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들어가면서
정악은 중국 송나라에서 고려로 들여온 궁중제례악을 조선 세종 때 악성 박연을 통해 정비하여 여러 악기의 화음을 중요시하고, 안정감 있는 리듬과 최소한의 가락 변동을 통해 왕실의 체계와 권위, 규율을 상징하는 음악으로 의식이나 의례에 쓰였다. 정악은 지식인층의 문화인 풍류를 상징하였고, 우리 조상들의 삶에 자연, 자신, 사람, 느림과의 교감을 제공해 왔기에 나름의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음악 스스로 주인이 될 수 없고 주변에 그치는 제례악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기에 서민들이 가진 수만 가지 인생의 굴곡에 와 닿을 수는 없었고, 궁중과 일부 상류 계층에게만 통용되는 정적인 음악이었기에 협주로서의 높은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흐르는 강물과 같지 않은 고인 연못의 물처럼 점차 힘을 잃어가 지금은 전통의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사람이 음악을 들으며 기대하는 자유로움, 새로운 정서의 환기와는 거리가 먼 틀에 갇힌 느낌과 뚜렷한 연주의 목적성, 그리고 지루함은 정악을 쉽사리 받아 들일 수 없게 한다. 지금도 사극의 연회 장면을 통해 들려 오는 정악은 왕과 가신들의 술잔과 대화가 오가는 배경에 흐르는 음악 이상의 역할로 규정 짓기 어려운 현실이다. 복잡하고 득달 같이 흘러 가는 세상 속에서 “슬로우푸드”, “슬로우시티”가 역으로 주목 받고 있는 현세에 정악은 과연 느림의 미학으로 다시 소생할 수 있을까.
정악은 중국 송나라에서 고려로 들여온 궁중제례악을 조선 세종 때 악성 박연을 통해 정비하여 여러 악기의 화음을 중요시하고, 안정감 있는 리듬과 최소한의 가락 변동을 통해 왕실의 체계와 권위, 규율을 상징하는 음악으로 의식이나 의례에 쓰였다. 정악은 지식인층의 문화인 풍류를 상징하였고, 우리 조상들의 삶에 자연, 자신, 사람, 느림과의 교감을 제공해 왔기에 나름의 역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하지만 음악 스스로 주인이 될 수 없고 주변에 그치는 제례악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가지고 있었기에 서민들이 가진 수만 가지 인생의 굴곡에 와 닿을 수는 없었고, 궁중과 일부 상류 계층에게만 통용되는 정적인 음악이었기에 협주로서의 높은 완성도에도 불구하고 흐르는 강물과 같지 않은 고인 연못의 물처럼 점차 힘을 잃어가 지금은 전통의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사람이 음악을 들으며 기대하는 자유로움, 새로운 정서의 환기와는 거리가 먼 틀에 갇힌 느낌과 뚜렷한 연주의 목적성, 그리고 지루함은 정악을 쉽사리 받아 들일 수 없게 한다. 지금도 사극의 연회 장면을 통해 들려 오는 정악은 왕과 가신들의 술잔과 대화가 오가는 배경에 흐르는 음악 이상의 역할로 규정 짓기 어려운 현실이다. 복잡하고 득달 같이 흘러 가는 세상 속에서 “슬로우푸드”, “슬로우시티”가 역으로 주목 받고 있는 현세에 정악은 과연 느림의 미학으로 다시 소생할 수 있을까.
추천자료
- 화랑도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논의
- "예술(Fine-arts)"이라는 말의 개념과 체제의 성립 과정
- 김동인 -한국현대문학사의 이정표-.
- 김동인 -한국현대문학사의 이정표-.
- [한국전통문화의 이해]우리 전통문화속의 성
- 흥행한 한국영화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 [한국사]을사의병과 정미의병 항쟁의 역사적 의의
- 루소의 교육사상
- 김문집의 예술주의 비평
- 고전문예와 현대예술 속의 화쟁
- A.S.Neill의 교육사상과 섬머힐 학교
- [한국문학] 조선 전기문학과 후기문학의 내용과 특징에 관한 고찰
- 문학과 사상
- 취미와 예술2)교재의 1장 “취미의 역사”의 4절 “고상한 취미와 천박한 취미”(11-13쪽)에 보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