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식도열공탈장(Hiatal hernia)
2. 식도이완불능증 (Esophageal achalasia)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식도열공탈장(Hiatal hernia)
2. 식도이완불능증 (Esophageal achalasia)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 하부식도 괄약근 이완과 식도 압력 낮추기 위해 사용
보툴리늄 독소 주사 - 내시경을 이용해 하부 식도괄약근에 보툴리늄 독소를 직접 주사하면 2/3의 대상자에게 하부 식도괄약근의 압력이 감소하고 6~24개월간 증상이 완화
식이와 식습관의 변화: 식도의 압력 낮추고 역류 완화시킴
- 소량씩 자주 먹기
- 반고형식의 따뜻한 음식 먹기
- 침대의 머리 부분을 10~15cm정도 올리거나 반좌위로 수면취하기 (음식물이 밤에 역류 할 수 있으므로)
외과적 치료
하부식도 괄약간의 확장(식도확장), 식도근절개술(esophagomyotomy)
풍선확장술 또는 소식자 확장법(bougienage): 식도 경련과 식도협착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줌
점막외식도근절개술(esophagomyotomy, Heller myotomy)- 돌림근육섬유를 절개하여 아래 점막을 노출시켜 좁아진 식도를 확장시키는 수술- 합병증: 여귤성 식도염과 재 협착증
위루술- 장기간 삼킬 수 없을 때 시행함.
6) 간호
식이 조절- 식도압력과 음식 역류를 줄이기 위해 식사는 조금씩 자주하며 따뜻한 유동식을 공급-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 양념을 많이 한 음식, 술, 담배는 피함.
자세변경- 식사하는 동안 등을 구부리는 등 여러 자세를 취해 연하가 잘되는 자세를 찾아내고, 압력을 줄임.- 꽉 끼는 옷은 식도를 압박하므로 피함.- 수면을 취할 때는 머리를 높게 해서 반좌위를 취해 음식이 역류하여 기도에 흡인되는 것을 막음.
Ⅲ. 결론
우리는 GERD 진단 받은 상태에서 음주로 epigastric pain과 G-I bleeding 발생하여 입원을 하게 된 이상진 님을 만났다. 이상진 님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도장애와 간호에 대해 조사하였다.
하부 식도의 2/3 정도되는 부분의 운동력이 손상된 식도 이완불능증의 증상에는 연하곤란, 가슴앓이 등이 있다. 검사는 바륨연하검사, 내시경 검사, 흉부 X-선 검사 등이 있다. 치료로는 외래에서 보툴리늄 독소 주사 등 내과적 치료를 하다 증상이 심해 질 경우 공기 풍선 확장술, 식도근 절개술 등 수술을 시행한다. 간호는 식이조절과, 자세변경 등 간호를 수행한다.식도 열공이 확장된어 위와 다른 복부 장기가 탈장된 식도 열공 탈장은 직접 탈장과 간접 탈장으로 나뉘는다. 직접탈장의 경우, 대부분 증상은 없고 위식도가 역류되지만, 간접탈장에 경우, 식사 후 호흡곤란, 흉통 등 증상이 나타난다. 식도열공탈장의 검사로는 형관투시법, 바륨 연하를 시행한다. 간호는 식이 교정, 약물치료, 체위에 대한 교육 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상진 님이 GERD로 주기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것과 epigastric pain과 G-I bleeding임을 감안하여 이상진 님에게 알맞은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Ⅳ. 참고 문헌
1. 서문자(2000). 성인간호학(하). 서울 : 수문사 pp.82~84
2. 김태진(2004). 성인간호학(Ⅰ). 서울 : 정담미디어 pp.774~777
3. 현문사(2013). 성인간호학(상). 서울: 현문사 pp. 361~367
보툴리늄 독소 주사 - 내시경을 이용해 하부 식도괄약근에 보툴리늄 독소를 직접 주사하면 2/3의 대상자에게 하부 식도괄약근의 압력이 감소하고 6~24개월간 증상이 완화
식이와 식습관의 변화: 식도의 압력 낮추고 역류 완화시킴
- 소량씩 자주 먹기
- 반고형식의 따뜻한 음식 먹기
- 침대의 머리 부분을 10~15cm정도 올리거나 반좌위로 수면취하기 (음식물이 밤에 역류 할 수 있으므로)
외과적 치료
하부식도 괄약간의 확장(식도확장), 식도근절개술(esophagomyotomy)
풍선확장술 또는 소식자 확장법(bougienage): 식도 경련과 식도협착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줌
점막외식도근절개술(esophagomyotomy, Heller myotomy)- 돌림근육섬유를 절개하여 아래 점막을 노출시켜 좁아진 식도를 확장시키는 수술- 합병증: 여귤성 식도염과 재 협착증
위루술- 장기간 삼킬 수 없을 때 시행함.
