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아이돌과 한국적 스타일에 대한 호응
2)소셜 네트워크의 확장
3)출처 및 참고자료
2)소셜 네트워크의 확장
3)출처 및 참고자료
본문내용
환경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소비 되고 또 확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디지털 시대로 들어서면서 서구 음악 사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K-POP은 오히려 유튜브를 중심으로 한 무료음악 서비스의 폭발 성장에 기반 하여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그동안은 소비자로 취급하지 않았던 제 3세계의 어문화권, 이슬람문화권, 아랍문화권, 히스패닉문화권을 고루 공략하면서 외국 팬들에게 다가서기 위해 적극적으로 세계에 어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어느 나라보다 잘 구축된 한국의 IT환경은 K-pop 담론을 최대한 빠르게 확장시켜 세계로 전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3)출처 및 참고자료
「K-pop 한류의 성공요인분석과 한류 지속화 방안연구」, 조병철, 심화철, 동아예술대학교, 2015
3)출처 및 참고자료
「K-pop 한류의 성공요인분석과 한류 지속화 방안연구」, 조병철, 심화철, 동아예술대학교, 2015
키워드
추천자료
대중문화 이론의 역사적 전개 분석
[대중문화론] 문화정치에 대한 개념과 특성
고급문화와 대중문화는 구별되어야 하는가?
대중문화론
[상품미학][상품미학의 의미][상품미학과 가상성][상품미학과 대중문화][상품미학에 대한 비...
[미디어 리터러시][컴퓨터 리터러시][디지털 리터러시][대중문화컨텐츠 리터러시][멀티 리터...
디지털 문화의 이해-대중문화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대중문화와 문화산업 - 몸짱, 얼짱,맘짱 및 감성과 이성
[헤르만 헤세][헤르만 헤세 출생][헤르만 헤세 종교][내면세계][음악세계][대중문화]헤르만 ...
[현대의 서양문화 C형] 현대서양미술에서 팝아트는 자본주의와 대중문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