단계의 마지막에 각 영유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보고서인 영유아기초단계 프로파일(Early Years Foundation Stage Profile)을 의무적으로 작성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또 한 영유아기초단계 프로파일을 작성해야 하는 현장 실무자를 위하여 「영유아기초단계 프로파일 핸드북」(Early Years Foundation Stage ProfileHandbook, 이하 EYFSPH라 표기함.), EYFS assessment and reportingarrangements(ARA), EYFS Profileexemplification materials를 개정하여 보급하였다(DepartmentofEducation, UK, 2013).이와 같이 국가 수준의 공통된 누가 표준화된 성취 검사와 성과 중심의 교육계획, 운영, 평가를 포함하는 교육과정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기관간의 수평적 및 수직적 일관성과 연계성을 확보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 유아의 학습 목표 획득을 객관적 증거를 통해 매우 세부적으로 추적하고, 공정하고 일관성 있는 체계적 평가 결과를 근거로 영유아의 발달 수준과 요구에 맞는 반응적이고 효율적인개별화 교육과정을 계획하여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Brown 외, 2007;DCSF, 2008;곽정인 외, 2011).유아교육평가는 교육의 질 관리 차원에서 중요하므로 우리나라 국가 수준의교육과정에서 국가와 시도 교육청 및 유아교육기관의 역할과 방법을 구분하고, 평가 계획, 평가 목표와 내용, 평가 방법, 평가 결과의 활용 등에 대해 문서화하도록 제시하고 있다(NAEYC, 2006;교육과학기술부 외, 2012;황윤한, 2008).그러나 국가 수준의 성취 평가가 유아교육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고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이 생겨났다(윤은주, 이진희2011;이진희 외, 2012).
상급 학년의 책무성 검사가 유아교육 현장에 영향을 미쳐 유아를 포함한 모든 아동이 3학년 말까지 주정부가 정한 목표에 도달해야한다는 압력을 받아 K학년에서도 놀이 중심의 교육보다는 알파벳, 단어, 숫자 중심의 형식적 교육이 일찍 도입되어 유아의 자신감과 자기 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 학습을 못한다(Alexander, 2009;Kallemeyn& DeStefan, 2010;Kelvin, 2013).또, 유아가 알고 할 수 있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부적절한시험을 통해 유아의 성취 여부를 점수로 제시하여(Snow & Van, 2008), 기관, 교사 및 유아를 등급화, 점수화함으로써 평가를 경영과 책무성의 도구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Nurbrown & carter, 2009).국가로부터 의무적으로 부여된 평가는 유아교사로 하여금 교육과정과 유아평가 판단에 필요한 증거확보를 위해유아와 함께 놀이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기록하고, 자료를 수집해야하는 부담을가지므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Anderson, 2009).종합하면 국가 수준의 총괄평가는 여러 평가 모델과 절차의 비교를 통해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확인할 수 있는 실질적 지침과 실제를 제시해야한다. 유아서열화가 아닌 부진아 지도 및 학력 향상에 지원을 함으로써 국가 차원의 질 관리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어야한다(Craig& Sharon, 2010).이러한 국가 수준의 학업 성취도 평가는 공식적결과 지향적인 총괄평가에서 비공식적과정지향적인 형성평가로 전환되고 있으며, 유아의 학습 목표 달성 여부뿐만 아니라 무엇을 알고 있거나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Schwandt, 2007;지은림, 2010;황윤한, 2008).형성평가란 학습자에게 주어진 학습 과제의 성취 여부를 확인하고, 학습 형성을 돕기 위한 개선이나 지원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과정이고(McMillan, 2007;박영석, 2009), 어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도중 아직 개선될 가능성이 있는유동적 상태에서 미완성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김진규, 2008).형성평가를 통해 학생들은 교사의 피드백을 제공받으면서 학습 동기가 유발되고, 자신의 학습수준과 목표 수준 사이의 차이를 이해하고 학습 전략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자기반성 기회를 가지고 자기 조절 학습능력과 초인지 발달도 가능하다(지은림, 2010).형성평가는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가 아닌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이므로 교사가 학생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이해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피드백을 통해 학습을 돕도록 교수 기술을 개선하는 과정이다(박영석, 2009).
수업과 평가는 별개의 과정이 아니라 하나로 통합되는 관점으로 이해해야하며, 형성평가를 통해 학습자는 학습 목표를 성취하고 교사는 교수학습 개선을 이룰 수 있다.형성평가가 교육 현장에서 그 목적에 맞게 성공적으로 정착하기위해서는 국가, 기관, 교사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고(김정환, 권향숙, 2010), 평가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개별화 교수법을 통해 학생, 교사, 학부모, 학교 모두가 평가 과정에 참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Nurbrown 외, 2009;Mcafee외, 2010;곽정인 외, 2011;나귀옥 외, 2012;황윤한, 2008).학습자는 스스로와 타인을 통해서 현재의 학습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Kelvin, 2013), 평가가 점수화되어 학생들의 진급 및 배치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교사는 형성 평가의 전문가가 되도록 교사 간 협력 및 컨설팅이 필요하다(민희정, 2012;신은정, 김왕준, 2012). 유아교육 평가 시, 형성평가와 총괄 평가 혹은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사이에 어느 한 유형을 결정하기란 쉽지 않으며, 두 유형의 평가를 혼합하여 실시해야한다. 왜냐하면 학습 평가는 학습 목표가 교육 내용을 통해 실현되는 정도를 가늠하는 과정으로 중요한 학교 교육 활동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김재춘, 부재율, 소경희, 채선희, 2008).