6) 간호
식이 조절- 식도압력과 음식 역류를 줄이기 위해 식사는 조금씩 자주하며 따뜻한 유동식을 공급-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 양념을 많이 한 음식, 술, 담배는 피함.
자세변경- 식사하는 동안 등을 구부리는 등 여러 자세를 취해 연하가 잘되는 자세를 찾아내고, 압력을 줄임.- 꽉 끼는 옷은 식도를 압박하므로 피함.- 수면을 취할 때는 머리를 높게 해서 반좌위를 취해 음식이 역류하여 기도에 흡인되는 것을 막음.
Ⅲ. 결론
우리는 GERD 진단 받은 상태에서 음주로 epigastric pain과 G-I bleeding 발생하여 입원을 하게 된 이상진 님을 만났다. 이상진 님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식도장애와 간호에 대해 조사하였다.
하부 식도의 2/3 정도되는 부분의 운동력이 손상된 식도 이완불능증의 증상에는 연하곤란, 가슴앓이 등이 있다. 검사는 바륨연하검사, 내시경 검사, 흉부 X-선 검사 등이 있다. 치료로는 외래에서 보툴리늄 독소 주사 등 내과적 치료를 하다 증상이 심해 질 경우 공기 풍선 확장술, 식도근 절개술 등 수술을 시행한다. 간호는 식이조절과, 자세변경 등 간호를 수행한다.식도 열공이 확장된어 위와 다른 복부 장기가 탈장된 식도 열공 탈장은 직접 탈장과 간접 탈장으로 나뉘는다. 직접탈장의 경우, 대부분 증상은 없고 위식도가 역류되지만, 간접탈장에 경우, 식사 후 호흡곤란, 흉통 등 증상이 나타난다. 식도열공탈장의 검사로는 형관투시법, 바륨 연하를 시행한다. 간호는 식이 교정, 약물치료, 체위에 대한 교육 등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이상진 님이 GERD로 주기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것과 epigastric pain과 G-I bleeding임을 감안하여 이상진 님에게 알맞은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Ⅳ. 참고 문헌
1. 서문자(2000). 성인간호학(하). 서울 : 수문사 pp.82~84
2. 김태진(2004). 성인간호학(Ⅰ). 서울 : 정담미디어 pp.774~777
3. 현문사(2013). 성인간호학(상). 서울: 현문사 pp. 361~367
추천자료
정신간호학 불안장애 요약
아동간호학 각론]] 27장 체액과 전해질장애아동
모성간호학 레포트( 결혼과 성병 및 성기능 장애)
[간호학]공황장애
[간호학]RDS-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신생아의 호흡 장애 증후군
[간호학]양극성장애문헌
[성인간호학]신경계 장애 대상자 간호
[간호학] 망상장애(Delusion Disorder)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 우울장애
정신간호학케이스(Bipolar affective disorder(양극성정동장애))
아동간호학) 위장관장애아동질환 및 간호
[아동건강간호학] 호흡장애 PPT
성인간호학) 문맥성고혈압&식도정맥류출혈
신생아 호흡기능장애 정리_병태생리, 치료적관리, 간호중재 등 (아동간호학)
소개글