참고문헌
1. 홍수정 외, 유아교육과정, 한국통신대학출판, 1994
2. 이순형 외, 보육학개론(3판),
상급 학년의 책무성 검사가 유아교육 현장에 영향을 미쳐 유아를 포함한 모든 아동이 3학년 말까지 주정부가 정한 목표에 도달해야한다는 압력을 받아 K학년에서도 놀이 중심의 교육보다는 알파벳, 단어, 숫자 중심의 형식적 교육이 일찍 도입되어 유아의 자신감과 자기 존중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 학습을 못한다(Alexander, 2009;Kallemeyn& DeStefan, 2010;Kelvin, 2013).또, 유아가 알고 할 수 있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부적절한시험을 통해 유아의 성취 여부를 점수로 제시하여(Snow & Van, 2008), 기관, 교사 및 유아를 등급화, 점수화함으로써 평가를 경영과 책무성의 도구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Nurbrown & carter, 2009).국가로부터 의무적으로 부여된 평가는 유아교사로 하여금 교육과정과 유아평가 판단에 필요한 증거확보를 위해유아와 함께 놀이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기록하고, 자료를 수집해야하는 부담을가지므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침해할 가능성이 있다(Anderson, 2009).종합하면 국가 수준의 총괄평가는 여러 평가 모델과 절차의 비교를 통해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확인할 수 있는 실질적 지침과 실제를 제시해야한다. 유아서열화가 아닌 부진아 지도 및 학력 향상에 지원을 함으로써 국가 차원의 질 관리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어야한다(Craig& Sharon, 2010).이러한 국가 수준의 학업 성취도 평가는 공식적결과 지향적인 총괄평가에서 비공식적과정지향적인 형성평가로 전환되고 있으며, 유아의 학습 목표 달성 여부뿐만 아니라 무엇을 알고 있거나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으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Schwandt, 2007;지은림, 2010;황윤한, 2008).형성평가란 학습자에게 주어진 학습 과제의 성취 여부를 확인하고, 학습 형성을 돕기 위한 개선이나 지원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과정이고(McMillan, 2007;박영석, 2009), 어떤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도중 아직 개선될 가능성이 있는유동적 상태에서 미완성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김진규, 2008).형성평가를 통해 학생들은 교사의 피드백을 제공받으면서 학습 동기가 유발되고, 자신의 학습수준과 목표 수준 사이의 차이를 이해하고 학습 전략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자기반성 기회를 가지고 자기 조절 학습능력과 초인지 발달도 가능하다(지은림, 2010).형성평가는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가 아닌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이므로 교사가 학생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이해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피드백을 통해 학습을 돕도록 교수 기술을 개선하는 과정이다(박영석, 2009).
수업과 평가는 별개의 과정이 아니라 하나로 통합되는 관점으로 이해해야하며, 형성평가를 통해 학습자는 학습 목표를 성취하고 교사는 교수학습 개선을 이룰 수 있다.형성평가가 교육 현장에서 그 목적에 맞게 성공적으로 정착하기위해서는 국가, 기관, 교사의 역할 분담이 필요하고(김정환, 권향숙, 2010), 평가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개별화 교수법을 통해 학생, 교사, 학부모, 학교 모두가 평가 과정에 참여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한다((Nurbrown 외, 2009;Mcafee외, 2010;곽정인 외, 2011;나귀옥 외, 2012;황윤한, 2008).학습자는 스스로와 타인을 통해서 현재의 학습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Kelvin, 2013), 평가가 점수화되어 학생들의 진급 및 배치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교사는 형성 평가의 전문가가 되도록 교사 간 협력 및 컨설팅이 필요하다(민희정, 2012;신은정, 김왕준, 2012). 유아교육 평가 시, 형성평가와 총괄 평가 혹은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사이에 어느 한 유형을 결정하기란 쉽지 않으며, 두 유형의 평가를 혼합하여 실시해야한다. 왜냐하면 학습 평가는 학습 목표가 교육 내용을 통해 실현되는 정도를 가늠하는 과정으로 중요한 학교 교육 활동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김재춘, 부재율, 소경희, 채선희, 2008).
참고문헌
1. 홍수정 외, 유아교육과정, 한국통신대학출판, 1994
2. 이순형 외, 보육학개론(3판),
추천자료
[유아교육 아동발달] 유아건강 교육의 내용 및 방법
[아동복지B형]아동복지 서비스 중 보완적 서비스- 영유아보육서비스
(유아교육 아동복지) 영유아보육시설의 현황과 문제점 및 발전방안
아동문학과 영유아의 발달은 매우 깊은 연관성이 있습니다. 사회 정서적 발달과 아동문학과의...
[언어지도] 유아문학교육의 기초 - 문학, 아동문학과 유아문학, 문학교육, 유아문학교육
아동복지법과 영유아보육법에 의해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제공되고 있는 아동복지 서비스는 어...
영유아시기에 아동수학교육의 유래 및 필요성, 아동수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서술하시오.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유아기와 아동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
고위험모아간호학] 2016 고위험모아간호학 죽음 앞둔아동 의사소통 유념할점 아동발달단계별 ...
[아동건강과교육]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고 유아교사라면 어떤 도움을 줄지 사...
아동과학지도의 의미와 표준보육과정에 근거하여 누리과정의 과학활동(자연탐구영역)의 내용,...
[아동건강교육 B형] 2015년 이후 유아 안전교육 관련 기사를 2개 논문 1개를 찾아 요약하고 ...
아동건강교육-2013이후 영유아 건강관련 기사 2개와 논문1개를 찾아 요약하고 유아교육현장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